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장기간 항우울제 투여시 우울증 환자의 림프구에서 CREB(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정재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2
청구기호
TM 616.8 -11-10
형태사항
22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3051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신경의학, 2011.2. 지도교수: 김도관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 요약 5

I. 서론 7

II.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0

가. 연구 대상 10

나. 연구 방법 10

1) 채혈 10

2) T 림프구의 분리 11

3) 총 CREB(total CREB;tCREB)과 인산화 CREB(phosphorylated CREB;pCREB) 발현량 측정 11

4) CREB의 기능성 검사(CRE-DNA binding activity 측정) 11

다. 통계 분석 12

III. 연구 결과 13

가.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 13

나. 항우울제 투여 후 CREB의 변화 및 항우울제 반응성과의 관계 13

다. 임상증상과 CREB 변화의 상관성 14

IV. 고찰 15

IV. 참고 문헌 20

Abstract 25

Table 1. Clinic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3

Table 2. Level of CREB before and after 6 and 24weeks of antidepressant treatment 24

초록보기 더보기

전사요소 CREB(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은 항우울제의 반응을 매개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4주간의 장기간 항우울제 투여 후 우울증 환자의 말초 림프구에서 CREB의 발현과 기능의 변화를 조사하여, 항우울제 반응성 및 임상증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43명의 주요 우울 장애 환자에서 기저시점 및 SSRI 항우울제 투여 후 6주, 24주 시점에서 채혈을 시행하여 림프구를 채취하였다. Western blot 기법을 이용하여 Total CREB(이하 “tCREB”)과 인산화 CREB(이하 “pCREB”)의 발현을 측정하였고,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EMSA) 기법으로 CRE-DNA 결합 활성도(bind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주요 우울 장애의 진단은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에 기초하였고, 우울증의 심각도는 17-item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17)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항우울제 투여 후 6주 및 24주 시점에서 HAM-D를 측정하였고, HAM-D가 50% 이상 감소한 경우 항우울제 반응군으로 정의하였고, HAM-D가 7점 이하인 경우 우울증 관해군으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 항우울제 투여 후 6주 시점에서 반응군에서 비반응군에 비해 tCREB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24주 시점까지 항우울제 투여시 tCREB, pCREB, CRE-DNA binding activity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고, 관해 여부 및 항우울제 반응성과 관계가 없었다. 또한, HAMD로 측정한 임상적 호전 정도와 CREB과의 연관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항우울제 투여 6주 시점에서의 항우울제 반응성과 CREB의 변화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24주 동안 장기간 항우울제를 투여했을 때 신호전달과정의 변화를 반영하는 생물학적 지표로서 말초 림프구에서의 CREB의 변화는 입증하지 못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