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고려말·조선초 명문청자 연구 / 김윤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8
청구기호
TD 709 -11-24
형태사항
vi, 24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6177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술사, 2011.8. 지도교수: 방병선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II. 고려·조선초 명문청자의 연구 현황과 방법 15

1. 명문청자의 연구 현황과 문제점 16

2. 명문청자의 시기별 양상과 연구 방법 23

III. 고려말·조선초 명문청자의 제유형 34

1. 왕실 측근 세력 관련 명문청자 35

2. 도교 관련 명문청자 42

1) 도교 관련 명문청자의 종류와 성격 42

2) 도교 의례의 시행 시기와 명문청자 제작 57

3) 왕실 불교 의례와의 차이점 60

3. 유교 의례 관련 명문청자 66

4. 간지명청자의 조형적 특징과 성격 75

5. 관사명청자의 성격과 제작 시기 85

1) 왕실 재정 관련 관사 85

2) 왕실 행사 관련 관사 97

3) 왕실 음식 관련 관사 100

6. 왕실부 관련 명문청자 107

IV. 고려말 명문청자의 제작 배경과 수취 구조 120

1. 왕실 친위조직 명문청자의 등장과 의미 121

2. 도교의례명청자 제작과 왕실 측근 세력의 역할 127

3. 관사명청자의 제작과 창고 운영의 별감 설치 131

4. 간지명청자의 제작과 창고의 운영의 규정관 설치 136

V. 고려말·조선초 사옹의 성격과 내용자기 148

1. 고려말 사옹의 성격과 내용자기 149

1) 고려말 사옹의 등장과 성격 149

2) 고려말 내용자기의 의미와 수취체제의 변화 155

3) '사선'명청자의 제작 배경과 의미 160

2. 조선초 사옹방으로의 이행과 역할 변화 165

1) 조선초 사옹방으로의 이행 과정과 성격 165

2) 조선초 사옹방의 역할 변화와 그 의미 169

VI. 고려말·조선초 명문청자 수취체제의 시기별 변화 175

1. 왕실 측근 세력의 수취체제 : 1274년경~1328년경 176

2. 왕실용 청자의 통합적 관리와 수취체제 : 1329년경~1355년경 179

3. 관사 단위의 수취체제 : 1356년경~1380년경 182

4. 사옹의 등장과 수취체제의 변화 : 1381년경~1417년경 184

VII. 결론 190

참고문헌 195

도판 211

일문초록 240

중문초록 243

ABSTRACT 246

표 1. 고려 10세기 명문청자 및 요도구 24

표 2. 고려 12세기 명문청자 25

표 3. 고려 명문청자에 보이는 인명 27

표 4. 고려 12세기에서 13세기 명문청자 29

표 5. 고려 12세기·13세기 시명청자 29

표 6. 고려 13세기 4/4분기에서 14세기 1/4분기 경에 제작된 명문청자 32

표 7. 14세기 후반 명문청자 33

표 8. 왕실 측근 세력 관련 명문청자 35

표 9. 도교 기관 및 의례 관련 명문청자 43

표 10. 칠원전배·십일요전배·천황전배명 청자 49

표 11. 『고려사』 세가 '칠원' 관련 초제 기록 50

표 12. 『고려사』 세가 '십일요초' 기록 51

표 13. '삼관'명 청자 52

표 14. '왕'명 청자 53

표 15. 천·지·귀명 청자 54

표 16. 고려시대 도교 의례의 시행 횟수 58

표 17. 고려시대 불교 도장의 시행 횟수 61

표 18. 유교 의례와 관련된 명문청자 67

표 19. 『고려사』에 '정릉' 관련 문헌 기록 71

표 20. 간지명청자의 종류와 시기 76

표 21. 14세기 후반 '덕천'·'의성'·'보원고'명 청자 86

표 22. 강진 지역 출토 '내'명 청자 92

표 23. 『고려사』 세가·지·열전에 내고 관련 기록 95

표 24. 고려말·조선초 강진 이외 지역의 '내'명자기 96

표 25. 고려 14세기 후반 '색'명청자 98

표 26. 사온[양온]서 관련 명문청자 100

표 27. 사선서 관련 명문청자 102

표 28. 고려말 오고와 조선초 관제 개편 108

표 29. '공안부'명 자기 109

표 30.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홀지[홀적] 관련 기록 123

표 31. 덕천고·의성고의 시기별 관리 변화 132

표 32. 고려말·조선초 명문청자의 시기별 변화 137

표 33. 덕천고·의성고의 시기별 관리 변화 138

표 34. 충선왕 때 재정 관사의 개편 158

표 35. 조선초 성중애마의 관제 개편 166

표 36. 고려말·조선초 명문청자 제작 양상과 수취체제의 시기별 변화 189

도 1. 청자상감금채원문편병편 13세기 4/4 분기~14세기 1/4분기 개성 만월대 근처 출토 211

도 2. 취람유매병편 13세기 4/4 분기~14세기 전반 개성 만월대 근처 출토 211

도 3. 청자상감'상내시우번병광장방'명배 고려 14세기 1/4분기경 높이 9.4cm 구경 12.5cm 저경 6.3cm... 212

도 3-1. 도 3의 굽 모습 212

도 4. 청자상감'향상원방내시우번'명배 고려 14세기 1/4분기경 높이 9.3cm 구경 13.1cm 저경 6.2cm... 212

도 4-1. 도 4의 굽 모습 212

도 5. 청자상감'향상원방내시좌번'명배 고려 14세기 1/4분기경 높이 8.9cm 구경 13.7cm 저경 6.4cm... 213

도 6. 청자상감'홀지초번'명배 고려 14세기 1/4분기경 소장처 미상... 213

도 7. 청자상감'도령화배'명배 고려 14세기 후반 높이 8.6cm 구경 11.4cm 저경 4.5cm... 213

도 7-1. 도 7의 굽 모습 213

도 8. 청자상감'소전'명잔 13세기 4/4 분기 높이 5.6cm 구경 10.2cm, 국립중앙박물관 214

도 8-1. 도 8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4

도 9. 청자상감'소전'명잔 13세기 4/4 분기 높이 5.3cm 구경 9.8cm 저경 3.8cm... 214

도 9-1. 도 9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4

도 10. 청자상감'소전'명잔 13세기 4/4 분기 높이 5.1cm 구경 8.4cm 저경 3.8cm... 214

도 10-1. 도 10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4

도 11. 청자음각'소전'명잔 13세기 4/4 분기 높이 6.5cm 구경 9.0cm, 해강도자미술관 215

도 11-1. 도 11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5

도 12. 청자음각'소전'명잔 잔 : 높이 6.8cm 구경 7.3cm 저경 3.0cm 잔탁 : 폭 12.2cm 저경 5.5cm... 215

도 12-1. 도 12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5

도 12-2. 잔탁의 '소전' 명문 215

도 13. 청자음각'소전'명잔, 13세기 4/4 분기, 강진 일대 가마터 강진청자박물관 215

도 14. 청자철화'소전색'명잔 13세기 4/4 분기 높이 6.0cm 구경 9.3cm 저경 3.6cm... 216

도 14-1. 도 14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6

도 15. 정자철화'소전색'명잔 13세기 4/4 분기, 국립중앙박물관 216

도 15-1. 도 15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6

도 16. 청자철화'소전색'명잔 13세기 4/4 분기 높이 6.1cm 구경 8.7cm 저경 3.8cm... 216

도 16-1. 도 16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6

도 17. 건원릉 소전대석, 1408년 217

도 17-1. 건원릉 전각 옆에 설치된 소전대석 217

도 18. 청자상감국화문'칠원전배'명접시 13세기 4/4 분기 높이 3.5cm 구경 12.7cm 저경 6.2cm... 217

도 19. 청자상감국화문'십일요전배'명접시 13세기 4/4 분기 높이 3.0cm 구경 12.1cm 저경 6.0cm... 217

도 20. 청자상감국화문'십일요전배'명접시 14세기 1/4 분기, 높이 3.0cm 구경 13.7cm 국립중앙박물관 217

도 21. 청자상감'천황전배'명과형병과 굽바닥 모습 높이 19.3cm 구경 8.7cm 저경 6.8cm 강진청자박물관 218

도 22. 치성광여래왕림도 고려, 13세기 말~14세기 보스톤미술관 218

도 22-1. 도 22의 도면 세부 218

도 23. 청자상감'삼관'명잔, 13세기 4/4 분기 높이 6.8cm 구경 10.3cm 저경 3.4cm 강진청자박물관 219

도 23-1. 도 23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9

도 24. 청자상감'삼관'명잔, 14세기 1/4분기 높이 7.4cm 구경 10.5cm 저경 4.3cm, 개인소장 219

도 24-1. 도 24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9

도 25. 청자상감'임신'명잔편 1332년, 해강도자미술관 219

도 25-1. 도 25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19

도 26. 청자상감'삼관'명접시 13세기 4/4 분기 높이 3.9cm 구경 13.7cm 저경 7.3cm... 220

도 26-1. 도 26의 굽 형태와 번조 받침 220

도 27. 청자상감'왕'명잔 13세기 4/4 분기~14세기 1/4분기, (좌) 높이 5.5cm 저경 4.3cm, 국립중앙박물관 220

도 28. 청자상감'왕'명잔탁 13세기 4/4분기~14세기 1/4분기 높이 6.6cm... 220

도 29. 천관상 금~원대, 12세기 말~13세기 세로 125.7cm 가로 55.9cm... 221

도 29-1. 천관상의 세부 모습과 관의 '왕'자 221

도 30. 수관상 금~원대, 12세기 말~13세기 세로 125.7cm 가로 55.9cm... 221

도 30-1. 수관상의 세부 모습과 관의 '왕'자 221

도 31. 청자상감'천'명접시 14세기 1/4분기 높이 3.5cm 구경 11.8cm 저경 6.0cm... 222

도 31-1. 도 31의 굽 형태 222

도 32. 청자상감'천'명접시 14세기 2/4~3/4세기 강진 일대 요지 수습, 강진청자박물관 222

도 32-1. 도 32의 굽 형태 222

도 33. 청자상감'천'명접시 14세기 2/4~3/4세기 부안 유천리 12호요지, 국립중앙박물관 222

도 33-1. 도 33의 굽 형태 222

도 34. 청자상감'지'명접시 13세기 4/4 분기 높이 3.5cm 구경 12.0cm 저경 6.9cm... 223

도 34-1. 도 34의 정면과 굽 형태 223

도 35. 청자상감'지'명잔 13세기 4/4 분기 높이 6.0cm 구경 8.8cm 저경 4.3cm... 223

도 35-1. 도 35의 굽 형태 223

도 36. 청자'지'명접시 14세기 1/4분기 계명대박물관 224

도 36-1. 도 36의 정면과 굽 형태 224

도 37. 청자'귀'명접시 14세기 1/4분기 높이 3.9cm 구경 11.8cm 저경 6.1cm... 224

도 37-1. 도 37의 정면과 굽 형태 224

도 38. 청자'귀'명잔 14세기 1/4분기, 높이 6.1cm 구경 8.7cm 저경 4.4cm... 225

도 38-1. 도 38의 굽 형태 225

도 39. 청자'능실'명팔각접시 14세기 3/4 분기 높이 6.2 cm 구경 12.8cm 저경 5.8cm... 225

도 39-1. 도 39의 안바닥에 '능실' 명문 225

도 40. 청자상감'지'명접시 13세기 1/4 분기 높이 3.5cm 구경 12.0cm 저경 6.9cm... 226

도 40-1. '지'명접시(도 40)의 측면 226

도 40-2. '지'명접시(도 40)의 굽 모습 226

도 41. 청자상감'계유'명접시 1333년 높이 4.4cm 구경 12.2cm 저경 6.2cm... 226

도 41-1. '계유'명접시(도 41)의 측면 226

도 41-2. '계유'명접시(도 41)의 굽 모습 226

도 42. 청자상감국화절지문'삼관'명접시 13세기 4/4분기 높이 4.1cm 구경13.7cm 저경7.3cm... 227

도 42-1. 도 42의 측면 227

도 43. 청자상감국화절지문'기사'명접시 1329년 높이 4.6cm 구경 13.6cm 저경 7.0cm... 227

도 43-1. 도 43의 측면 227

도 44. 청자상감국화절지문'정릉'명접시 1365년-1374년 높이 4.7cm 구경 13.7cm... 227

도 44-1. 도 44의 측면 227

도 42-2. '삼관'명접시(도 42)의 굽 모습 228

도 43-2. '기사'명접시(도 43)의 굽 모습, 1329년 228

도 44-2. '정릉'명접시(도 44)의 굽 모습 228

도 45. 청자상감국화절지문'기사'명팔각접시 1329년 높이 4.9cm 구경 11.8cm 저경7.9cm... 228

도 45-1. 도 45의 측면 228

도 46. 청자상감국화절지문'능실'명팔각접시 14세기 3/4분기 높이 6.3cm 구경 12.9cm 저경5.9cm... 229

도 46-1. 도 46의 측면 229

도 47. 청자상감'사선'명팔각접시(유물 번호 499) 14세기 말~15세기 초 높이 (현)7.0cm 구경 10.4cm 저경5.0cm... 229

도 47-1. 도 47의 측면 229

도 45-2. '기사'명팔각접시(도 45)의 굽 모습 230

도 46-2. '능실'명팔각접시(도 46)의 굽 모습 230

도 47-2. '사선'명팔각접시(도 47)의 굽 모습 230

도 48. 청자상감연화당초문'임신'명대접 1332년 강진청자박물관 230

도 48-1. 도 48의 굽 모습 230

도 49. 청자상감연화당초문'정릉'명대접, 1365~1374년, 높이 8.2cm 구경 20.2cm 저경 5.9cm... 231

도 49-1. 도 49의 측면과 굽 모습 231

도 50. 청자상감연화당초문'공안'명대접, 1400~1420년 높이 6.0cm 구경 17.0cm 저경 5.5cm... 231

도 50-1. 도 50의 측면 231

도 51. 청자상감운문'임신'명대접편 1332년 높이 4.6cm 구경 16.6cm 저경 6.2cm 232

도 51-1. 도 51의 측면과 굽 모습 232

도 52. 청자상감운학문'연례색'명대접 14세기 3/4분기 높이 9.5cm 구경 18.6cm 저경6.1cm... 232

도 52-1. 도 52의 측면 232

도 53. 청자상감칠원문'덕천'명대접14세기 말~1403년 높이 9.1cm 구경18.0cm 저경 6.2cm... 233

도 53-1. 도 53의 측면 233

도 52-2. '연례색'명대접(도 52)의 굽 모습 233

도 53-2. '덕천'명대접(도 53)의 굽 모습 233

도 54. 청자상감운학문'임신'명접시 1332년 호림박물관 234

도 54-1. 도 54의 굽바닥 모습 234

도 55. 청자상감우점문'준비'명접시 14세기 3/4분기 성보갤러리 234

도 55-1. 도 55의 굽바닥 모습 234

도 56. 청자상감선문'사선'명접시(유물번호 5324) 높이 3.6cm 구경 10.9cm 저경 5.4cm... 235

도 56-1. 도 56의 굽바닥 모습 235

도 57. 청자상감국화문'기사'명접시 높이 3.69cm 구경 11.34cm 235

도 58. 청자상감유문'기사'명접시 235

도 59. 청자상감파어문'기사'명접시 높이 4.1cm 구경 13.97cm 236

도 60. 청자상감연화유문'덕천'명매병 14세기 3/4분기~1403년 높이 27.8cm 구경 5.1cm 저경 11.1cm... 236

도 61. 청자상감연화유문'덕천'명매병 14세기 4/4분기~1403년 높이 28cm 구경 4.5cm 저경 10.8cm... 236

도 62. 청자상감선문'덕천'명매병 14세기 4/4분기~1403년 높이 22.9cm 구경 5.0cm 저경 9.9cm... 237

도 63. 청자상감뇌문'의성고'명매병 14세기 4/4분기~1403년 높이 27.8cm 구경 6.0cm 저경 9.8cm... 237

도 64. 청자상감연화유문'보원고'명매병 14세기 3/4분기~4/4분기 높이 25.5cm 구경 5.1cm 저경 10.2cm... 237

도 65. 청자상감해수어문'보원고'명매병 14세기 3/4분기~4/4분기 높이 30.1cm, 개인소장 237

도 66. 청자상감운학문'연례색'명대접 14세기 3/4분기 높이 9.5cm 구경 18.6cm 저경 6.1cm... 238

도 66-1. 도 66의 굽 모습 238

도 67. 청자상감우점문'연례'명접시편 14세기 3/4분기 저경 7.1cm 강진 사당리 출토... 238

도 67-1. 도 67의 굽 모습 238

도 68. '양온납'청자편 1356년-1362년/1369년-1372년 대전 계족산성 출토... 239

도 69. 청자상감유문'양온'명편병 1356년-1362년/1369년-1372년 좌 : 높이 29.4cm 구경 7.6cm 저경 12.0cm 우 : 높이 30.0cm 구경 8.4cm 저경 13.0cm... 239

삽도 1. 명문청자에 보이는 인명 28

삽도 2. 〈청자'소전'명잔〉의 도면 47

삽도 3. 천·지·귀명 청자접시의 굽 형태 56

삽도 4. '정릉'명청자 68

삽도 5. 시기별 필각·인각 명문의 종류 78

삽도 6. '지'명접시와 '계유'명접시의 도면 79

삽도 7. 고려말·조선초 시기별 연화당초문 81

삽도 8. 가마터 출토 칠원운문과 〈'덕천'명대접〉의 칠원운문 82

삽도 9. 창고 명칭이 표기된 상감청자편 : 강진 이외 지역 제작 추정 86

삽도 10. '덕천'명청자와 고려말·조선초 가마터 출토품 비교 88

삽도 11. 강진과 강진 이외 지역에서 사용된 인화문 89

삽도 12. '내'명청자 : 강진 일대 수습 93

삽도 13. 강진 이외 지역 가마터 출토 '내'명자기 97

삽도 14. 〈청자돌대문접시〉의 시기별 변화 99

삽도 15. '사'의 인전체 103

삽도 16. 인각된 '사'자의 형태 비교 103

삽도 17. 삼원문이 시문된 '내'명·'영'명·'사선'명 청자 105

삽도 18. 연화당초문이 시문된 '순'명·'공안'명·'사선'명 청자 105

삽도 19. '공안부'명 자기 110

삽도 20. 칠곡 학하리 요지 출토 '영'명청자 111

삽도 21. '영'명청자와 '사선'명청자 비교 112

삽도 22. 최운해 묘 출토 잔과 학하리 요지 출토 잔류 비교 112

삽도 23. 14세기 말·15세기 초 가마터 출토 '순'명자기 113

삽도 24. 합천 장대리 요지 출토 명문자기 115

초록보기 더보기

본고는 고려 13세기 4/4분기 경부터 조선 15세기 1/4분기 경까지 제작된 銘文靑瓷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명문청자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명문자료의 해석과 새로운 연구 방법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서 이 시기에 王室用 靑瓷의 收取體制가 시기별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제작된 명문청자를 명문 내용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여섯 개의 群으로 분류하였다. 王室 側近 세력 관련 명문청자군, 道敎 관련 명문청자군, 干支銘靑瓷群, 儒敎 儀禮 관련 명문청자군, 官司銘靑瓷群, 조선 초 王室府 관련 명문청자군 등 모두 여섯 개의 群이다. 분류된 여섯 개의 명문청자군을 기형, 문양, 굽의 형태, 번조 받침 등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왕실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는 명문 내용을 문헌 기록에서 자세하게 고찰한 결과, 몇 가지 쟁점에 대한 새로운 의견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명문이 청자 몸체 면에 표기되는 시점과 원인에 대한 문제이다. 여섯 개의 명문청자群 중에서 '忽只'나 '巡馬'가 표기된 청자, 왕의 측근이면서 왕실 재정과 의례 준비 등에 관여했던 '內待'銘청자, 왕실의 도교 의례와 관련된 명문청자 군은 모두 충렬왕대(1274-1308)를 중심으로 제작되었을 여러 정황과 밀접한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홀지와 순마는 충렬왕대 설치된 王室 親衛 조직이었다. 특히 홀지는 司饔과 같은 成衆愛馬이면서 왕을 위한 宴享을 수시로 개최하는 등 충렬왕대 가장 왕권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또한 충렬왕대에는 왕실에서 도교 의례가 빈번하게 시행되었고, 이에 필요한 물색도 왕의 측근이면서 왕실 재정에 관여했던 내시들에 의해 구비되었다. 따라서 고려 말기의 특징적인 명문청자는 충렬왕대부터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고려 명문청자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1930년대부터 가장 많은 논쟁이 있었던 干支銘靑瓷에 대한 문제이다. 본고에서는 간지명청자를 그 전후시기에 제작된 다른 명문청자와의 연계선상에서 파악하였다. 간지명청자는 충렬왕대부터 시작하여 점차 극심해지는 왕실 측근 세력들의 편법적인 수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취해진 조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대표적인 왕실 財政 倉庫인 德泉庫와 義成庫에 충숙왕 17년(1330)부터 공민왕 4년(1355) 사이에만 설치되는 糾正官에 주목하였다. 규정관은 왕실 창고의 운영이나 官吏를 감독하였기 때문에, 왕실 관련 官司나 儀禮에 사용되는 貢納 청자에 干支를 표기하여 그들의 私取와 便法을 단속하는 방편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에도 1389년에 '己巳'銘청자가 제작되고 있어서 왕실 관련 官司의 운영체제, 貢納 방식 등 官制나 制度의 변화가 청자의 명문 내용과 표기 방식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려 14세기 말 명문청자가 조선 15세기 초에 어떻게 이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려 말기 명문청자의 계보를 잇는 조선 15세기 초 명문청자는 '司膳'명청자와 承寧府나 恭安府와 같은 王室府 관련 명문청자이다.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개혁 유신이 정권을 잡고 제도 정비와 관제 개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1389년을 기점으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관제 정비의 기본 방향이 첨설직과 都監·色類 등의 임시 관청을 혁파하고 정식 관청의 기능을 되찾는 것이었다. 따라서 연례색이나 준비색과 같은 색류의 임시 관청이 혁파되고, 그 飮膳 供上의 기능은 정식 관청이었던 사선서가 담당하게 되면서 '司購'명청자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조선초에 開府되는 왕실부는 고려 말기 왕실 倉庫의 財源을 바탕으로 설치되면서 倉庫의 私藏庫的인 성격과 供上의 기능도 함께 승계되었다. 따라서 조선이 개국한 이후에 供上의 대상이 많아지면서 고려말 內用 供上을 담당하던 왕실 창고의 財源을 승계한 왕실부에서도 飮膳 供上을 위한 그릇이 필요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조선초 왕실부 관련 명문청자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넷째, 고려 1380년경부터 여러 지역의 가마에서 제작되는 內用瓷器를 監造·收取하였던 司饔은 정식 품계의 관사가 아니라 우왕대 工商·賤隷에게 주었던 첨설직 이면서 親王室的인 왕의 직속 기구이었다. 고려 14세기 말의 사옹은 조선초에 司饔房으로 이어졌고, 사옹방은 적어도 1417년경까지 왕실에 貢納되는 瓷器의 收取에 관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官司의 운영체제와 수취체제의 변화로 인해서 명문 내용이 변화한다는 점을 논증하여,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제작된 명문청자를 네 시기로 편년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미개척 분야였던 왕실용 청자의 收取體制의 변화 요인과 양상을 시기별로 나누어서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1기는 1274년경부터 1328년경까지이며, 충렬왕대부터 內用 物色의 收取가 왕실의 側近 勢力들에 의해서 시행되는 시기이다. 도교 관련 명문청자나 홀지·내시·순마 등이 표기된 명문청자가 제작되었다.

2기는 1329년경부터 1355년경까지이며, 干支銘靑瓷가 제작되는 시기이다. 왕실 倉庫를 감독하는 糾正官이 설치된 시기와 간지명청자가 제작된 시기가 일치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王室에서 사용되는 瓷器에 干支를 표기하여, 일년 단위로 貢納되는 '內用 瓷器'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私取를 방지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3기는 1356년경부터 1380년경까지이며, 왕실 창고의 운영에서 규정관이 혁파되고 왕실 측근 세력인 종친과 환관이 提調나 別監에 임명되었다. 각 관사에서 독립적으로 명문청자의 제작 및 수취에 관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왕실 財政·行事·飮膳이나 儒敎 儀禮와 관련된 명문청자가 제작되었다

4기는 1381년경부터 1417년경까지이며, 前時期와 달라진 수취 환경으로 인해 1381년경부터 司饔 조직에 의해 內用瓷器가 收取되는 시기이다. 사옹이 왕실용 청자의 수취에 관여한 시기는 적어도 1417년경까지는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倉庫銘청자와 '司膳'銘청자, 조선초 王室府 관련 명문청자들이 제작되었다.

고려 14세기 청자는 강진 지역에서 가마터 발굴 등의 조사가 없었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새로운 자료는 거의 없었고 14세기 청자 연구도 그 한계점에 다 다른 측면이 있었다. 본고는 고려 14세기 청자 연구의 문제점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명문청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논의를 전개하였고 그 결과 명문청자가 청자에 관한 文獻 기록의 不在를 대체해 줄 수 있는 1차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존에 고려말·조선초 청자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청자의 收取體制에 대한 문제나 간지명청자나 '司膳'명청자의 제작 배경과 원인 등에서 좀 더 진전된 새로운 의견을 제시할 수 있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