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COCOMO Ⅱ 비용인자를 기반으로 / 김장현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8
청구기호
TD 658 -11-1271
형태사항
viii, 11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4792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2011.8. 지도교수: 정충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2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5

1.3. 연구 구성 17

제2장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18

2.1.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정의 18

2.2.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기법 20

2.2.1. 유사추정기법(Analogy Approach) 20

2.2.2. 전문가판단기법(Expert Judgement Approach) 21

2.2.3. 상향식추정기법(Bottom-Up Approach) 22

2.2.4. 모수추정기법(Parametric Cost Estimating Approach) 23

2.2.5.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기법의 장·단점 25

2.3.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26

2.3.1. 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II 26

2.3.2. PRICE(Parametric Review of Information for Costing for and Evaluation)-S 모델 30

2.3.3. 지경부 대가 모델 33

2.3.4.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의 장·단점 37

2.4. 소프트웨어 규모 측정척도 39

2.4.1. 소스코드라인수(Source Lines Of Code) 41

2.4.2. 기능점수(FP : Function Point) 43

제3장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개발 프로세스 고찰 48

3.1. 개발 프로세스 정의 48

① 연구 목적 및 범위 49

② 기존 논문연구 49

③ 비용인자 식별 49

④ 비용인자 중요도 결정 50

⑤ 비용인자 수집 및 보정 51

⑥ 비용 추정모델 개발 51

⑦ 비용 추정모델 검증 52

⑧ 비용 추정모델 보정 53

3.2. 비용인자 식별 및 중요도 결정 54

3.2.1. 일반적 비용인자 54

3.2.2. 국방환경 비용인자 55

3.3. 비용인자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59

3.3.1. 비용인자 수집 59

3.3.2. 비용인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61

3.4.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 사례연구 66

3.4.1. 기능점수(FP)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 66

3.4.2. 투입인력의 수와 기간에 의한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 68

3.4.3.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규모척도 적용 69

3.4.4. 현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 문제점 70

제4장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개발 73

4.1. 개요 73

4.2.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을 위한 회귀모형 결정 76

4.2.1.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자료분석 76

4.2.2. 비용인자 잔차분석 77

4.2.3. 회귀모형 기본형태 결정 78

4.3.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80

제5장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적합성 검증 84

5.1.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검증 84

5.2.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활용 87

제6장 결론 89

6.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89

6.2.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91

참고문헌 93

국문 요약 102

Abstract 106

부록 110

부록 1. 설문지 111

부록 2. 기술자의 등급 및 자격기준 128

부록 3. 약어 및 용어해설 129

〈표 1-1〉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분류 13

〈표 2-1〉 전문가 의견회수 양식 22

〈표 2-2〉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진기법에 대한 장·단점 비교 25

〈표 2-3〉 규모인자(SF) 등급별 값 27

〈표 2-4〉 노력인자(EM) 등급별 값 28

〈표 2-5〉 규모 보정방법 34

〈표 2-6〉 어플리케이션 유형별 보정계수 35

〈표 2-7〉 개발언어 보정계수 36

〈표 2-8〉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에 대한 장·단점 비교 37

〈표 2-9〉 개발언어별 생산성 차이 보정 Gearing Factors 43

〈표 2-10〉 내부논리파일(ILF)의 복잡도 및 기능점수 가중치 45

〈표 2-11〉 외부연계파일(EIF)의 복잡도 및 기능점수 가중치 45

〈표 2-12〉 외부입력(EI)의 복잡도 및 기능점수 가중치 46

〈표 2-13〉 외부출력(EO)의 복잡도 및 기능점수 가중치 46

〈표 2-14〉 외부조회(EQ)의 복잡도 및 기능점수 가중치 47

〈표 2-15〉 평균 복잡도 및 기능점수 가중치 47

〈표 2-16〉 단계별 기능점수(FP)당 단가 47

〈표 3-1〉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의 기본형태 50

〈표 3-2〉 일반적 비용인자(SFi, EMi)의 등급별 값(이미지참조) 55

〈표 3-3〉 국방환경 비용인자(DFi) 등급별 값(이미지참조) 56

〈표 3-4〉 비용인자 수집대상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현황 59

〈표 3-5〉 국방정보체계 DB 관리도구 설계 62

● 기능점수(FP) 추정내역 67

● 보정 전 개발원가 계산 67

● 개발원가 계산 68

● 소프트웨어대가 추정 결과 68

● 소프트웨어 추정 결과 68

〈표 3-6〉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규모척도 적용 현황 69

〈표 3-7〉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예산현황 72

〈표 4-1〉 다중회귀(multiple regression) 계수a(이미지참조) 80

〈표 4-2〉 모형요약 82

〈표 4-3〉 분산분석 83

〈표 5-1〉 MMRE(Magnitude Relative Error) 비교 86

[그림 1-1] 연구의 구성 17

[그림 2-1]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절차 39

[그림 2-2] 소스코드라인수(SLOC) 측정 프로그램 실행 "예" 42

[그림 2-3] 기능점수의 유형 44

[그림 3-1]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 8단계 개발절차 48

[그림 3-2] 국방정보체계 DB 관리도구 화면(I) 64

[그림 3-3] 국방정보체계 DB 관리도구 화면(II) 64

[그림 3-4] 데이터베이스 입력내용 조회 화면 65

[그림 3-5] 소프트웨어 기능점수(FP)에 의한 대가 추정 방법 66

[그림 4-1] 개발기간 분석 76

[그림 4-2] 선형성 추정 77

[그림 4-3] 로그변환 모형 77

[그림 4-4] 소요공수(man-month)에 대한 잔차분포와 산점도 78

[그림 5-1] COCOMO II에 의한 비용추정 85

[그림 5-2] COCOMO II의 활용 가능 시점 87

초록보기 더보기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는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무기체계분야인 전장관리 정보체계와 비무기체계분야인 자원관리정보체계로 구분하며, 적용 분야 및 특성에 따라 훈련용 M&S체계, 분석용 M&S체계 및 획득용 M&S체계로 구분한다. 훈련용 M&S체계는 전술훈련 모의장비인 시뮬레이터를 제외한 개별 병사의 전술?전기 연마훈련으로부터 전구급 합동 지휘관 및 참모의 전투지휘훈련까지 사용하며, 분석용 M&S체계는 군사력 평가, 개념분석, 군 구조분석, 작전계획분석, 전시 자원소요분석 및 전투실험 등에 사용한다. 또한 획득용 M&S체계는 무기체계의 획득관리활동인 사전분석, 비용분석 및 시험평가 등의 전 주기에 걸쳐 사용한다.

이들 국방M&S체계는 90년대 중반부터 각 군이 정보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훈련용 M&S체계인 창조21모델(′99)을 시작으로 분석용 M&S체계인 지상군 자원소요분석모델(′10) 등 현재까지 70여종의 M&S체계를 자체개발 및 외국군으로부터 도입하여 사용 중에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시 비용추정은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의 획득 및 개발 환경의 특성이 반영된 특성인자를 포함하지 않고 소프트웨어 비용을 산정하여 과소 또는 과대 추정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의 추정목적은 제한된 기간과 자원 범위내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합리적이고 타당한 그들의 기대치에 대응하기 위한 비용을 추정하는 것으로써, 소프트웨어사업 대가는 정보전략계획수립비, 소프트웨어개발비, 소프트웨어재개발비, 데이터베이스구축비, 시스템운용환경구축비, 소프트웨어유지보수비 등을 포함한다.

연구에서는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시 국방 개발환경의 특성이 반영된 소프트웨어 비용인자를 반영하여 국방환경에 적합한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의 대가 추정을 위하여 각 군의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에서 현재까지 개발한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21종에 대한 일반적 비용인자와 국방환경 비용인자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정확도가 높은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DISCOMO I)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비용인자의 수집은 설문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비용인자의 수집을 위해 설문 응답자를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시 참여한 개발조직(팀)의 사용자, 관리자, 개발자, 유지보수 담당자로 제한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비용인자는 비율척도(ratio scale)로 등급을 적용하였다.

종속변수인 소요공수(man-month)와 독립변수인 비용인자가 높은 연관성을 갖기 위해서는 수집한 자료가 선형성이어야 한다. 선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종속변수인 소요공수(man-month)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스라인수(KSLOC)를 독립변수로 하는 선형모형을 확인하여 추정하였다. 선형모형을 추정한 결과 비선형임이 확인되어 회귀분석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비선형모델을 선형모델로 변환하였다.

비선형모델을 선형모델로 변환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인 로그변환(log transfor- mation)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비용인자의 등급은 해당 비용인자와 연관된 소프트웨어 개발 특성 및 활동에 따라 순위척도(ordinal scale)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등급을 결정하였으며, 각각의 순위척도(ordinal scale)는 비용 추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기존의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비용추정은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획득 및 개발 환경의 특성 요인을 반영하지 않고 소프트웨어 비용을 산정하여 과소 또는 과대 추정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DISCOMO I)은 국방 환경내의 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의 특성이 실질적으로 반영된 소프트웨어 비용인자를 수집하여 국방 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에 적합한 비용 추정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DISCOMO I)의 정확성을 검증한 결과 정확성 척도인 MMRE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모델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COCOMO II의 MMRE보다 작아 정확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DISCOMO I)이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의 특성을 잘 반영한 보다 정확한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모델임을 의미한다.

셋째, 소프트웨어 비용을 실적자료를 기준으로 추정하는 절차는 현실적으로 정량적인 자료의 획득이 제한되어 그동안 시도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DISCOMO I)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검증된 비용인자를 수집후 국방정보체계 DB 관리도구에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관리한다면 보다 비용추정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연구에서 제시한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사업 대가 추정모델(DISCOMO I)을 무기체계 전장관리 정보체계 분야와 비무기체계 자원관리 정보체계 분야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획득 분야에 사용한다면, 소프트웨어 개발차원에서는 효율적인 자원의 배분과 효과적인 위험관리를 실시할 수 있고, 획득차원에서는 소프트웨어 비용의 과대추정을 막아 한정적인 국방예산의 효율적인 사용에 기여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