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 이인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2
청구기호
TD 360 -11-137
형태사항
xii, 12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3370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 2011.2. 지도교수: 한인영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3

I. 서론 16

A. 문제제기 16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19

II. 이론적 배경 20

A.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 20

1.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 20

2. 부부의 상호의존성 22

B. 연구모형의 이론적 기반 및 주요 개념 24

1. 연구모형의 이론적 기반 24

2. 연구모형의 주요 개념 27

III. 연구방법 33

A. 연구모형과 가설 33

1. 연구모형 33

2. 연구가설 34

B. 자료수집 36

1. 연구대상 36

2. 표집 방법 37

3. 조사 절차 37

C. 변수의 정의와 측정 38

1. 스트레스 38

2. 부부의사소통 38

3. 부부적응 39

D. 분석방법 40

1.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41

2. 구조방정식모형 42

IV. 연구결과 44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4

1. 인구사회학적 특성 44

2. 암환자의 질병관련 특성 46

B. 주요 변수의 특성 48

1. 주요 변수의 자료특성과 분포특성 48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54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의사소통 56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적응 61

C. 연구모형의 분석 62

1. 측정모형 분석 62

2. 구조모형 분석 72

3. 매개 모형 검증 81

4. 다집단분석 94

D. 구조모형의 가설 검증 98

1. 스트레스와 부부적응의 관계 98

2. 스트레스와 부부의사소통의 관계 98

3.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적응의 관계 100

V. 결론 및 논의 103

A. 연구결과 요약 103

1.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기술적 분석 결과 103

2. APIM 분석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104

B. 논의 105

1.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 106

2. 암환자와 배우자의 스트레스와 부부적응 107

3. 암환자와 배우자의 스트레스와 부부의사소통 108

4.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적응 110

C. 함의 111

1. 이론적 함의 111

2. 실천적 함의 112

D.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15

1. 이론적 측면에서의 한계와 제언 115

2. 연구방법론 측면에서의 한계와 제언 116

참고문헌 119

부록 125

부록1. 설문지(환자용) 125

부록2. 설문지(배우자용) 131

ABSTRACT 138

표 1. 각 변수의 측정도구 40

표 2. 인구사회학적 특성 44

표 3. 부부관련 특성 45

표 4. 질병관련 특성 47

표 5. 주요변수의 자료특성과 분포특성 48

표 6.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결과 50

표 7.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행렬 52

표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54

표 9.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호건설적 부부의사소통 56

표 1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구-철회 의사소통 58

표 1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호회피 의사소통 60

표 1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적응 61

표 13. 연구모형1에 대한 측정모형 분석 결과 63

표 14. 연구모형 2-1 측정모형 검증 결과 64

표 15. 연구모형2-2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66

표 16. 연구모형 2-3의 측정모형 검증 결과 67

표 17. 연구모형 3-1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68

표 18. 연구모형 3-2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 결과 70

표 19. 연구모형 3-3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71

표 20. 부부적응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결과 72

표 21.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74

표 22. 요구-철회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결과 75

표 23. 배우자의 요구-철회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의 등가제약 모형 분석 결과 76

표 24. 상호회피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77

표 25. 부부적응에 대한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분석결과 78

표 26. 부부적응에 대한 요구-철회 의사소통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결과 79

표 27. 배우자의 부부적응에 대한 요구-철회의사소통의 등가제약 모형분석 결과 80

표 28. 부부적응에 대한 상호회피 의사소통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결과 81

표 29. 상호건설적 의사소통 매개모형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83

표 30. 요구-철회 의사소통 매개모형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85

표 31. 상호회피 의사소통 매개모형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87

표 32. 상호건설적의사소통의 매개모형검증결과 89

표 33. 상호건설적 의사소통 매개모형의 다중상관자승치(다중상관자승지) 결과 90

표 34. 요구-철회 의사소통의 매개모형검증결과 91

표 35. 요구-철회 의사소통 매개모형의 다중상관자승치 결과 92

표 36. 상호회피 의사소통의 매개모형 검증결과 93

표 37. 상호회피 매개모형의 다중상관자승치 결과 94

표 38. 집단별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 96

표 39. 측정동일성 검증 결과 97

표 40. 기저모형과 완전구조동일성모형 비교 98

표 41. 스트레스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98

표 42. 스트레스가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99

표 43. 스트레스가 요구-철회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99

표 44. 스트레스가 상호회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100

표 45.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101

표 46. 요구-철회 의사소통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101

표 47. 상호회피 의사소통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102

그림 1. 결혼에 대한 취약성-스트레스-적응모델 (Karney와 Bradbury, 1995에서 수정하여 인용) 25

그림 2. Karney와 Bradbury(1995)의 취약성-스트레스-적응 모델에서 도출한 본 연구의 이론적 틀 27

그림 3. 연구모형1. 스트레스와 부부적응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33

그림 4. 연구모형2. 스트레스와 부부의사소통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33

그림 5. 연구모형3.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적응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34

그림 6. APIM에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41

그림 7. 연구모형1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 결과 63

그림 8. 연구모형2-1 측정모형 검증 결과 64

그림 9. 연구모형2-2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 결과 65

그림 10. 연구모형 2-3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67

그림 11. 연구모형 3-1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68

그림 12. 연구모형 3-2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69

그림 13. 연구모형 3-3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71

그림 14. 부부적응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72

그림 15.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73

그림 16. 요구-철회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74

그림 17. 배우자의 요구-철회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의 등가제약 모형 75

그림 18. 상호회피 의사소통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76

그림 19. 부부적응에 대한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78

그림 20. 부부적응에 대한 요구-철회 의사소통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79

그림 21. 배우자의 부부적응에 대한 스트레스의 등가제약 모형 80

그림 22. 부부적응에 대한 상호회피 의사소통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81

그림 23. 상호건설적 의사소통 매개모형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83

그림 24. 요구-철회 의사소통 매개모형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85

그림 25. 상호회피 의사소통 매개모형에 대한 측정모형 검증결과 87

그림 26.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의 매개모형검증 89

그림 27. 요구-철회 의사소통의 매개모형검증결과 91

그림 28. 상호회피 의사소통의 매개모형 검증결과 93

초록보기 더보기

암은 결혼안정성을 저해하는 위기로 작용할 수 있으며 배우자 유기, 이혼 및 별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어 암환자의 부부 적응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암환자에게 있어 부부적응은 심리적인 안녕과 치료경과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들의 부부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사회복지 노력과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국외의 경우, 서구에서 호발하는 유방암, 전립선암 등을 중심으로 암환자와 배우자가 경험하게 되는 심리사회적 디스트레스에 따라 결혼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왔다. 또한 암환자와 배우자의 결혼만족감을 포함하는 부부적응이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및 삶의 질, 치료 경과 및 생존율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부부적응 관련 변인들의 영향 관계를 밝혀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관계를 강화하는 임상적 개입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연구는 암환자만을 대상으로 그들의 삶의 질 및 적응에 있어 배우자의 영향과 지지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연구가 소수 이루어지고 있을 뿐, 이들의 부부적응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암환자 부부의 부부적응을 도모하는 사회복지실천 전략을 도출하여 궁극적으로 이들의 결혼안정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국외 암환자 부부 관련 연구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즉 첫째, 부부상호성을 고려하여 부부를 한 단위로 하는 분석방법으로 커플 자료를 분석하도록 하였으며, 둘째, 암환자의 부부 적응에 대한 논의가 성관련 암에 치중되어왔기 때문에 다양한 암종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의 토대가 부부를 유기적 단위가 아닌 각각을 분리하는 시각의 이론들을 통해 변인간의 관계를 도출하여 왔기에 부부관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제공하는 Karney와 Bradbury(1995)의 취약성-스트레스-적응 모델(Vulnerability-Stress-Adaptation: VSA)을 토대로 연구 모형을 도출 하였고, 이를 토대로 암환자와 배우자의 각각 스트레스가 부부적응, 부부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및 부부의사소통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자기효과; actor effect), 상대방에게 미치는 영향(상대방효과; partner effect)를 고찰하기 위하여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암환자와 배우자를 한 쌍으로 표집하는 커플자료(dyadic data)를 수집하였다. 암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인 암환자와 그 배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20부(160쌍)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성 평가와 변수들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은 SPSS 12.0을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및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AMOS 5.0 ver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들의 부부적응이 각각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적이고 역동적 관계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측정모형의 분석 결과 각 측정 변인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충분히 수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암환자와 배우자의 스트레스와 부부적응과의 관계에서 환자의 스트레스와 배우자의 스트레스는 각각 자신의 부부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방 효과는 모두 부적 관계였으나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넷째, 스트레스와 부부의사소통과의 관계에서 환자의 스트레스는 자신의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요구-철회 의사소통과 상호회피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배우자의 스트레스는 자신의 요구-철회 의사소통과 상호회피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나 자신의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부부의사소통의 상대방 효과에 있어서 환자의 스트레스가 배우자의 요구-철회 의사소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등가제약 모형을 통해 효과 비교를 검증한 결과 환자의 스트레스가 배우자의 요구-철회 의사소통에 미치는 상대방 효과가 배우자의 스트레스가 자신의 요구-철회 의사소통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환자와 배우자 각각의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은 자신의 부부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철회 의사소통에서는 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에 대해 환자와 배우자 모두 요구-철회 의사소통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회피 의사소통은 환자에게서만 자기효과가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방 효과 검증 결과에 있어서 상호건설적 의사소통과 상호회피 의사소통에서는 유의한 상대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요구-철회 의사소통에서만 환자의 요구-철회 의사소통이 배우자의 부부적응에 미치는 상대방 효과(partner effect)가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등가제약 모형을 통해 환자의 상대방 효과와 배우자의 자기효과를 비교한 결과 기본 모형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이 두 효과간 유의한 크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을 부부의 상호의존적인 속성을 반영한 연구 실시하여 후속연구의 토대 제공하였으며 취약성-스트레스-적응 모델을 암환자 부부에까지 확대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부부자료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도입하여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여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셋째, 부부의사소통을 상호건설적 의사소통, 요구-철회의사소통, 상호회피 의사소통의 3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부부의사소통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 제공하였다.

넷째, 성관련 암에 국한된 선행연구의 한계를 넘어서 다양한 암종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을 위해서 일차적으로 이들의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특히 배우자는 환자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와 낮은 부부적응을 보여 이들의 결혼안정성을 위해서는 배우자에 대한 개입이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본 연구 결과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은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의 부부적응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부부단위로 개입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환자의 스트레스가 배우자의 요구-철회의사소통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대방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배우자의 의사소통 개선을 위해서 환자의 스트레스 관리가 선행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먼저 취약성-스트레스-적응모형에서 영속적 취약성 관련 변인, 부부적응과정에 대한 다양한 개념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 문화에 적합한 암환자 대상의 스트레스, 부부의사소통, 부부적응에 대한 도구 개발 마련 필요 시 된다 하겠다. 셋째, 부부적응은 시간의 흐름에 따르는 연속적 개념이므로 종단 연구 필요하며, 질적 연구 등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보다 깊은 탐색이 필요하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표집 대상이 큰 다기관 연구 통해 포괄적 검토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9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통계로 본 암 현황(Cancer Facts & Figures 2010) 네이버 미소장
2 (2007).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미소장
3 Transition of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on Chemotherapy 소장
4 A Subjectivity of Marital Relationship 소장
5 Couple Relationship Factors Predicting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Intention Over Time 소장
6 The Stress and Adaptation of the Spouses of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소장
7 The Influence of Maladaptive Schema and Daily Hassle on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소장
8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9 Relationships of a Married Couple`s Perception Congruence to Marital Satisfaction 소장
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Early Married Couples Based on Positive Psychotherapy 소장
11 The Effects of Self and Spouse`s Self-esteem, Communication Pattern, and Conflict Coping Behaviors on Marital Satisfaction 소장
12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미소장
13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소장
14 A Study on the Marital Quality and Marital Stability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 소장
15 (1985). "한국부부간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숭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6 (2004).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7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and marital satisfaction : an analysis of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using multilevel modeling 네이버 미소장
18 (2001). "유방절제술 환자의 배우자 지지, 성생활 만족도 및 부부친밀도." 한국보건학회지 10(4): 148-156. 미소장
19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돌봄 부담감과 내적 성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소장
20 유방완전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심리사회적 경험 소장
21 (1986). "결혼만족도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 1-14. 미소장
22 Depression, Anxiety, and Spouse Support in Married Women Who had Received Gynecologic Cancer Treatment 소장
23 부부관계 맥락에서 유방암의 심리사회적 영향 : 국내외 논문분석 소장
24 개인특성,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소장
25 The Relationship of Mindfulness, Marital Communication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ed Woman 소장
26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upport and Conflict Resolution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소장
27 (2002). "사회적 지지가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취약성 및 반응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미소장
28 결혼 만족도 및 안정성에 관한 취약성-스트레스-적응 통합모형 소장
29 정신장애인 배우자 스트레스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부부신념체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30 Marit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소장
31 개정판 부부적응 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소장
32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이론의 한국 부부에의 적용 소장
33 A Study on Effect of Individual Education about Chemical Therapy for Preventing Cancer on Quality of Life of Patient Who Suffers From Cancer 소장
34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35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Coping with Advanced Breast Cancer: Perspectives from Malaysian Muslim Women." Journal of Religion and... 미소장
36 Does talking about their relationship affect couples’ marita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lung cancer? 네이버 미소장
37 Effects of relationship maintenance 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dyadic adjustment among couples coping with lung cancer. 네이버 미소장
38 Cancer and the spouse: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dealing with health care and illness 네이버 미소장
39 Loss of resources as mediators between interpersonal trauma and traumatic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women with cancer. 네이버 미소장
40 A couple-based intervention for female breast cancer. 네이버 미소장
41 Coping with breast cancer: patient, spouse, and dyad models. 네이버 미소장
42 Communication patterns during marital conflict: A cross‐cultural replication 네이버 미소장
43 Communication about prostate cancer between men and their wives. 네이버 미소장
44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brief psychoeducational support group for partners of early stage breast cancer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45 Anticipating loss and other temporal stressors predict 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partners of metastatic/recurrent breast cancer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46 Lung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es: Psychological and Relationship Functioning Within 1 Month of Treatment Initiation 네이버 미소장
47 Marital Adaptation and Interaction of Couples After a Mastectomy 네이버 미소장
48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 model of bidirectional effects in developmental studies 네이버 미소장
49 Cancer survivorship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later life 네이버 미소장
50 Interdependenc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partners: an interindividual model of distress. 네이버 미소장
51 Couples who get closer after breast cancer: frequency and predictors in a prospective investigation. 네이버 미소장
52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53 (1998). "Women with breast cancer: perception of family fuctioning and adjustment to illness." Psychosomatic Medicine. 50:... 미소장
54 Gender disparity in the rate of partner abandonment in patients with serious medical illness. 네이버 미소장
55 Couples dealing with cancer: role and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psychological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네이버 미소장
56 (2008). "Ambiguity and uncertainty: the ongoing concerns of male partners of women treated for breast cancer." European... 미소장
57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in Coping with Early Breast Cancer: Commentary 네이버 미소장
58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rs 네이버 미소장
59 Relationship Issu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네이버 미소장
60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hip: A Review 네이버 미소장
61 Psychosocial adjustment to a mastectomy. 네이버 미소장
62 Combined brief psychosexual intervention after mastectomy: Effects on sexuality, body im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63 (1995).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arch." Psychological... 미소장
64 "But we've been getting better lately": comparing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views of relationship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65 Models of non-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66 Detecting, measuring, and testing dyadic patterns i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네이버 미소장
67 Gender differences in caregiving stress among caregivers of cancer survivors 네이버 미소장
68 Problem-solving and distress in prostate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al caregivers 네이버 미소장
69 The impact of marital status on cancer survival 네이버 미소장
70 Stress, Communication, and Marital Quality in Couples 네이버 미소장
71 Social Constraints, Intrusive Thoughts, and Mental Health After Prostate Cancer 네이버 미소장
72 (2008). "Predictors of depressed mood in spous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Jounal of Clinical Oncology 26(8): 1289-95. 미소장
73 Cancer in the marital context: a review of the literature. 네이버 미소장
74 Intimacy and relationship processes in couples' psychosocial adaptation to cancer 네이버 미소장
75 (2010). "Cancer-related communication, relationship intimacy, and pschological distress among couples coping with localized prostate... 미소장
76 Spousal negative responses to cancer patients: the role of social restriction, spouse mood,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네이버 미소장
77 Partner unsupportive responses, avoidant coping, and distress among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patient and partner perspectives. 네이버 미소장
78 Cancer‐related relationship communication in couples coping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네이버 미소장
79 Couple-focused group intervention for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네이버 미소장
80 Spouse support, coping, and mood among individuals with cancer. 네이버 미소장
81 Transforming the experience of cancer care: a qualitative study of a hospital-based volunteer psychosocial support service 네이버 미소장
82 The impact of breast cancer on patients and husbands. 네이버 미소장
83 Adjustment of Patients and Husbands to the Initial Impact Of Breast Cancer 네이버 미소장
84 (1993). "Cancer and the family: strategies to assist spouses."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9(2): 74-82. 미소장
85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family functioning in adolescent cancer 네이버 미소장
86 Marital Crises in Oncology Patients: An Approach to Initial Intervention by Primary Clinicians 네이버 미소장
87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understanding the psychosocial impact of surviving childhood cancer into young adulthood. 네이버 미소장
88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MPLICATIONS FOR NURSING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89 Partner experiences of breast reconstruction post mastectomy 네이버 미소장
90 Interdependent anxie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partners 네이버 미소장
91 Core concerns of couples living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네이버 미소장
92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male partners in response to women's breast/ovarian cancer risk: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네이버 미소장
93 Does cancer affect marriage rates? 네이버 미소장
94 Impact of breast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on women's sexuality: a survey of Japanese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95 Spirituality and use of complementary therapies for cure in advanced cancer. 네이버 미소장
96 Female Cancer Patients at Higher Risk of Marital Problems 네이버 미소장
97 Adjustment of Husbands and Wives to Breast Cancer 네이버 미소장
98 Marital quality and survivorship: Slowed recovery for breast cancer patients in distressed relationships: Marital distress and the health of breast cancer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99 Spirituality and quality of life in low-income men with metastatic prostate cancer.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