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상호작용성 기반의 뉴미디어아트 전시환경에 관한 연구 / 임승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2
청구기호
TD 006 -11-20
형태사항
x, 9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43300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 2011.2. 지도교수: 김동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ABSTRACT 11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뉴미디어아트 등장으로 변화된 전시 환경 18

2.1. 전통적 의미의 예술작품과 전시환경 22

2.2. 전통예술과 뉴미디어아트 전시의 차이 27

2.3. 뉴미디어아트의 등장으로 생긴 변화된 환경 32

2.3.1. 뉴미디어아트의 표현 도구 34

2.3.2. 수용방식의 변화로 인한 감각의 확장 38

2.3.3. 확장된 의미의 전시 공간 42

제3장 상호작용성에 기반한 뉴미디어아트 전시의 특징 49

3.1. 인터랙션을 통한 뉴미디어아트 전시의 복합적 환경의 도래 55

3.2. 뉴미디어아트 전시의 인터랙션 방식과 범위 59

3.2.1. 작품과 감상자 간의 인터랙션 60

3.2.2. 작품과 공간 간의 인터랙션 62

3.2.3. 전시공간과 관객 간의 인터랙션 64

제4장 뉴미디어아트 전시 환경의 개선 방향 67

4.1. 창작 환경 68

4.1.1. 아티스트의 창작 환경 68

4.1.2. 크리에이터로서의 공학자 73

4.1.3. 뉴미디어아트 전시의 기획에 필요한 프리뷰 환경 75

4.2. 수용 환경 77

4.2.1. 디지털미디어 기술의 확대 78

4.2.2. 전시공간의 변화 79

4.2.3. 작품의 보존과 전시 아카이빙 환경 86

4.3. 보급 환경 89

4.3.1. 뉴미디어아트를 활용한 문화산업 89

4.3.2. 디지털미디어 기술에 기반을 둔 융복합적 학문 93

4.3.3. 관객의 변화 99

제5장 결론 102

참고문헌 106

[표2-1] 예술과 디지털미디어 기술 결합의 시대적 변천과정 20

[표2-2] 전통예술과 미디어 아트의 비교 31

[표3-1] 뉴미디어아트의 인터랙션이 가지는 특징 50

[표4-1] 디지털미디어의 특징 78

[표4-2] Roy ascott이 제시한 전시공간의 3단계 81

[그림2-1] 전시의 구성요소와 환경 22

[그림2-2] Wam's museum의 카탈로그 앞표지, 동판화, 1655 24

[그림2-3] The Imperial Gallery의 모습, 동판화, 1714 25

[그림2-4] 과천 현대미술관의 회랑식 전시 광경 26

[그림2-5] 한국의 대표적인 개인 블로그 사이트 '싸이월드' 30

[그림2-6] Charles Babbage의 해석기관 32

[그림2-7] J. M. Daguerre의 은판사진기 32

[그림2-8] 'Third Hand', Stelarc 39

[그림2-9] 'Animal, Vegetable, Mineralness of Everything'.Ken Feingold. 2009 40

[그림2-10] 에드윈 반델 하이드(Edwin van der Heide)LSP / SML 전의 오프닝 퍼포먼스의 개념도 41

[그림2-11] 에드원 반델 하이드(Edwin van der Heide)LSP / SML 전의 오프닝 퍼포먼스, 구 서울역 역사 41

[그림2-12] '광화문 아트쇼' 서울시 광화문거리의 정보통신부 사옥 44

[그림2-13] 2000 서울미디어시티 홈페이지의 〈지하철 프로젝트〉와 〈전광판 프로젝트〉 관련 홍보 이미지 45

[그림2-14] Rafael Lozano-Hemmer's Body Movies,2001. Schouwburgplein, Rotterdam 46

[그림2-15] www.jodi.org 47

[그림3-1] 제프리 쇼(Jeffry Shaw), 'The Legible City'(1989~91) 52

[그림3-2] 뉴미디어아트 작품의 상호작용성 54

[그림3-3] William Carlos Williams의 시 "The Red Wheelbarrow'를 표현한 작품 56

[그림3-4] 레이저 태그(R.A.Z.O.R TAG) 퍼포먼스, 암스테르담, 2007 58

[그림3-5] 레이저 태그(R.A.Z.O.R TAG) 퍼포먼스에 사용된 장비 59

[그림3-6] 전시 구성요소의 상호적 관계 60

[그림3-7] 대표적인 UCC 사이트 : YouTube (www.youtube.com) 61

[그림3-8] '걸어가는 사람들(Walking People)', 줄리안 오피(Julian Opie) 64

[그림3-9] Zhang Ga의 '사람들의 초상', 2006 65

[그림3-10] www.vimeo.com 66

[그림4-1] Extended Senses: Korean and Japanese Media Art of Today (ICC, Japan) 71

[그림4-2] 아티스트의 통합적 창작환경 72

[그림4-3] 전시 프리뷰 솔루션의 예제 모델 - 갤러리 루프 77

[그림4-4] Access (Marie Sester, 2003) 84

[그림4-5] 뉴미디어아트 전시 기획 개념도 84

[그림4-6] SFMoMA 86

[그림4-7] 전시 아카이빙 시스템 - Extended Senses: Korean and Japanese Media Art of Today (갤러리 루프) 89

[그림4-8] 덴마크 브리셀의 Dexia tower 외벽에 설치된 미디어 91

[그림4-9] 시세이도의 인터랙션한 자바 달력 92

[그림4-10] An Interactive Poetic Garden 94

[그림4-11] MIT Media Lab '키네텍스트' 95

[그림4-12] Image clips of analyzed layers 96

[그림4-13] Interactive visual poem 97

[그림4-14] "기억의 방", 성남아트센터 오페라 하우스, 2008 98

초록보기 더보기

기존의 미디어(라디오, TV, 신문 등)에서 뉴미디어(컴퓨터, 인터넷 등)로 넘어오면서 뉴미디어를 통한 실재-가상, 그리고 시간-공간이라는 경계의 파괴는 예술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뉴미디어 아트(New Media Art)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예술 형식으로 기존의 회화, 조각 등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도구 이외에 다양한 기술과 매체를 통해 예술성을 표현한다. 뉴미디어 아트는 예술 영역 안에서 기술을 필요로 하였고 이것은 새로운 예술 장르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게 하였다.

예술에 있어서 기술적인 요소를 통해 관람객과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interaction)은 새로운 발견이다. 뉴미디어 아트의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은 예술가와 작품을 통해서 직접 소통하게 된다. 초기에 등장한 미디어아트 작품은 단순한 형태로 기술적 요소를 활용하는데 그쳤지만, 컴퓨터의 등장으로 본격적으로 예술과 공학의 융합의 필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뉴미디어 아트의 역사에 있어서 본격적인 전개는 개인용 컴퓨터(PC)가 보급되고 컴퓨터 그래픽이 개발되면서부터였다. 새롭게 등장한 뉴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미술은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고, 특히 설치미술가들은 뉴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이 후 인터넷의 등장은 개인용 컴퓨터의 등장보다도 더 큰 변화를 가져왔다.

뉴미디어매체를 통해 인간의 감각은 스스로 이상의 종류와 범위로 확장될 수 있게 되었고(extended senses), 이에 따라 작가는 표현영역을 넓히고 관객은 수용영역을 넓힐 수 있게 되었다.

즉,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디지털 미디어 매체와 인간의 감각사이에 새로운 관계성을 가지게 하였다고 미디어를 통해 인간의 감각체계는 보다 세밀하고 공감각화된 체계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사회적·산업적·문화적 상황 속에서 예술의 표현성을 극대화한 미디어 기술은 변화하는 사회현상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답보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예술에 특화된 기술의 개발에 대한 시도와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공학과 예술의 융합을 더욱 가속화 시키는 촉매가 되고 있다. 그리고 끊임없이 다양한 하이테크놀로지와 하드웨어를 통해서 예술품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지금 연구되지 않는 부분은 이러한 뉴미디어작품을 전문적으로 전시하고 관리 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뉴미디어아트의 전시의 상호작용적 특징과 범위를 연구한다. 또한 전시 환경을 창작, 수용, 보급 환경으로 나누어 효과적인 전시환경을 연구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장르간의 협업 등에 관한 연구와 나아갈 방향을 제안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