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2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3
1-2. 연구방법 및 연구의의 15
1-3. 용어의 정리 17
융복합(Convergence) 17
가구생애주기 17
오브제 시스템(object system) 17
네버엔딩스토리퍼니처(never ending story furniture) 17
가구색상법칙(Furniture color grammar) 17
제2장 디자인 개요 18
2-1. 인간과 공간 및 제품과의 관계 분석 19
2-1-1. 사용자 이해 (Understanding of User) 19
2-1-2. 사용자의 문화적 배경(Cultural Background of User) 20
2-1-3. 문화적 디자인 프로세스(Cultural Design Process) 21
2-2. 가구의 기능 재해석 24
2-2-1. 시각적 요소(tangible factors) 24
2-2-2. 비시각적요소(intangible forces) 30
2-3. 다양성(diversity)의 내재화를 위한 모듈화 이해 33
제3장 프로토타입 디자인 전개 44
3-1. 프로토타입 디자인 컨셉 45
3-2. 프로토타입 특징 47
3-2-1. 시각적 요소(tangible factors) 47
3-2-2. 비시각적 요소(intangible forces) 51
3-2-3. 프로토타입의 가구생애주기 단계별 융복합적 특징 54
3-3. 프로토타입 디자인 프로세스 57
(1) 사용자 이슈분석 58
(2) 동양사상 연구 58
(3) 1차 실물 모델링 59
(4) 2차 실물 모델링 59
(5) 3차 실물 모델링 60
(6) 4차 실물 모델링 61
(7) 5차 실물 모델링 61
(8) 최종 실물 모델링 62
(9) 디자인 등록 63
(10) 디자인 전시 참여 사례 64
(11) 전시 성과 67
3-4. 프로토타입 오브제 시스템 69
3-4-1. 프로토타입 종류 69
3-4-2. 오브제 시스템을 통한 융복합 및 응용사례 Study 70
3-5. 프로토타입 이미지 71
3-5-1. 프로토타입 71
3-5-2. 융복합 사례 72
3-5-3. 응용사례 74
제4장 프로토타입 사용성 테스트 77
4-1. 프로토타입의 공간별 적용사례 78
4-1-1. 사례1_침실 (침대+협탁)_ 융복합1, 2 79
4-1-2. 사례2 (거실 : 소파+협탁)_ 융복합1, 2 80
4-1-3. 사례3 (복도 : 콘솔+협탁/의자)_ 융복합1 81
4-1-4. 사례4 (침실입구 : 서랍장+서랍장)_융복합2 82
4-1-5. 사례5 (거실 : 벽장*N)_ 융복합3 83
4-1-6. 사례6 (식당 : 벽장*N)_ 융복합3 84
4-1-7. 사례7 (서재 : 벽장*N)_ 융복합3 85
4-1-8. 사례8 (식당 : 의자)_ 응용 86
4-2.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재디자인(Re-design)사례 87
4-2-1. 거실(벽장*6) 배치 시 재디자인(Re-design) 응용사례 88
4-3. 프로토타입 개선방향 및 향후 계획 90
(1) 프로토타입의 조명부분 보완 90
(2) 프로토타입의 마감 재료의 다양화 시도 90
(3) 모듈의 보완 91
(4) 프로토타입의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패밀리룩 연구 91
제5장 결론 92
5-1. 결론 93
참고문헌 94
Abstract 96
〈그림 1〉 인간, 공간, 제품간의 관계분석 다이어그램 19
〈그림 2〉 협탁사용예시1(혐탁 위, 침대 옆) 19
〈그림 3〉 협탁사용예시2(장식소품) 19
〈그림 4〉 협탁사용예시3(glass) 19
〈그림 5〉 四方卓子, 한국(韓國)-조선(朝鮮) 19세기, 국립중앙박물관, 남산(南山)1008 20
〈그림 6〉 문화적 디자인 요소(Cultural Design factors)의 특성 21
〈그림 7〉 Foursides, 김경원, plywood, 2006 25
〈그림 8〉 Kartell의 다양한 협탁 사례 이미지, 이태리 25
〈그림 9〉 moon system, 자하 하디드, B&B italia, 2007 25
〈그림 10〉 Ghost buster, Philippe Starck, Kartell, 2010 26
〈그림 11〉 복주머니의 오방색 26
〈그림 12〉 팬턴 칼라칩의 다양한 색 27
〈그림 13〉 2010 하임테스틸(heimtextil)에서 색으로 제시한 트랜드 이미지 27
〈그림 14〉 이층찬장, 한국-조선, 국립민속박물관, 06-17310 28
〈그림 15〉 Victoria Ghost, Philippe Starck, Kartell, Italy 28
〈그림 16〉 가구 구조의 예시, 에드워드 29
〈그림 17〉 가구의 이음새, 판재이음새 / 골재 이음새 29
〈그림 18〉 四方卓子, 한국(韓國)-조선(朝鮮) 19세기, 남산(南山) 1008 30
〈그림 19〉 Hill house chair(1902), Chales Rennie Mackintosh 31
〈그림 20〉 모듈러Le modulor, 르 꼬르뷔제Le Corbusier 33
〈그림 21〉 Studimo, 모듈Spec사례, 인터룁케, 독일 35
〈그림 22〉 studimo, 모듈적용사례(alt 1), 인터�穉�, 독일 36
〈그림 23〉 studimo, 모듈적용사례(alt 2), 인터�穉�, 독일 36
〈그림 24〉 studimo, 모듈적용사례(alt 3), 인터�穉�, 독일 37
〈그림 25〉 Confluences, ligne roset, 2010, France 37
〈그림 26〉 domponibili container series의 적용 사례, Kartell, 이태리 38
〈그림 27〉 domponibili container series의 모듈 옵션 중 일부 사례(높이,색), Kartell, 이태리 38
〈그림 28〉 모듈의 수평적 확장사례, Confluences, ligne roset, 2010, France 41
〈그림 29〉 모듈의 수직적 확장사례, 일렉트로룩스, 모듈냉장고 41
〈그림 30〉 look & book, 모듈규격 42
〈그림 31〉 look & book, 벽면모듈 사용예시 42
〈그림 32〉 사용자 가변성 사례 (응용 이전 사례), studimo, 인터�穉�, 독일 43
〈그림 33〉 사용자 가변성 사례 (응용 이후 사례), studimo, 인터�穉�, 독일 43
〈그림 34〉 융복합가구 프로토타입의 디자인 컨셉 45
〈그림 35〉 프로토타입 융복합1에서 융복합2로 진화하는 사례 46
〈그림 36〉 프로토타입 융복합2에서 융복합3으로 진화하는 사례 47
〈그림 37〉 프로토타입의 형태 이미지 48
〈그림 38〉 오방색으로 염색한 천 48
〈그림 39〉 가구색상법칙 (Furniture color grammar) 49
〈그림 40〉 등받이프레임의 LED 및 강조된 나무결 49
〈그림 41〉 건축적 구조 적용개념 50
〈그림 42〉 적층서랍모듈 적용사례 50
〈그림 43〉 사방탁자와 프로토타입의 비교 이미지(정면, 측면) 51
〈그림 44〉 힐 하우스 체어와 프로토타입의 비교 이미지 52
〈그림 45〉 지속적인 융복합의 사례 56
〈그림 46〉 초기 컨셉 스케치 58
〈그림 47〉 프로토타입의 동양적 디자인 요소 (여백의 미, 유무상생) 58
〈그림 48〉 MDF로 제작한 1차 실물 모델링 이미지 59
〈그림 49〉 MDF로 제작한 2차 실물 모델링 이미지 59
〈그림 50〉 MDF로 제작한 3차 실물 모델링 이미지 60
〈그림 51〉 MDF로 제작한 4차 실물 모델링 이미지 61
〈그림 52〉 MDF로 제작한 5차 실물 모델링 이미지 61
〈그림 53〉 프로토타입 조명이 있는 경우 62
〈그림 54〉 프로토타입 조명이 없는 경우 62
〈그림 55〉 디자인 등록자료 63
〈그림 56〉 국내 디자인 산업전 64
〈그림 57〉 조금은 특별한 가구 이야기전 전시전경. 디자인스튜디오쏠 65
〈그림 58〉 CO- Core 국제 디자인 교류전 전시 전경 이미지 66
〈그림 59〉 전시성과 A/B 67
〈그림 60〉 전시성과 C 68
〈그림 61〉 전시성과 D 68
〈그림 62〉 프로토타입의 오브제 시스템 사례 69
〈그림 63〉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162.59M2 평면도 78
〈그림 64〉 사례1_침실 coordination 79
〈그림 65〉 사례2_거실 coordination 80
〈그림 66〉 사례3_복도 coordination 81
〈그림 67〉 사례4_침실입구 coordination 82
〈그림 68〉 사례5_거실 coordination 83
〈그림 69〉 사례6_식당 coordination 84
〈그림 70〉 사례7_서재 coordination 85
〈그림 71〉 사례8_식당 coordination 86
〈그림 72〉 거실(벽장*6) 배치도 87
〈그림 73〉 응용사례1_거실 88
〈그림 74〉 응용사례2_color variation 89
〈그림 75〉 책걸이도, 한국-조선,국립중앙박물관, 동원 3322 9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