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7
I. 서론 12
1. 문제제기 12
2. 연구목적 15
3. 연구방법 16
4. 논문구성 18
II. 이론적인 배경 19
1. 기존 선행연구 분석 19
(1) 한류의 개념 19
(2) 한류에 관한 선행연구 21
2. 문화접변이론 32
(1) 문화와 문화접변 32
(2) 문화접변의 과정 36
3. 중국의 문화적 특성과 외래문화수용 49
III. 중국 내 한류의 발전과정 53
1. 한류 초기단계 (1999년 이전) 53
2. 한류 전개단계: (1999-2005년) 55
(1)수출총액의 급증 56
(2)드라마 평균 수출단가의 상승 57
(3)수출품목의 다양화 57
3. 한류 정체단계: 2006-현재 61
IV. 한류에 대한 중국의 태도 분석 (1): 한류 초기 및 전개 단계 66
1. 중국의 사회 문화적 환경: 필요성 66
(1) 전통문화의 해체 및 사회가치관의 부재 66
(2) 중국정부의 외래문화 수용태도 변화 70
(3) 중국경제의 성장 및 소비구조의 변화 75
(4) 중국 문화시장의 확대와 문화콘텐츠의 부족 76
2. 한류콘텐츠 및 제공자의 역할: 적합성 84
(1)중국정서에 부합 84
(2)한국 대중문화의 비교우위 91
(3)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지 97
3. 소결 100
V. 한류에 대한 중국의 태도분석 (2): 한류 정체단계 104
1. 중국의 사회 문화적 환경변화: 필요성의 변화 107
(1)중국 문화민족주의의 부흥과 중국의 복고 열풍 107
(2)문화산업에 중국정부의 인식변화 116
(3)중국 문화산업의 성장: 드라마 119
2. 한류콘텐츠 및 제공자의 역할변화: 적합성의 변화 122
(1)한국 대중문화의 비교우위 상실 122
(2)한류의 지나친 상업화와 일방적인 전파 127
(3)한중 갈등의 심화 130
(4)한국정부의 지나친 관여 132
3. 소결 134
VI. 결론: 한류의 변화전망 137
참고문헌 143
ABSTRACT 159
중국은 ‘한류(韓流)’라는 용어가 처음 생겨난 한류의 발원지며 한류 열풍이 가장 뜨겁게 불었던 곳이다. 한류의 시작은 한국의 대중문화와 인기스타에 대해 열광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한국어, 음식, 패션, 화장품, 공연, 전통문화, 역사물 등 한국의 문화요소 전반에 대한 호감으로 발전하였다. 한류는 2005년 드라마 〈대장금〉이 중국에서 방영될 때 최고 절정을 이루었다. 그러나 〈대장금〉의 폭발적인 인기에 대한 역풍으로 중국방송관계자들과 연예인들을 중심으로 한류를 반대한다는 반(反)한류 또는 ‘한류에 저항한다’는 의미의 항(抵抗)한류가 본격적으로 생겨났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류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국인들의 한류에 대한 인식변화 이유를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시각에서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중국에서의 한류 발전의 잠재성을 전망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한류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한류의 중국 전파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국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문화접변이론에 따라 중국문화가 일부 해체 및 부재하는 상황에서 한류가 중국에 진출했다. 첫 단계에서 바로 거절이나 거부 현상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중국사회가 문화 사회적 측면에서 비교적 개방적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면 일단 필터를 거치고 나서 수용이나 저항이 일어난다. 한류가 처음 중국에서 시작될 때 찬성과 반대의 목소리가 공존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한류는 중국 입장에서의 필요성 및 적합성을 충분히 만족하였기 때문에 발전할 수 있게 된다.
중국의 물질문명은 크게 발전했지만 상대적으로 정신문명은 낙후되어 있었다. 반세기 이상 사회주의 이념 아래, 특히 문화대혁명을 거치면서 철저한 반전통과 반(反) 유교 반종교 질서가 사회 전반에 팽배했기에 중국인들에게 있어 전통적인 가치관은 철저히 부정되거나 거의 실종되었다. 기존의 전통적 가치관이 현대중국인의 새로운 가치관 형성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던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그대로 방치될 때 그 문화요소는 해체를 시작하고, 곧 소멸되어버리며 그 사회를 유기적을 돌아가게 만들어주는 문화 시스템 가운데 공백이 생기게 되었다.
중국은 이러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하려고 한다. 중국의 역사전통으로 보면 무작정 필요하기 때문에 수입하는 것이 아니라 ‘적합성’ 측면에서 적절하여야 문화수용을 허용했다. 즉, ‘필터’란 것을 거쳐 새 문화요소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적합성’이란 외래의 문화요소가 선택, 수용되었을 때 그것과 관련을 갖게 되는 문화요소들이 잘 어울리는가를 뜻한다. 아무리 필요성이 높더라도 적합성이 낮으면 그 문화요소는 수용되지 않는다. 요컨대 적합성의 문제는 수용자 측 문화에 이전부터 있어온 문화요소에 새 문화요소가 적합한지의 여부가 포인트다.
한류는 중국 정서와 부합된다. 또 문화적 할인이론으로 볼 때 한국드라마는 유교의 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다. 한국 대중문화의 비교우위 측면에서도 한류 드라마는 중국사회를 충분히 만족시키고 한류중국에서의 수용,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류 드라마의 매력은 아름다운 배경과 음악 및 대사에 있다. 또한 한국 드라마의 제작방법 및 방영 시스템을 볼 때,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인기 한류드라마 제작의 비결로 꼽히기도 한다. 중국에서의 한류의 발전은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지와도 관련이 있다.
임시적으로 선택된 문화가 기존 문화요소들과 융합을 잘 하게 되면 그때서야 ‘수용’이 일어나다. 앞에서 언급한 것들은 한류가 중국에서 수용되는 데 있어 조건에 해당하는 것이고 이런 조건에 잘 부합될 때, 한류가 중국에서 시작 및 전개되는 것이다.
한류는 1997년부터 중국에서 시작되고 발전해 왔다. 2004년 〈대장금〉의 대 흥행을 한류 유행의 정점으로 볼 수 있다. 그 후 중국에서의 한류는 정체단계에 들어간다.
2004년부터 중국국가광전총국은 한국드라마에 대한 제한을 강화하였다. 이로써 한국프로그램의 방송편수도 줄어들고 대중국수출도 많이 줄어들었다. 그리고 이시기에는 동북공정과 고구려문제, 강릉단오절 세계문화유산등록 논쟁 등 역사문제와 관련된 문화 갈등으로 인해 반한 발언이 계속 나오게 된다.
중국에서 한류의 정체이유에 대해 필자는 중국의 한류에 대한 필요성 변화 및 한류자체의 적합성 문제에 있다고 판단했다.
문화접변이 계속되면 수용자 측 문화의 사람들은 그것을 ‘외압’이라 느낀다. 그 외압이 문화의 완전한 해체를 초래할 만큼 강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강력하다고 느껴질 경우, 사람들은 재래 문화의 가치에 집착하고 토착문화로 외압에 대응하려고 한다. 즉, 새로운 문화요소를 외부가 아니라 이전부터 존재해왔던 과거 문화유산에서 찾는 움직임이 일어난다.
이 시기에 중국은 문화민족주의의 부흥을 기치에 내걸었고 문화의 중요성을 더욱더 강조하기 시작하는데 이로 인하여 복고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전통문화 복구를 통해 잃어버린 정신문명을 되찾으려고 했다. 전통문화유산 회복운동 및 전통문화 및 공자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이런 노력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산업에 대한 중시가 더욱더 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한류 수용에 있어 필요성의 변화와 한류콘텐츠의 적합성의 변화도 한류 저항이 일어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한국 대중문화의 비교우위 상실도 적합성의 변화로 볼 수 있다. 내용 및 생산 유통 및 스타시스템 문제 등이 중국에서의 한류 보급을 저해하는데 한류의 지나친 상업성과 일방적 전파는 중국사람의 반감을 유발하고 이것이 하나의 정체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05년이래 한중 사회 갈등 또한 적합성의 변화를 유발하여 한류 정체의 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적합성의 변화가 한류에 대한 수용이 저항까지 이어지는데 주 요소로 작용하였다.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필요성’은 더 중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류를 통해서 배우고 있다’라는 말은 한류문화의 수용 ‘필요성’이 아직은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류에 대한 필요성을 중국에 지속적으로 어필한다면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한류의 생산주체들은 한국문화의 우월성을 강조하거나 과시하는 민족주의적 한류를 넘어 중국과 아시아 전체 정서에 호소할 수 있는 소통과 교류의 한류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일방적인고 상업적인 전파를 가능하면 자제하고 쌍방향교류를 통해 한국, 중국 공동의 컨텐츠를 개발하고 상호 문화교류를 확대한다면 불필요한 반목과 갈등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현재와 같이 지나친 문화역조현상을 시정하고 한류와 한풍이 진정으로 교류하는 미래로 나가기 위해서는 양국간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한류 자체의 발전도 계속되어야 한다. 또한 한류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와 반한류 원인 또한 분석, 시정되어야 한다.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일방적 전파가 아닌 상호 우호적 경쟁 아래, 중국과의 협력을 이끌어낸다면 양국간 더 큰 발전을 이루어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형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중국방송산업현황과 상호교류 방안 연구.” 한국방송진흥원. 2001. | 미소장 |
2 | “동아시아 텔레비전 드라마가 재현한 가족과 가족관계: 한국, 일본, 대만의 사례 비교.”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 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08. | 미소장 |
3 | “중국 시청자의 한국 방송영상물 수용성 조사연구.” 문화관광부. 2002. | 미소장 |
4 | “쟁점: 한류 문화인가 상업주의인가- 한류는 동아시아문화코드.” 「국제평화」. 2(1). 2005. | 미소장 |
5 | 『한류이야기, 한류의 근원에서 미래까지』. 서울: 이채. 2006. | 미소장 |
6 | 『대중문화론』. 나남출판사. 1987. | 미소장 |
7 | “한류 수용자의 특성과 그 함의에 대한 고찰: 중국의 안재욱 팬클럽에 대한 사례연구.” 『중국은 왜 한류를 수용하나: 한류의 중국적 토대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학고방. 2004. | 미소장 |
8 | 한류 지속화를 위한 방안 ![]() |
미소장 |
9 | 한류 지속과 기업의 활용방안 ![]() |
미소장 |
10 | Research of the change shape appearance of Korean wave in China | 소장 |
11 |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ybridity in the Flows of Popular Culture Products in East Asia | 소장 |
12 | 중국의 한류 현황과 지속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소장 |
13 | 『사례와 통계로 본 중국소비자와 중국시장』. 서울: 전영사. 2002. | 미소장 |
14 | The Meanings of Korean TV Dramas for Vietnamese Audiences -A Field Report- | 소장 |
15 | 『문화일류학의 이해』. 일신사. 2002. | 미소장 |
16 | 대한상공회의소. “한류열풍이 실체와 기업의 전략적 활용방안.” 연구보고서. 2005. | 미소장 |
17 | 문화관광부. 『2001년 문화산업백서』.2001. | 미소장 |
18 | “중국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한류현상 분석.” 「한국생활과학학지」. 13(6). 2004. | 미소장 |
19 | “한류를 통한 중국인 관광객 유치전략.”「한국광고정보연구」. 18. 2004. | 미소장 |
20 | 『문화콘텐츠학개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미소장 |
21 | 『한류, 신화가 미래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미소장 |
22 | 『한류, 글로벌 세대의 문화경쟁력』.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5. | 미소장 |
23 | '한류' 위기와 진단 : 호혜적 방송영상물 교류, 어떻게 할 것인가? | 소장 |
24 | 『동아시아의 문화선택 한류』. 서울 펜타그램. 2005. | 미소장 |
25 | 『한류를 활용한 중국관광객 유치증진 방안 』. 한국관광연구원. 2002. | 미소장 |
26 | 서울신문특별취재팀. 『중국의 미래를 읽는다』. 서울: 일빛. 2005. | 미소장 |
27 | 『중국인의 가치관』. 1984. | 미소장 |
28 | The Globalization of Korean Popular Culture and ‘Han Ryu’ ![]() |
미소장 |
29 | 동아시아의 "한류" 현상 : 비교 분석과 평가 | 소장 |
30 | 『동아시아의 한류』. 전예원. 2006. | 미소장 |
31 | 중국 내 韓流에 관한 고찰 : 최근의 韓中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 소장 |
32 | 『한류의 비밀 소프트 파워, 소프트 코리아의 현장을 찾아서』. 생각의 나무. 2005. | 미소장 |
33 | 국제 공동 제작 드라마의 제작 방식과 성과에 관한 연구 | 소장 |
34 | Korean-Wave, anti Korean Wave and Politics of Identity in China | 소장 |
35 | “중국의 한류 수용양상: 선택적 수용, 저항 그리고 변용 및 주변화.”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중소연구」. 32(4). 2007. | 미소장 |
36 | Japanese youth's consumption of Korean pop culture: Pseudo-hybridity in the 'Korean Wave' in Japan | 소장 |
37 | “2007방송 한류 위기 극복 방안은?” 「KBI포커스」21호. 한국방송 영상산업진흥원. 2007. | 미소장 |
38 | 『한류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종합조사연구』. 서울: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2008. | 미소장 |
39 | “중국의 한류현상에 대한 한국미디어의 보도 경향연구.” 한국방송학회 한류 국제세미나 (상하이 부단대학교 )발표 논문. 2002. | 미소장 |
40 | 한류 문화자본의 형성과 문화민족주의 | 소장 |
41 | 『아시아문화연구를 상상하기: 문화민족주의와 문화자본의 논리를 넘어』. 서울: 그린비.2006. | 미소장 |
42 | “소프트 파워를 읽는 이어령과의 대화.” 『한류의 비밀』. 2006. | 미소장 |
43 | 『문화코드』. 문학사상사. 2006. | 미소장 |
44 |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 일본, 그 초국가적 욕망』. 또 하나의 문화. 2004. | 미소장 |
45 | 한류의 원산지효과 : 중국과 일본 한류의 비교 | 소장 |
46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Attracting Chinese Visitors Using the Popular "Korean Wave" ![]() |
미소장 |
47 | 중국에서의 '한류' 열풍 고찰 | 소장 |
48 | “반 한류의 성격과 그 대응 방식.” 『2005한류, 기회와 도전』세미나 발제 문. 한류정책자문위원회. 2005. | 미소장 |
49 | 동북아 문화공동체 구상 : 한류의 역할을 중심으로 | 소장 |
50 | Chinese Popular Culture and Nationalism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소장 |
51 | Mass Communication Effects of the 'Hanliu' : Impacts of the Chinese's Use of Korean Cultural Products upon the Attitudes towards Korea and Intention to Buy Korean Products | 소장 |
52 | A Test of the 'Mass-Mediated' Cross-culturalCommunication Effects' of the Hanliu in China | 소장 |
53 | Articles : The Transfer of Korean Culture in Southeast Asia: Focusing on Strategic Network Development for the Effective Transfer of Korean Culture and the Related Industry ![]() |
미소장 |
54 | '한류(韓流)' 현상과 한·중 문화교류 | 소장 |
55 | 『한국문화상품에 대한 동아시아 소비자 및 정책조사 연구』. 서울: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2006. | 미소장 |
56 | “한류와 TV드라마 프로그램의 수출 활성화에 관한 연구-제작시스템을 중심으로.” 2004. | 미소장 |
57 | “중국시청자의 한국드라마 시청형태와 매체효과에 관한 연구-한류현상에 대한 이용과 충족이론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석사논문. 2007. | 미소장 |
58 | From “Folk Culture” to “Great Cultural Heritage of China” | 소장 |
59 | “아시아적 문화의 흐름과 한류.” 「한국방송학보」. 19(3).2005. | 미소장 |
60 | “전환기 중국의 발전과 위기, 변화와 지속의 동학.” 「전환기 중국의 사회1」.서울: 오름. 2004. | 미소장 |
61 | “한국대중문화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한류의 지속화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1 | 미소장 |
62 | 『실크로드학』. 창비. 2006. | 미소장 |
63 | Strategy for increase of Foreign tourists Using the Korean Wave in Jeju | 소장 |
64 | “한, 중, 일 삼국 대중문화교류와 그 영향.” 『동아시아의 문화정체성 확립을 통한 한. 중. 일 협력방안 연구』. 한·중·일 국제학술 심포지엄 논문집. 동국대학교. 2007. | 미소장 |
65 | Effects of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Wave(Hallyu) on Korean Product Purchase and Country Image in Chinese Market | 소장 |
66 | Articles : Modernity , Popular Culture and East - West Identity Formation - A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Wave in Asia - | 소장 |
67 | Study on Korean Wave(Han-Ryu) among the Chinese Youth and Prospect of Korea-China Relation | 소장 |
68 | 중·한 교류확대를 위한 한류문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소장 |
69 | 『일본한류 소비자 연구보고서』. 2005. | 미소장 |
70 | “한국 TV드라마를 위한 변명.”『TV드라마와 한류』. 경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박이정. 2007. | 미소장 |
71 | “동아시아 미디어문화 교류에 대한 이론적 검토.” 「현대중국문학」. 30. 2004. | 미소장 |
72 | Television Drama Flow and Nationalism in East Asia | 소장 |
73 |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05 장르별 수출입 단가 비교.” 『마켓 클리핑』.2006. | 미소장 |
74 | 한국방송위원회. 『2006년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2006. | 미소장 |
75 | 한국방송영상사업진흥원. “2005년 수출입총괄.” 『마켓 클리핑』. 2006. | 미소장 |
76 | “중국 한류 드라마에 대한 소고.” 『TV드라마와 한류』. 경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박이정. 2007. | 미소장 |
77 | 『한류 브랜드자산 측정 및 연관산업효과 연구 보고서』. 서울: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2005. | 미소장 |
78 | “한류 브랜드자산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68. 2005. | 미소장 |
79 | An Economical Ripple Effect on PerceivingConsumers of the Korean Wave | 소장 |
80 | Articles : The Phenomenon of "Hanliu" and the Acceptability of Foreign Popular Culture in China | 소장 |
81 | 『아시아 공동제작 현황과 발전방안』.영화진흥위원회. 2002. | 미소장 |
82 | 『국제문화론』. 서울: 풀빛. 2004. | 미소장 |
83 | (2005) 국가이미지 현황 및 시사점 ![]() |
미소장 |
84 | 마이데일리(2005.09.30), “<대장금>은 세제적 문화강국 뜻하는 신분증”- 중국언론 | 미소장 |
85 | 마이데일리(2005.12.20), “대장금, 중국에서 올해 최고의 외국드라마”. | 미소장 |
86 | 마이데일리(2005.12.5), “80% 중국인이 한국 드라마를 좋아하는 이유” | 미소장 |
87 | 매일경제신문(2008.01.08), “혐한류 퍼지는 중국” | 미소장 |
88 | 조선일보(2005.08.08), 김종학PD "이런 식의 한류열풍은 위험하다" | 미소장 |
89 | 조선일보(2005.09.22), “’한류우드’유감” | 미소장 |
90 | 중앙일보(2005.01.07), “한국시장 꽁꽁 닫아 심리적 통상마찰” | 미소장 |
91 | 중앙일보(2008. 02. 07), “한류에서 민족주의를 빼자” | 미소장 |
92 | 세계일보(2004.10.28), “식지 않는 한류 열풍” | 미소장 |
93 | 한국일보(2001.10.13), “한류 열풍” | 미소장 |
94 | 헤럴드경제(2004.7.15), “북경 내 사랑 쓸쓸한 퇴장” | 미소장 |
95 | 한국콘텐츠진흥원 www.kocca.or.kr | 미소장 |
96 | 한국영화진흥원 www.kofic.or.kr | 미소장 |
97 | 한국외교통상부www.mofat.go.kr | 미소장 |
98 | 한국문화체육관광부 www.mct.go.kr | 미소장 |
99 | 한국관광공사 www.visitkorea.or.kr | 미소장 |
100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www.kotra.or.kr | 미소장 |
101 | www.naver.com | 미소장 |
102 | Revitalization Movements ![]() |
미소장 |
103 | Disjuncture and Difference in the Global Cultural Economy ![]() |
미소장 |
104 | “Beyound the Korean wave as a sign of global shift.” Korean Journal . 45(4). 2005. | 미소장 |
105 | Perspectives in American Indian Culture Chang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1. | 미소장 |
106 | Cultural Intellectuals and the Politics of the Cultural Public Space in Communist China (1979-1989): A Case Study of Three Intellectual Groups ![]() |
미소장 |
107 | “Reasons for the U.S. dominance of the international trade in television programmers.” Media, Culture and Society. 10. 1988. | 미소장 |
108 | Communication personne-ordinateur en situation d'apprentissage : une méthode d'analyse ![]() |
미소장 |
109 | Space of Identity: Global Media, Electronic Landscapes and Cultural Boundaries. London: Routledge. 1995. | 미소장 |
110 | Acculturation: An Exploratory Formulation The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Summer Seminar on Acculturation, 1953 ![]() |
미소장 |
111 | Beyond media imperialism: Assymetrical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proximity ![]() |
미소장 |
112 | “Distinguishing th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of world television.” in A.Sreberny-mohammadi et al (eds.) media in a global context. London: armold. 1997. | 미소장 |
113 | Culture, Language and Social class in the globalization of television. The new communications landscape. 2000. | 미소장 |
114 | Cultural Imperialism: A Critical Introduction. London: Pinter. 1991. | 미소장 |
115 | “From Modernity to Chineseness”: The Rise of Nativist Cultural Theory in Post-1989 China ![]() |
미소장 |
116 | On Some Motifs in the Chinese "Cultural Fever" of the Late 1980s: Social Change, Ideology, and Theory ![]() |
미소장 |
117 | “韩流为什么这么热?”「百科知识」. 4月. 2002. | 미소장 |
118 | “韩流挡不住.” 「世界知识」. 第16期. 2002. | 미소장 |
119 | “韩国文化产业发展现状.” 「国际资料信息」. 10期. 2005. | 미소장 |
120 | “传承中华精神建设和谐文化- 韩流带来的文化反思.” 「中共贵阳市委党校」. 4期.2007. | 미소장 |
121 | “韩流热对我们文化产业发展的启示.” 「学习与实践」. 5期.2006. | 미소장 |
122 | “浅谈文化产业的发展特征-韩流的经济学启示.” 「北京工商大学学报」. 6期.2006. | 미소장 |
123 | “近代中国的文化民族主义及其现代取向.” 「广西社会科学」.96. 2003. | 미소장 |
124 | “近五年青少年流行文化现象的特点.” 「中国青年研究」.2期. 2003. | 미소장 |
125 | “中国影视发展的现状与趋势.” 「旅游学刊」.6期. 2004. | 미소장 |
126 | “对韩流来袭的文化思考.” 「思想理论教育」. 10期. 2004. | 미소장 |
127 | “韩流和汉流的内涵解谕.” 「文汇报」. 2005.11.15 | 미소장 |
128 | “大长今折射韩国文化战略.“「新民周刊」. 9期. 2005. | 미소장 |
129 | “韩流:韩国倾心打造的国家品牌.” 「半月谈」. 4期. 2006. | 미소장 |
130 | “从文化范式看人类文化转型和中华文明复兴.” 「新华文摘」. 3期. 2006. | 미소장 |
131 | “没有文化的文化是可怕的.” 「新华文摘」. 9期. 2006 | 미소장 |
132 | “试探韩剧走俏中国的原因及其影响.” 「乌鲁木齐职业大学学报人文科学版」. 3期. 2007. | 미소장 |
133 | “跨文化传播的典范-评韩剧在中国的流行.” 「科教文汇(下旬刊) 」. 6. 2007. | 미소장 |
134 | “跨文化传播漫谈.” 「对外大传播」. 5期. 2007. | 미소장 |
135 | “韩剧-作为大众文化的代表.”「电影评价」. 3期. 2007. | 미소장 |
136 | “跨文化传播的民主概念. ” 「学习时报」.2007. | 미소장 |
137 | “2007年韩国电影,韩流退潮的开始. ”「电影世界」. 1期. 2008. | 미소장 |
138 | “韩流成因以及对我们青少年的影响.” 「中国青年研究」. 2期. 2008. | 미소장 |
139 | “韩流现象-浅谈韩国影视剧的冲击. ” 「电影文学」. 3期 . 2008. | 미소장 |
140 | “中韩文化贸易发展的比较分析.” 「对外贸易实务」. 4期. 2008. | 미소장 |
141 | “国际文化贸易下的中国文化出口策略.” 「现代经济探讨」. 3期. 2008. | 미소장 |
142 | “中韩文化贸易逆差的原因以及对策分析. ” 「重庆工商大学学报」. 4期. 2008. | 미소장 |
143 | “回归传统文化民族主义的兴起. ” 「天津社会科学」. 4期. 1997. | 미소장 |
144 | “昙花一现:从韩流到寒流. ” 「剧作家」. 4期. 2008. | 미소장 |
145 | “中国现代会进程中的民族主义和国家主义.” 「海南师范学院学报」. 57. 2008. | 미소장 |
146 | “中国民族主义的历史和现状.” 「湘潮」. 281.2008. | 미소장 |
147 | “中国当代艺术中的民族主义情结以及根源.” 「电影评价」.1期. 2007. | 미소장 |
148 | “视觉盛宴与温暖人情的有机融合.” 「理论与创作」.第6期. 2002. | 미소장 |
149 | “韩剧的超现实悲情模式.”「艺术广角」. 03期. 2006. | 미소장 |
150 | “韩剧缥缈着一条看不见的战线.”「艺术评论」.10期. 2005. | 미소장 |
151 | “韩剧: 执意的魅力和时尚的个性.” 「理论与创作」.06期. 2005. | 미소장 |
152 | 路在何方--韩流冲击下的国产家庭伦理剧 ![]() |
미소장 |
153 | 韩剧流行因素的些许思考 ![]() |
미소장 |
154 | “从传播学的视角探讨韩剧成功进入中国市场的原因. ” 中华传媒网. 2005. | 미소장 |
155 | 索福瑞媒介研究. 《2005-2006 中国电视剧市场报告》. 2006. | 미소장 |
156 | “苦涩的端午节之争结局.” 东方网. 2005.11.28. | 미소장 |
157 | “蒋庆的读经运动和鲁迅的文化保守主义.” 2006.09.06. | 미소장 |
158 | 韓國端午的特征與韓中端午申遺后的文化反思 | 소장 |
159 | 淺談"韓流"的淵源與"漢潮"現象之交流 | 소장 |
160 | “韩流在中国. ” 中国社会科学院文献信息中心. 2003. | 미소장 |
161 | “中韩文化交流的现状和问题.” 「当代亚太」. 第七期 .2007. | 미소장 |
162 | “韩国对中国的认识赤字.” 新华网. 2007.04.04 | 미소장 |
163 | “中韩相互现象形成的背景分析-韩流和汉潮给我们的启示.” 「韩国研究论集」. 第10辑. 2003. | 미소장 |
164 | “韩交流年,韩国掀起中国热.” 新华网 . 2007. 04.09. | 미소장 |
165 | “向世界展示魅力中国.” 「环球时报」. 2006.09.12. | 미소장 |
166 | “我们何时拥有冬日恋歌式的软影响.” 「文汇报」. 2004.12.31. | 미소장 |
167 | 文化部. “中国文化产业将借鉴日韩两国的成功经验.” 「中国新闻网」. 2004.10.26. | 미소장 |
168 | “韩国人发明汉字??热贴引发的文化激辨.”「金羊网」.2006.10.24. | 미소장 |
169 | “当申遗成为一种病.” 「东方网」. 2010.02.07. | 미소장 |
170 | “韩国剽窃中国文化六大犀利罪状.” liuguangyubl.blog.sohu.com. 2010. | 미소장 |
171 | “非物质文化遗产的共享性、本真性和人类文化多样性发展.” 「中国民俗学文2009年年会论文」,中国社会科学院. 2009. | 미소장 |
172 | “中国社会转型时期的青年社会心理.” 「中国青少年研究会通讯」. 22期. 2006. | 미소장 |
173 | “韩流来袭:反思我们民族文化的发展状况.” 「搜狐博客」.2006. | 미소장 |
174 | “改革开放后新生代:自信乐观、晚婚晚育、消费活跃.” 「新生代调查」.2005. | 미소장 |
175 | “韩流和中国文化的沟通.” 「网易博客」. 2003. | 미소장 |
176 | 『韩流冲击波现象考察和文化研究』. 国际文化出版公司. 2008. | 미소장 |
177 | 『中国十五产业发展大思路』. 北京:中国经济出版社. 2000. | 미소장 |
178 | 『电视剧的投资和营销』. 中国广播电视出版社. 2004. | 미소장 |
179 | 『新兴贵族和中国电视』. 山东文艺出版社. 2004. | 미소장 |
180 | 『WTO和中国文化产业』.文化艺术出版社.2001. | 미소장 |
181 | 『中国电视产业的危机和转机』. 中国人民大学出版社. 2002. | 미소장 |
182 | 『犹在镜中』. 知识出版社. 1999. | 미소장 |
183 | 『2001-2002年:中国文化产业发展报告』. 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2. | 미소장 |
184 | 『全球化和中国文化产业发展』. 北京:中央编译出版社. 2006. | 미소장 |
185 | 『2007年中国文化产业发展报告』.中国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7. | 미소장 |
186 | 文化产业规划研究课题组. “文化产业概念的正式提出以及背景.” 『文化蓝皮书:2001-2002年中国文化产业发展报告』.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1. | 미소장 |
187 | 文化产业规划研究课题组. “迎接中国文化产业发展的新时代.” 『文化蓝皮书:2001-2002年中国文化产业发展报告』.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2. | 미소장 |
188 | 国家广电总局发展改革研究中心. 『2007年中国广播电视影视研究报告』. 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7. | 미소장 |
189 | 中国国家传媒蓝皮书编辑委员会. 『2007年中国传媒产业』. 北京:社会科学文献出版社.2007. | 미소장 |
190 | 中国广电总局. 『中国电视收视年鉴』. 2006. 2007. 2008. 2009. | 미소장 |
191 | 『中国电视大趋势』. 华夏出版社. 2005. | 미소장 |
192 | 『大众文化研究』. 上海三联出版社. 2001. | 미소장 |
193 | 『全球文化风暴』.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0. | 미소장 |
194 | 英国索尼亚利文斯通. 『理解电视受众解读的心理学』. 新华出版社. 2004. | 미소장 |
195 | 美国丹尼斯迈奎尔. 『大众与受众分析』. 中国人民大学出版社. 2004. | 미소장 |
196 | 『韩剧导读』. 广西师范大学出版社. 2006. | 미소장 |
197 | 『大众文化与传播研究』.学林出版社. 2005. | 미소장 |
198 | 『中国电视剧比较研究』. 中国广播电视出版社. 2006. | 미소장 |
199 | 『韩流汉风』. 中国社会文献出版社. 2006. | 미소장 |
200 | 『韩剧全解密』.中信出版社. 2006. | 미소장 |
201 | 『2005年文化中国』. 北京大学出版社. 2006. | 미소장 |
202 | 『文化全球化和中国大众文化』. 人民出版社 . 2004. | 미소장 |
203 | 『韩国电影手册』.现代出版社. 2002. | 미소장 |
204 | 『中国文化产业国际竞争力报告』.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4. | 미소장 |
205 | 『传播学教程』. 中国人民大学出版社. 1999. | 미소장 |
206 | 『传播学引论』. 新华出版社 . 2001. | 미소장 |
207 | 『跨文化交流』. 北京大学出版社. 2001. | 미소장 |
208 | 『跨文化交际学概论』. 外语教育与研究出版社. 1999. | 미소장 |
209 | 『中国文化的现代化』. 内蒙古人民出版社 .1999. | 미소장 |
210 | 『人文精神寻思录』. 文汇出版社. 2004. | 미소장 |
211 | 『全球化和大众传媒』. 清华大学出版社. 2002. | 미소장 |
212 | 『众神狂欢:世纪之交的中国文化现象』.中央编译出版社. 2003. | 미소장 |
213 | 『百年功罪』.香港:明镜出版社. 1999. | 미소장 |
214 | 『全面建设小康社会开创中国特色社会主义事业新局面』.北京,人民出版社. 2002. | 미소장 |
215 | 『邓小平文选』.北京,人民出版社. 1993. | 미소장 |
216 | 『中国文化新编』.联经出版公司. 1982. | 미소장 |
217 | 搜狐韩流(2002.06.18), “韩片很‘野蛮’,中国电影也‘恐韩’?” | 미소장 |
218 | 北京青年报(2002.08.23), “热门话题:如何面对韩流汹涌?” | 미소장 |
219 | 人民日报(2005.01.14), “韩流当道值得反省” | 미소장 |
220 | 西安报(2005.10.08), “抵制韩流,成龙张国立韩国媒体不满” | 미소장 |
221 | 羊城晚报(2005.10.01), “反感韩流,韩流冲击波余震不断”. | 미소장 |
222 | 重庆晚报(2006.09.15), “X-MAN涉嫌丑化中国人,哈韩族一片愤怒声音” | 미소장 |
223 | 环球时报(2005.07.08),“中国电视剧也恐韩” | 미소장 |
224 | 人民日报海外版(2006.06.17),“中国电视人炮打韩剧,控诉电视台,哀悼国产剧” | 미소장 |
225 | 亚洲周刊特辑(2001.06.24),“文化惊艳,两岸三地,韩流滚滚” | 미소장 |
226 | 人民日报 2005.01.14 | 미소장 |
227 | 新民晚报 2005.10.10 亚洲周刊 2005.10.23 | 미소장 |
228 | 新民周刊 2006.09.28 | 미소장 |
229 | 新民晚报 2005.10.10 | 미소장 |
230 | 云南日报 2006.06.24 | 미소장 |
231 | 中国青年报 2007.09.03 | 미소장 |
232 | 人民日报 2005.11.17 | 미소장 |
233 | 中国国务院 http://www.scio.gov.cn | 미소장 |
234 | 中国文化部 www.ccnt.gov.cn | 미소장 |
235 | 中国教育部 www.moe.edu.cn | 미소장 |
236 | 中国新华网www.xinhuanet.com | 미소장 |
237 | 中国国家广播电视总局www.sarft.gov.cn | 미소장 |
238 | 中国中央电视台www.cctv.com.cn | 미소장 |
239 | 中国北京广播网www.rbc.cn | 미소장 |
240 | 中青在线 www.cylo.net | 미소장 |
241 | 中国社会问题研究院 www.chinayjy.org | 미소장 |
242 | 百度www.baidu.co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