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8

I. 서론 9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문제 12

3. 용어 정의 12

1) 역기능적 태도 12

2) 사회성 12

II. 이론적 배경 13

1.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성과 역기능적 태도 13

1)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성 13

2)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역기능적 태도 14

2. 역기능적 태도변화를 위한 집단 미술치료와 사회성 17

III. 연구방법 19

1. 연구대상 19

1) 연구대상 선정기준 19

2) 연구대상 개요 19

2. 연구절차 22

3. 연구도구 22

1) 사회성 검사 22

2) 역기능적 태도 검사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 DAS) 23

4. 연구설계 24

5. 역기능적 태도 변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5

1) 프로그램 구성 배경 25

2) 역기능적 태도변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실시 및 진행과정 25

3) 프로그램 구성 26

4) 프로그램진행 27

5) 역기능적 태도변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7

6. 자료처리 29

IV. 연구 결과 30

1. 집단미술치료가 역기능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31

1) 역기능적 태도 전체에 미치는 효과 31

2) 성취지향성 및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33

3) 사회적 의존성 및 애정욕구에 미치는 효과 35

2. 집단미술치료가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37

1) 사회성 전체에 미치는 효과 37

2) 준법성에 미치는 효과 39

3) 협동성에 미치는 효과 41

4) 사교성에 미치는 효과 43

5) 자주성에 미치는 효과 45

V. 논의 48

VI. 결론 및 제언 50

참고 문헌 51

Abstract 56

부록 58

〈부록 1〉 집단미술치료 참여 동의서 59

〈부록 2〉 사화성 검사설문지 60

〈부록 3〉 역기능적 태도 검사지 61

〈부록 4〉 회기별 인지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및 활동 63

〈부록 5〉 각 회기별 집단구성원의 변화 79

표목차

표 1. 연구대상 아동의 개요 19

표 2. 실험집단 아동의 특성 20

표 3. 통제집단 아동의 특성 21

표 4. 연구절차 22

표 5. 사회성 검사문항 구성 23

표 6. 역기능적 태도의 문항구성 24

표 7. 연구 설계 24

표 8. 역기능적 태도변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7

표 9.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30

표 10. 역기능적 태도(전체)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31

표 11. 역기능적 태도(전체) 척도의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31

표 12. 역기능적 태도(전체) 척도의 단순 주효과 분석 32

표 13. 성취지향성 및 자율성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33

표 14. 성취지향성 및 자율성 척도의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33

표 15. 성취지향성 및 자율성 척도의 단순 주효과 분석 34

표 16. 사회적 의존성 및 애정욕구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35

표 17. 사회적 의존성 및 애정욕구 척도의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35

표 18. 사회적 의존성 및 애정욕구 척도의 단순 주효과 분석 36

표 19. 사회성(전체)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37

표 20. 사회성(전체) 척도의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37

표 21. 사회성(전체) 척도의 단순 주효과 분석 38

표 22. 준법성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39

표 23. 준법성 척도의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40

표 24. 준법성 척도의 단순 주효과 분석 40

표 25. 협동성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41

표 26. 협동성 척도의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42

표 27. 협동성 척도의 단순 주효과 분석 42

표 28. 사교성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43

표 29. 사교성 척도의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44

표 30. 사교성 척도의 단순 주효과 분석 44

표 31. 자주성 척도에 대한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45

표 32. 자주성 척도의 사전-사후 반복측정 변량분석 46

표 33. 자주성 척도의 단순 주효과 분석 46

그림목차

그림 1. 역기능적 태도(전체) 척도의 변화 비교 32

그림 2. 성취지향성 및 자율성 척도의 변화 비교 34

그림 3. 사회적 의존성 및 애정욕구 척도의 변화 비교 36

그림 4. 사회성(전체) 척도의 변화비교 38

그림 5. 준법성 척도의 변화 비교 41

그림 6. 협동성 척도의 변화 비교 43

그림 7. 사교성 척도의 변화 비교 45

그림 8. 자주성 척도의 변화 비교 47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적 접근방법을 기초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동의 역기능적 태도 변화와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B시에 있는 H지역 아동센터의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할 12명의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는 12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선정된 실험집단은 2011년 2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6회 기에 걸쳐 지역아동센터 소그룹 실에서 실시하였다. 매 회기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고, 동일 소속대학의 미술치료전공자인 대학원생 1명의 도움을 받아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 측정도구로는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검사지 중 사회성을 검사하기 위한 내용을 바탕으로 김화정(2002)이 수정 보완한 사회성검사 설문지와 DAS(Dysfunctional Attitude Scale, Weissman & Beck, 1978)를 권석만(1994)이 요인분석을 통해 축소한 역기능적 태도검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동질성 검사 후, 반복측정변량분석(Repeated ANOVA)으로 분석하였고 자료의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역기능적 태도는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회성은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즉,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역기능적 태도를 감소시켜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오는데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