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9

1. 연구목적 9

2. 연구범위 11

3. 연구방법 및 한계 12

II. 군 사고와 상담에 관한 이론적 고찰 13

1. 군의 특성과 사고의 개념 13

가. 군의 특성 13

나. 군 사고의 개념 17

다. 부적응 병사의 개념과 유형 20

2. 군 사고의 현황과 원인 25

가. 군 사고의 현황 25

나. 군 사고의 원인 분석 29

3. 군사고와 상담 분석 41

가. 군 사고의 문제점 41

나. 군 상담의 특성 42

다. 군 상담자의 실태 및 자질 45

라. 군의 상담교육 47

III. 부적응 병사 관리와 상담 분석 49

1. 군 사고예방 관리제도 49

가. 부적응 병사 관리 49

나. 간부사고 예방 제도 51

2. 부적응 병사 관리 과정 53

3. 초급간부의 병사 상담과 관리 55

가. 일반적 상담과 관리 55

나. 보호 및 관심병사 관리 59

다. 주간 병력결산 65

라. 상담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66

마. 부적응 병사관리의 문제 및 개선방안 70

IV. 부적응 병사의 상담 사례연구 73

1. 상담 대상자의 특성 73

가. 내담자 인적 및 가정환경 73

나. 상담기간(복무기간) : 2007년 10월 ~ 2009년 9월(23개월) 74

다. 상담 장소 : 육군 OOOO 부대 74

라. 내담자의 상태 74

2. 상담과정 76

가. 상담목표와 상담전략 76

나. 상담과정 77

3. 결과 분석 87

V. 결론 89

참고문헌 93

ABSTRACT 95

표목차

〈표 II-1〉 육군 2009년과 2010년 사망사고 분석 27

〈표 II-2〉 육군 2010년 신분별 사망사고 현황 27

〈표 II-3〉 육군 자살인원 현황 29

〈표 II-4〉 육군 2010년 자살사고의 원인별 분석현황 29

〈표 II-5〉 최근 육군 자살사고 원인 현황건 31

〈표 II-7〉 육군 간부사고예방 시스템 안 52

〈표 II-5〉 상담기록 예문 58

〈표 IV-1〉 군 인성검사 결과 75

국방 표준 인성검사 결과( SMART Profile II)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