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개항기 구미 세력에 의한 국토 및 지역체계의 변화 / 김윤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8
청구기호
TD 711 -11-285
형태사항
xi, 24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54332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 2011.8. 지도교수: 최종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1. 연구의 배경 15

2. 연구의 목적 20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1

1. 연구의 범위 21

2. 연구의 방법 23

3. 연구의 흐름 28

제3절 선행연구 검토 29

1. 도시계획 관련 연구 29

2. 기타 분야: 역사학·지리학 관련 연구 31

제2장 개항 이전 우리나라의 국토 및 지역체계 32

제1절 국토 및 지역체계의 요소 32

제2절 국토 및 지역체계의 특징 34

1. 지역중심지: 都·邑의 입지관과 숭산(崇山)사상 34

2. 지역범위: 군현(郡縣) 38

3. 지역 간 네트워크: 도로와 역참, 수로와 조운 43

제3절 조선후기 지역 정보의 통합과 국토관의 정립 46

제4절 소결 49

제3장 구미세력의 등장과 개항(1876~1894) 51

제1절 구미세력의 등장과 통상조약의 체결 51

1. 구미세력의 접근 51

2. 구미세력과의 통상조약 59

3. 개항을 통한 한반도 내륙 진출 60

제2절 국토 및 지역체계의 변화: 개항과 도시 62

1. 부산 63

2. 원산 66

3. 인천 69

4. 서울: 구미 세력에 의한 중심의 형성 72

제3절 구미 관료의 등장: 묄렌도르프(Mollendorf)(이미지참조) 76

1. 서남해안 항구 입지 분석과 내륙 수운 77

2. 광산의 입지 80

3. 철도 및 도로에 대한 견해 81

4. 묄렌도르프에 의한 구미인들의 침투 82

제4절 소결 84

제4장 정부의 대책: 갑오·광무개혁을 통한 제도의 개편 88

제1절 갑오개혁과 일본의 간섭 (1894~1895) 88

1. 갑오개혁의 추진 배경과 주체 88

2. 갑오개혁 시기 국토 및 지역체계 관련 제도의 개편 90

제2절 광무개혁과 대한제국 (1896~1905) 100

1. 광무개혁의 추진 배경과 주체 100

2. 광무개혁 시기 국토 및 지역체계 관련 제도의 개편 107

제3절 소결 131

제5장 구미세력의 경합과 국토 및 지역체계의 변화(1894~1905) 134

제1절 구미 각국의 외교정책과 구미인들의 활동 134

1. 영국 137

2. 러시아 153

3. 미국 164

4. 프랑스와 독일 170

제2절 구미 세력과 근대도시 서울 174

1. 도로의 정비(City Improvement) 175

2. 정동지역의 재편과 해관본부 182

3. 도시의 공원과 남대문시장의 개설 185

4. 한성전기회사, 기반 시설의 확충: 전차, 전기, 수도, 외곽도로 188

5. 서울의 변화와 브라운의 역할 191

제3절 구미세력의 의한 국토 및 지역체계의 변화 193

1. 새로운 거점의 부상: 12개의 港市場 193

2. 철도망의 확장 212

3. 내륙자원과 생산지역 222

제4절 소결 233

제6장 결론 238

제1절 연구의 결과 238

제2절 연구의 시사 및 앞으로의 과제 241

참고문헌 243

부록 251

Abstract 253

〈표 1-1〉 분석 기초자료: 외교 문서와 각종 기록물 26

〈표 1-2〉 분석 기초자료: 대한제국 정부 관련 기록 및 관보·신문 27

〈표 1-3〉 분석 기초자료: 지도류 27

〈표 2-1〉 8도와 각 도별 수부(首府) 42

〈표 3-1〉 구미 함대의 조선근해 탐사와 전쟁 58

〈표 3-2〉 구미 각국과의 통상조약 체결·조인 시기 59

〈표 3-3〉 조일수호조규 속약 제1관과 제2관 61

〈표 3-4〉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내륙통행권 관련조항 61

〈표 3-5〉 부산 개항장의 제도 및 시설 64

〈표 3-6〉 원산의 개항 과정 66

〈표 3-7〉 인천의 개항 과정 69

〈표 3-8〉 서울의 개시 과정 72

〈표 3-9〉 1885년 슐츠에 의해 작성된 (인천·부산·원산) 보고서 [5절. General Remarks] 79

〈표 3-10〉 묄렌도르프 재직 시기 외국인 고빙(해관원과 사업분야) 83

〈표 4-1〉 잠정합동조관 가조약안 89

〈표 4-2〉 일본공사 大鳥圭介와 井上聲가 제시한 내정개혁안의 주요 내용 91

〈표 4-3〉 地方制度改正件에 의한 지방행정구역, 1895년 5월 26일 칙령 98호 94

〈표 4-4〉 校典所 관리 명단 102

〈표 4-5〉 법규 교정소 관리 명단: 궁내부와 군주권의 확대 104

〈표 4-6〉 광무개혁 시기 궁내부의 확대 105

〈표 4-7〉 지방제도 개정하는 건(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 제1조와 제5조 108

〈표 4-8〉 아관파천 시기에 반포된 지방 제도 관련 칙령 114

〈표 4-9〉 대한제국 시기에 반포된 지방 제도 관련 칙령 115

〈표 4-10〉 대한제국 시기에 반포된 지방군 관련 칙령 116

〈표 4-11〉 진위대 편제, 1902년 칙령 제26호 117

〈표 4-12〉 1896년 지방공립소학교 설립계획, 학부령 제5호 119

〈표 4-13〉 아관파천 시기인 1896년 7월 반포된 철도, 우편, 전보 관련 칙령 121

〈표 4-14〉 국내철도규칙의 제정과 개정, 1896년 121

〈표 4-15〉 대한제국 정부의 자력에 의한 철도건설 추진 과정 122

〈표 4-16〉 우편, 전보, 전화 관련 제도 개편 123

〈표 4-17〉 광무개혁 시기 설치된 우체사 125

〈표 4-18〉 전보사, 1896년 7월 23일 칙령 제32호 126

〈표 4-19〉 1898년 6월 23일 43개 궁내부 광산목록 130

〈표 5-1〉 Report by Mr. Willis on a Journey in Corea, 1895 144

〈표 5-2〉 1895년 4월~1896년 6월 도로 정비사업 176

〈표 5-3〉 1896년 6월~1896년 9월 도로 정비사업 177

〈표 5-4〉 1896년 9월~1897년 4월 서울의 도로 정비사업 178

〈표 5-5〉 대한제국 시기 경운궁 조영 182

〈표 5-6〉 대한제국기 전차노선 연표 189

〈표 5-7〉 대한제국 이전(1876~1894) 港市場 195

〈표 5-8〉 대한제국시기(1894~1905) 港市場 195

〈표 5-9〉 1897년 목포, 진남포 개항과 관련된 제도 개편 197

〈표 5-10〉 해관의 목포·진남포 개항관련 사무 분담 197

〈표 5-11〉 1899년 군산, 마산, 성진 개항과 관련된 제도 개편 200

〈표 5-12〉 1904년 용암포, 의주 개항(시)과 관련된 제도 개편 207

〈표 5-13〉 브라운에 의해 제안된 등대 리스트 209

〈표 5-14〉 개항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지역 항로의 개설 210

〈표 5-15〉 대한제국 시기, 브라운이 담당한 개항장 관련 업무 211

〈표 5-16〉 대한제국 시기, 철도 부설 과정 213

〈표 5-17〉 경인선 부설 과정 214

〈표 5-18〉 경의선 부설 과정 216

〈표 5-19〉 경의선 관련 주요 업무를 담당한 프랑스 측 인물들 218

〈표 5-20〉 경원선 부설 과정 220

〈표 5-21〉 외국인들의 광산 개발 223

〈표 5-22〉 국가별/시기별 구분에 의한 우리나라 국토 및 지역체계의 변화 237

〈표 6-1〉 개항 이후 국토 및 지역체계의 요소별 변화 240

〈그림 1-2〉 전근대 국토 및 지역체계의 형성 16

〈그림 1-3〉 대동여지도에 나타난 개항 전 우리나라 국토 및 지역체계, 김정호(19c) 17

〈그림 1-4〉 Core-Periphery model Friedmann(1966) 17

〈그림 1-5〉 1차 사료의 발굴과 축적: 이화여자대학교·한국연구원 소장의 미간행 영국외교문서 1895년 서기관 Willis의 Rough Map(좌), 1898년 영국공사 Jordan이 작성한 Mining District(우) 19

〈그림 1-6〉 연구의 시간적 범위 21

〈그림 1-7〉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와 베이스맵 23

〈그림 1-8〉 Corridor Development Edward J. Taaffe(1996) 24

〈그림 1-9〉 Regional Spatial Organization Jean-Paul Rodrigue(2006) 24

〈그림 2-1〉 국토 및 지역체계의 요소, 청구도, 19c 32

〈그림 2-2〉 졸본성 배치도 서울대학교박물관(2008) 35

〈그림 2-3〉 졸본성 전경 서울대학교박물관(2008), 최종택 촬영 35

〈그림 2-4〉 개경의 입지 대동여지도, 19c 36

〈그림 2-5〉 한성의 입지 대동여지도, 19c 36

〈그림 2-6〉 졸본성→국내성→평양→개성→한양 도성 위치의 변화, 산맥도, 21c 37

〈그림 2-7〉 조선시대 읍치(지역중심지)의 분포 대동여지도, 19c 37

〈그림 2-8〉 330 여개 읍치분포와 군현의 경계 대동여지도, 19c 38

〈그림 2-9〉 군현의 도별 분포 팔도전도, 19c 38

〈그림 2-10〉 군현의 분포와 자연경계에 대한 인식 40

〈그림 2-11〉 8道制의 시행과 각 수부(首府)의 위치 42

〈그림 2-12〉 고려시대 도로망, 22역도 44

〈그림 2-13〉 조선시대 도로망 44

〈그림 2-14〉 조선시대 조운로 45

〈그림 2-15〉 산경도, 산수고 바탕으로 제작 47

〈그림 2-16〉 六大路, 도로고 바탕으로 제작 47

〈그림 2-17〉 330여개 군현과 읍치로 구성된 지역단위와 1도성-6대로-8도(道) 49

〈그림 3-1〉 부산, 브로튼, 1797 53

〈그림 3-2〉 서남해안 코스, 맥레오드, 1816 53

〈그림 3-3〉 거문도, 벨처, 1845 54

〈그림 3-4〉 조선동해안도, 1857 55

〈그림 3-5〉 Coree, 김대건, 1846 56

〈그림 3-6〉 한강하류 측량, Humann, 1866 56

〈그림 3-7〉 구미 각국의 해양 탐사와 거점 58

〈그림 3-8〉 개항장(좌)과 그로부터 10리 거리에 있는 영가대(永嘉臺)(우) 64

〈그림 3-9〉 개항장(초량왜관)과 20리 거리에 있는 동래부 65

〈그림 3-10〉 間行里程의 확대, 50리-100리 65

〈그림 3-11〉 영흥만 지역 ① 북쪽 라자레프만 ② 남쪽 원산개항장 67

〈그림 3-12〉 러시아가 선호했던 북쪽의 라자레프만 67

〈그림 3-13〉 일본전관거류지(①)는 조선인들의 상항(商港, ②)근처로 선택되었다 68

〈그림 3-14〉 제물포지역, 서울, 인천부의 위치 69

〈그림 3-15〉 일본영사관과 일본전관거류지 70

〈그림 3-16〉 인천제물포 각국조계지도, 1884년 청국전관거류지와 구미각국공동거류지의 설정 70

〈그림 3-17〉 인천부와 개항장(제물포) 71

〈그림 3-18〉 구미세력 등장 이후의 박동지역(위)과 정동지역(아래) 73

〈그림 3-19〉 한강 항로 조사 77

〈그림 3-20〉 서남해안 항로 조사 (1884년) 78

〈그림 3-21〉 목포·해남 부근 (2010) 78

〈그림 3-22〉 영산강 지역 조사 (1884년) 78

〈그림 3-23〉 영산강 하구 (19c) 78

〈그림 3-24〉 법성포 지역 조사 (1884) 79

〈그림 3-25〉 법성포 지역 (19c) 79

〈그림 3-26〉 서남해 항구입지와 내륙자원조사 84

〈그림 3-27〉 철도조사 84

〈그림 3-28〉 間行里程의 확대와 인근 내륙중심지의 포섭 86

〈그림 4-1〉 23부제와 관찰부, 1895년 5월 26일 칙령 98호 97

〈그림 4-2〉 地方制度改正件에 의한 지방행정구역, 1895년 5월 26일 칙령 98호 98

〈그림 4-3〉 13도와 도별 관찰부,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 제1조 110

〈그림 4-4〉 13道와 331개 郡의 등급,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 제1조와 제5조 111

〈그림 4-5〉 331개 郡의 등급별 분포 112

〈그림 4-6〉 진위대 편제, 1902년 117

〈그림 4-7〉 지방공립소학교 설립계획, 1896년 119

〈그림 4-8〉 우체사관제, 1896년 8월 124

〈그림 4-9〉 일일우편 코스, 1896년 10월 124

〈그림 4-10〉 전신의 개설 과정 127

〈그림 4-11〉 전보사관제, 1896년 7월 127

〈그림 4-12〉 43개 궁내부 광산 분포 129

〈그림 4-13〉 광역단위의 행정구역 제도 개편과 내륙 수위(首位) 도시의 변화 조선시대 8도제 → 갑오개혁 23부제 → 광무개혁 13도제 131

〈그림 5-1〉 19세기말 아시아와 구미각국의 각축 134

〈그림 5-2〉 한반도를 둘러싼 구미 각국의 주요 거점지역 135

〈그림 5-3〉 Willis의 답사 경로 I, 서울-춘천-홍천-인제-고성-회양-원산, 1895년 145

〈그림 5-4〉 궁내부 광산목록(43개)과 구미각국의 광산 확보 상황 146

〈그림 5-5〉 구미각국 공사관과 병력 주둔 가능지역(Barrack) 148

〈그림 5-6〉 경운궁 북쪽담을 경계로 영국성공회성당 부지 내에 지어진 막사 150

〈그림 5-7〉 부동항 한계선(뤼순~평양~원산)과 시베리아 철도 153

〈그림 5-8〉 1894년과 1904년의 전쟁비교지도 156

〈그림 5-9〉 Plan of Fusan 1897년 FO 17/1321 p.151 158

〈그림 5-10〉 절영도와 부산항 주변 159

〈그림 5-11〉 각국공동조계 예비지역과 케르베르그가 선정한 러시아 저탄장 부지 1897년 FO 17/1321 p.174 159

〈그림 5-12〉 마산포 부근 약도 4 June 1900, FO 17/1455 p.58 160

〈그림 5-13〉 마산포·마산항·러시아 조차후보지 다음(Daum, 2010) 160

〈그림 5-14〉 첫 번째 후보지: 남포(A) 지역 9 March, 1900, FO 17/1454 p.229(좌)·국립지리원, 2002(우) 162

〈그림 5-15〉 두 번째 후보지 9 April, 1900, FO 17/1454 p.32(좌)·국립지리원, 2002(우) 163

〈그림 5-16〉 최종 선정: 율구미 27 July, 1900, FO 17/1455 p.76(좌)·국립지리원, 2002(우) 163

〈그림 5-17〉 1895년~1899년 정동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도로 정비사업 지도: Seoul(1901), 동경 동양문고 179

〈그림 5-18〉 정동, 구미세력과 고종의 권력 구축 지도: Seoul(1901), 동경 동양문고 183

〈그림 5-19〉 외국사신을 알현하는 돈덕전이 들어선 해관본부 자리 1 April 1901, FO 17/1513 184

〈그림 5-20〉 정동의 Public Park 알렌이 본국에 보낸 정동지도(1897)(좌)·동경 동양문고판 지도 Seoul(1901)(우) 186

〈그림 5-21〉 The Old Pagoda and Mr. Brown 187

〈그림 5-22〉 대한제국기 서울의 전차노선 부설 현황 189

〈그림 5-23〉 서울 중심의 철도망 계획 189

〈그림 5-24〉 종로의 한성전기회사 신축 190

〈그림 5-25〉 1901년 한성전기회사가 착수한 17 마일의 홍릉~청량리간 도로건설 190

〈그림 5-26〉 港(市)場의 부상 194

〈그림 5-27〉 목포와 진남포 196

〈그림 5-28〉 목포외국인거류지 지도, 1897 198

〈그림 5-29〉 진남포외국인거류지 지도, 1897 198

〈그림 5-30〉 군산, 마산, 성진 199

〈그림 5-31〉 군산각국조계지도, 1899 202

〈그림 5-32〉 마산포각국조계지도, 1899 202

〈그림 5-33〉 성진각국조계지도, 1899 203

〈그림 5-34〉 성진항의 입지 203

〈그림 5-35〉 개항장 진남포와 내륙중심지 평양 204

〈그림 5-36〉 의주, 용암포 206

〈그림 5-37〉 의주의 개시와 용암포의 개항 207

〈그림 5-38〉 등대의 분포, 1905년 208

〈그림 5-39〉 구미인들에 의해 개발된 광산 223

〈그림 5-40〉 미국의 운산금광, 1902~1903, 카를로 로제티 224

〈그림 5-41〉 영국과 러시아의 거점 지역과 충돌 지역 233

〈그림 5-42〉 간행리정 범위(10리-50리-100리)와 항구도시 권역의 확대 235

〈그림 6-1〉 구미세력에 의한 국토 및 지역체계의 변화 238

초록보기 더보기

우리나라 역사에 있어서 ‘개항기’는 근대의 기점이라 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난 시기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국토 및 지역체계 또한 개항기로부터 일제시대에 이르는 기간은 자족적·폐쇄적·수평적 지역체계가 근대도시를 중심으로 계층적으로 분화되고, 철도·항구 등 새로운 기반시설을 중심으로 지역간 네트워크가 강화되는 등 이전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국토 및 지역체계로 재편성되는 중요한 기간으로 평가되어왔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 초점은 주로 일제시대에 맞춰져 있거나, 이러한 변화를 이끈 주체로서 일본과 청의 세력들을 주목하여 왔다.

본 연구는 개항 이후 우리나라의 국토 및 지역체계가 개항 이전과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살펴봄에 있어서, 이를 변화시킨 외부 주체 중, 일본과 청이 아닌 구미 세력들을 주목하였다. 특히 국토 및 지역체계에 영향을 줄만한 정치적 권력이 있는 외교관들과 정부 내 고위관료인 총세무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구미인들의 가치관과 그들의 활동으로 인해 우리나라 국토 및 지역체계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그리고 그 변화는 어떠한 성격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항 이전 우리나라에는 많은 수의 자족적 중심지가 농업지역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그 중심지를 기반으로 한 생활권 단위들은 상호 수평적인 지역체계를 형성하였다. 지역중심지와 생활권이 형성됨에 있어 가장 큰 전제는 자연환경이었는데, 우리나라 도·읍의 입지관은 산을 매우 중요시하여 기본적으로 내륙지향적이었으며 미약한 네트워크로 인해 폐쇄적인 지역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통상을 목적으로 해군함정을 통해 한반도에 접근한 구미세력은 해양지향적이며 개방적이라는 새로운 특성을 지녔다. 그로 인해 구미각국은 자국의 세력권에서 가장 인접한 해역으로 접근하였는데, 영국은 거문도를 기반으로 삼아 한반도 서남해쪽 해역에서 접근하였으며, 프랑스와 미국 또한 인도차이나와 동지나해를 거점으로 삼고 있었기에 영국과 동일하게 서남해안에서 활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러시아의 경우, 울릉도를 거점으로 삼아 동해안 해역에서 활동을 시작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북동부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점으로 내륙의 두만강 지역에서 접근하였다. 결국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등이 한반도 내륙으로 진출하여 조선인들과 통상을 맺는 방식은 개항이었으며 항구도시인 개항장은 그 물리적인 결절점이 되었고, 러시아의 경우 개시라는 방식으로 통상을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구미세력에 의해 이루어진 국토 및 지역체계의 가장 큰 변화는 이전에는 없던 항구도시의 출현이었다. 일본에 의해 개항된 부산과 원산을 제외하고, 인천, 목포, 군산, 마산 등 10개 항구가 구미 각국과의 협의 아래 개항되었으며,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인근의 내륙 행정중심지가 항구도시의 세력권에 포함되었다. 이들 항구도시는 한반도 내륙 진출의 입구로서 자리 잡게 되는데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의 항구는 그 성격을 조금 달리하였다. 남부지역 항구의 경우, 쌀과 같은 식량 자원의 반출이 이뤄진 반면, 북부지역 항구는 광산 자원의 반출이 이뤄지는 출입구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당시 구미인들에 의한 항구도시 선정은 이들 항구도시가 지금도 한반도 내에서 주요 대도시로서 위상을 갖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더불어 구미인들은 해안을 따라 항구도시를 조성하고 이를 기점으로 내륙을 향해 철도망을 계획함으로써 우리나라 국토 및 지역체계의 변화를 불러왔다. 일본에 의해 계획된 경부선을 제외하고는 경인선, 경의선, 경목선, 경원선 등의 노선이 모두 구미인들의 의해 계획된 것을 보면 그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다.

결국 당시 해안에 가장 먼저 조성된 항구도시들과 서울을 중심으로 한 서북·동북·동남·서남의 'X'형 철도망축은 일제시대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국토의 핵심이 되는 물리적 체계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이러한 한반도의 국토 및 지역체계 변화는 개항기 구미인들의 활동이 시발점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1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미간행영국외교문서」, London Public Office, 이화여대도서관 소장 마이크로필름 미소장
2 「한영외교사관계사료집」, 영국외무성, 동광출판사 편집위원회, 1997 미소장
3 「러시아 국립해군성문서 ⅠⅡ」, 러시아해군성 문서관, 국사편찬위원회, 2007 미소장
4 「주한일본공사관기록」, 국사편찬위원회, 2007 미소장
5 「일본외교문서」, 일본외무성 디지털 아카이브, 2009 미소장
6 「구한국외교문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4 미소장
7 「Allen Collection」, New York Public Library, 이화여대도서관 소장 마이크로필름 미소장
8 「Korean-American Relations」Palmer, Spencer J.. Univ. of California Press, 1963 미소장
9 대한제국멸망사, 집문당, 1999 미소장
10 A chronological Index, Press of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1 미소장
11 조선견문기, 집문당, 1999 미소장
12 알렌의 일기,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미소장
13 「묄렌도르프 자전」, 집문당, 1999 미소장
14 조선비망록, 집문당, 1999 미소장
15 천주교 명동교회 편, 뮈텔주교 일기 ⅠⅡ 1890~1900, 한국교회사연구소, 1993 미소장
16 「러시아문서 번역집 1」, 김종헌 외, 선인, 2008 미소장
17 「삼국유사」: http://db.history.go.kr 미소장
18 「삼국사기」: http://db.history.go.kr 미소장
19 「고려사」: http://db.history.go.kr 미소장
20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www.koreanhistory.or.kr 미소장
21 「조선ㆍ대한제국 관보」: http://e-kujanggak.snu.ac.kr/ 미소장
22 「독립신문」, 「황성신문」, 「매일신문」, 「대한매일신보」: www.mediagaon.or.kr 미소장
23 「제국신문」: http://www.nl.go.kr/ 미소장
24 「대한제국기 정책사자료집」, 박지태, 선인, 1999 미소장
25 「한말 근대법령자료집」, 송병기 외, 국회도서관, 1970~1972 미소장
26 「러시아인이 바라본 1898년의 한국, 만주, 랴오둥 반도」,동북아역사재단, 2010 미소장
27 「고종의 독일인 의사 분쉬」, 학고재, 1999 미소장
28 「코레야 1903년 가을」, 개마고원, 2006 미소장
29 「러일전쟁 당시 조선에 대한 보고서」, 도서출판 살림, 2010 미소장
30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1903)」, 글항아리, 2009 미소장
31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도서출판 살림, 1994 미소장
32 「내가 본 조선, 조선인, 가야넷」, 2003 미소장
33 「조선의 비극(The Tragedy of Korea)」, 을유문화사, 1983 미소장
34 「영국인 기자의 눈으로 본 근대만주와 대한제국」, 도서출판 살림, 2009 미소장
35 「한국사 11」, 한길사, 1995 미소장
36 「한국 국제관계사연구 Ⅰ」, 역사비평사, 1995 미소장
37 「미국의 동아시아개입의 역사적 원형과 20세기 초 한미관계연구」, 문학과 지성사, 2003 미소장
38 「근대한국외교사연표」,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4 미소장
39 「한국국토개발사연구」, 대학도서, 1982 미소장
40 「땅과 한국인의 삶」, 나남출판, 1999 미소장
41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민음사, 1990 미소장
42 러시아 대장성, 「국역 한국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미소장
43 「르몽드 세계사」, 휴머니스트, 2010 미소장
44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해와 비판」, 백산서당, 2004 미소장
45 「북학의」, 돌베개, 2003 미소장
46 「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 동북아역사재단, 2007 미소장
47 「대한제국정치사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미소장
48 서울대학교박물관, 「하늘에서 본 고구려와 발해」, 서울대학교박물관, 2--9 미소장
49 30th September 1885」,2007 미소장
50 「한국 성곽의 연구」,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미소장
51 「한국개항기」 도시변화과정연구, 일지사, 1982 미소장
52 「독립협회 연구」, 일조각, 1976 미소장
53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역사용어 바로 쓰기」, 역사비평사, 2006 미소장
54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역사비평사, 2003 미소장
55 「꼬레아 에 꼬레아니: 100년 전 서울 주재 이탈리아 외교관 카를로 로제티의 대한제국견문기」, 하늘재, 2009 미소장
56 「한영수교 100년사」, 한국사연구협의회, 1984 미소장
57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미소장
58 정년기념논총 간행」, 「사회적 네트워크와 공간, 태학사, 2009 미소장
59 이화여자대학교, 「이화 100년사」, 이화여대 출판부, 1994 미소장
60 인천부청, 「인천부사, 경인문화사」, 1989 미소장
61 「서양인의 조선살이 1882~1910」, 푸른 역사, 2008 미소장
62 「일제침략과 한국철도(1892~1945)」,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미소장
63 「제정러시아의 한반도정책 1891~1907」, 경인문화사, 2008 미소장
64 「조약으로 본 한국근대사」, 열린 책들, 2010 미소장
65 「제국주의 시대의 열강과 한국」, 민음사, 1990 미소장
66 「한국을 둘러싼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지식산업사, 2001 미소장
67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의 정치경제학」, 아카넷, 2000 미소장
68 한국등대국, 「한국세관공사부등대국연보 2」, 조선총독부, 1907 미소장
69 한국역사연구회,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역사비평사, 1998 미소장
70 한러대화, 「한러수교 20주년 기념전: 다시 만나는 이웃 러시아」,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 연구소,2010 미소장
71 「개항기의 재한 외국공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미소장
72 「동아시아 철도 국제관계사」, 지식산업사, 2005 미소장
73 Russian Far eastern policy 1881-1904」, Octagon Books, 1977 미소장
74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지식산업사, 2002 미소장
75 「Geography of Transportation」, Prentice Hall College, 1996 미소장
76 「제국의 시대」, 한길사, 1998 미소장
77 「자본의 시대」, 한길사, 1998 미소장
78 「혁명의 시대」, 한길사, 1998 미소장
79 「개화기의 한미관계」, 일조각, 1973 미소장
80 「근대도시(The Modern City: Planning in the 19th Century)」,세진사, 1996 미소장
81 「The Geography of Transport Systems」, Routledge, 2006 미소장
82 「근대 중국의 서양인 고문들」, 이산, 2009 미소장
83 「Regional development policy: a case study of Venezuela」, MIT Press,1966 미소장
84 「The Foreign Policy of Victorian England 1830-1902」, Oxford Univ. Press,1970 미소장
85 「아틀라스 20세기 세계전쟁사」, 책과함께, 2010 미소장
86 “지역계획의 개념정립과 체계구상에 관한 연구”, 「국가발전과 공공행정」, 1987 미소장
87 舊韓末 서울 貞洞 英國公使館의 建立에 關한 硏究 소장
88 Establishment of the Seoul Electric Company, 1897-1905 네이버 미소장
89 “1900년 이후 러일간 한반도 중립화 및 분할논의: 서울주차 러시아공사 파블로프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53, 2009 미소장
90 대한제국 전기의 식산흥업정책에 관한 연구 소장
91 19세기 영국의 외교정책 : "위대한 고립책(splendid isolation policy)" 소장
92 묄렌도르프(Mollendorff)의 외교정책과 경제개발정책의 성격 소장
93 광무정권의 형성과 개혁정책 추진 소장
94 개항기 조선과 서양의 경제교류 네이버 미소장
95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소장
96 19세기 사회변동과 오가작통제의 전개과정 소장
97 “1898~1904년 한성전기회사의 설립과 경영변동”, 「동방학회지」, 139호, 2007 미소장
98 논문 : 구한말 독일의 광산이권과 당현금광 (堂峴金鑛) 네이버 미소장
99 開港以後 獨逸의 資本浸透와 世昌洋行 소장
100 Paul Georg von Möllendorff와 한국 소장
101 광무년간의 산업화 정책과 프랑스 자본·인력의 활용 소장
102 The Policy of Production Increase and Industrial Promotion and the Organizations for Commerce and Industry in Korea from 1897 to 1904 네이버 미소장
103 “비테의 대한정책과 한러은행”, 「슬라브학보」, 14권 2호, 1999 미소장
104 (갑오개혁·청일전쟁 100년) 청일전쟁과 동아시아의 세력변동 소장
105 帝國主義列强과 韓國情況의 變移 소장
106 南漢江 水運 硏究 소장
107 朝鮮後期 地理學 發達의 背景과 硏究傳統 소장
108 開化期 慶尙南道의 聚落編制와 規模別 聚落分布 소장
109 The Centrality and Rank-size of Settlement in the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소장
110 高句麗 長安城이 高麗·朝鮮 都城 立地 및 平面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소장
111 朝鮮朝 漢陽遷都時 儒·佛 合意 背景에 관한 연구 소장
112 물리적 환경을 고려한 국토공간구상에 관한 연구 소장
113 俄館播遷期 貞洞派의 개혁활동 소장
114 대한제국기 주한러시아공사의 활동 : 대한제국 수립시기를 중심으로 소장
115 대한제국기 고종의 대영 정책 소장
116 朝鮮後期~日帝時代 嶺南地方 地域體系의 變動 소장
117 The Emergence of Modern Regional Structures and Initiation of Urban Discourse for the Hegemonic Quest for the Regional Primacy 소장
118 광무 연간 전후 경운궁의 조영 경위와 공간구조 소장
119 "John McLeavy Brown, 1893-1905", 「First published in Papers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2, 1992 미소장
120 한국의 傳統的 山岳觀 연구 소장
121 「조선시대 읍지의 성격과 지리적 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1987 미소장
122 광무개혁기 정동의 공간 변화 소장
123 韓國近代 貞洞派의 政治的性格에 關한 一考察 (1894-1897) 소장
124 開港期 外國商人의 侵入과 韓國商人의 對應 소장
125 대한제국기 진위대 증설과 군부예산 운영 소장
126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경찰 제도의 정립과 운영 소장
127 「대한제국기 내장원 재정관리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미소장
128 (The) Politics of Foreign Advisers in Korea : 1882-1904 네이버 미소장
129 韓末 顧問官 J.Mc Leavy Brown의 硏究(1893-1905) 소장
130 한국 근대 주한 미국공사 연구 (1883-1905) 소장
131 (The) transform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namdaemunno 소장
132 개항이후 총세무사가 주관한 관영공사기구에 관한 연구 : 해관등대국·세관공사부·건축소의 조직과 직원을 중심으로 소장
133 갑오개혁 이후 한성 도로정비사업과 부민의 반응 소장
13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미소장
135 고려대학교 도서관 KU Collection (http://library.korea.ac.kr) 미소장
136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ujanggak.snu.ac.kr/) 미소장
137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편년자료 서비스 (www.koreanhistory.or.kr) 미소장
138 한국언론진흥재단 고신문서비스 (www.mediagaon.or.kr) 미소장
139 일본외무성 외교문서디지털아카이브(http://www.mofa.go.jp/mofaj/annai/honsho/shiryo/archives) 미소장
140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미소장
141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