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8

II. 연구대상 및 방법 10

1. 연구 대상 10

2. 연구 방법 11

가.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촬영 11

나. 골밀도 측정을 위한 하악골 영상 제작 11

다. 골밀도 측정 13

3. 통계학적 분석 15

III. 연구결과 16

1. 부위별 연령에 따른 하악 치조골 골밀도 비교 19

2. 연령별 부위에 따른 하악 치조골 골밀도 비교 20

IV. 총괄 및 고찰 22

V. 결론 29

참고문헌 31

ABSTRACT 38

Table 1. Patient Distribution According to Age and Gender 10

Table 2. Mean bone density of mandible (unit: HU) 16

Table 3. Statistical analysis of bone density and comparison between male and female (unit: HU) 17

Table 4. Statistical analysis of bone density as aging process (unit: HU) 19

Table 5. Statistical analysis of bone density in each site (unit: HU) 20

Fig 1. Windows of EZ3D program, sagittal views 11

Fig 2. Tomography image showing the site of root in EZ3D program 12

Fig 3. Incisor point (Between 41 to 42), Canine point (Between 43 to 44), Premolar point (Between 44 to 45), Molar point (Between 46 to 47) 13

Fig 4. Bone density is expressed as Hounsfield unit (HU) in EZ3D. This image showing in the area between 1st molar and 2nd molar of mandible. 14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하악 치조골의 골밀도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남녀별, 연령별, 치아 부위별 및 협·설 피질골과 해면골별로 비교함으로써 하악 치조골 골밀도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측정 부위의 정상교합자를 10대에서 60대까지 나누어 분석하고, 연령별로 남녀 5명씩 선정한 후 CBCT 촬영 후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한 다음 EZ3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치부에서 대구치부까지 12부위를 선정하여 골밀도를 측정하고 Hounsfield unit(HU)으로 표현하였다. 각 부위에서 얻은 평균 골밀도를 남녀, 연령, 부위에 따라 나누어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별 평균 골밀도는 10대 협측 피질골 635.8 HU, 해면골 353.5 HU, 설측 피질골 695.6 HU, 20대 협측 피질골 1090.5 HU, 해면골 493.1 HU, 설측 피질골 1143.4 HU, 30대 협측 피질골 996.6 HU, 해면골 496.8 HU, 설측 피질골 1035.6 HU, 40대 협측 피질골 962.3 HU, 해면골 432.1 HU, 설측 피질골 949.3 HU, 50대 협측 피질골 845.6 HU, 해면골 369.9 HU, 설측 피질골 913.2 HU, 60대 협측 피질골 699.1 HU, 해면골 170.3 HU, 설측 피질골 657.4 HU로 나타났다.

2. 부위별 평균 골밀도는 전치부 협측 피질골 733.1 HU, 해면골 389.8 HU, 설측 피질골 738.5 HU, 견치부 협측 피질골 781.7 HU, 해면골 398.9 HU, 설측 피질골 828.7 HU, 소구치부 협측 피질골 886.9 HU, 해면골 384.2 HU, 설측 피질골 973.8 HU, 대구치부 협측 피질골 1084.9 HU, 해면골 370.9 HU, 설측 피질골 1055.3 HU로 나타났다.

3. 각각의 부위에서 남녀의 평균 골밀도를 비교한 결과 72개의 조사부위 중 50대 소구치부 해면골과 60대 대구치부 협측 피질골은 남자가 높았으며,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하악 치조골의 협측 피질골 골밀도는 전치부에서 20~40대, 견치부·소구치부에서 20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20~60대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하악 치조골의 해면골 골밀도는 전치부, 견치부, 소구치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60대에서는 뚜렷한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10대, 50대, 60대에서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낮아졌다. 20~40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하악 치조골의 설측 피질골 골밀도는 전치부에서 20~40대, 견치부·소구치부에서 20대, 대구치부에서 20~30대가 높았고, 10~60대에서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높아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하악 치조골 골밀도의 연령별 수치를 알 수 있고, 나이변화에 따른 골밀도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부위별 골밀도 수치도 알 수 있어 하악 치조골 골밀도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