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4

I. 서론 19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B. 연구문제 24

C. 용어정의 25

II. 이론적 배경 27

A. 청각장애부모 가정의 특성 27

1. 청각장애부모 가정의 정의 및 인구현황 27

2. 수화사용 청각장애부모 가정의 언어 환경특성 29

3. 수화의 정의 및 음성언어와의 비교 32

B.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언어발달 35

1.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언어발달에 대한 선행연구 35

C. 심성동사 어휘 발달과 언어환경 38

1. 심성동사 어휘의 정의 및 유형 38

2. 심성동사 어휘 발달에 대한 선행연구 42

3. 심성동사 어휘발달과 언어환경과의 관계 46

III. 연구 I :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심성동사 표현 어휘 발달 49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9

B. 연구 문제 50

C. 연구방법 51

1. 연구 참여자 51

2. 검사기간 57

3. 검사 환경 및 검사자 57

4. 연구 과제 58

5. 연구 절차 63

6. 자료 분석 66

7. 평가자 간 신뢰도 68

8. 자료의 통계처리 69

D. 연구 결과 69

E. 결론 및 논의 87

IV. 연구 II: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인지동사 의미 구조화 91

A. 연구의 필요성 91

B. 연구문제 94

C. 연구방법 94

1. 연구 참여자 94

2. 연구 과제 97

3. 연구절차 99

4. 자료 분석 및 통계처리 99

D. 연구 결과 100

E. 결론 및 논의 115

V. 종합 논의 120

A. 연구 I과 II의 종합 분석 120

B.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24

참고문헌 127

부록 156

〈부록-1〉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휘검사 도구의 어휘 품사별 분류 157

〈부록-2〉 연구 1의 참여 아동 정보 158

〈부록-3〉 무료 언어평가 실시 안내문과 신청서 160

〈부록-4〉 부모 사례질문지(청각장애부모 가정용) 162

〈부록-5〉 부모 사례질문지(일반 가정용) 166

〈부록-6〉 부모 & 아동 간 활동시간 설문조사 169

〈부록-7〉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 검사' 응답지 173

〈부록-8〉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 검사' 어휘에 대한 수화표현 동작 176

〈부록-9〉 개구리 이야기 분석 기록용지 182

〈부록-10〉 개구리 이야기 이해과제 183

〈부록-11〉 개구리 이야기 그림 장면과 회상자료 185

〈부록-12〉 연구 2의 참여 아동 및 성인 정보 189

〈부록-13〉 유사성 판단과제 22개 어휘에 대한 단어 쌍 사례 191

〈부록-14〉 22개 인지 심성어휘에 대한 수화표현 동작 192

Abstract 196

표목차

〈표-1〉 지각동사의 기본 구조 40

〈표-2〉 두 집단의 연령별 아동의 수 55

〈표-3〉 두 아동집단의 연령, 동작성 지능지수 그리고 어휘 점수 기술통계 56

〈표-4〉 대상 아동 집단의 동질성 검정을 위한 일원분산분석 56

〈표-5〉 2차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 목록 61

〈표-6〉 이야기 과제에서의 심성동사 유형별 사용율 계산 방법 66

〈표-7〉 이야기 과제에서의 문장의 복잡성 단계별 심성동사 사용율 계산 방법 67

〈표-8〉 이야기 문장의 복잡성 단계 67

〈표-9〉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 정확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71

〈표-10〉 심성동사 표현 어휘 정확도에 대한 공분산분석 72

〈표-11〉 이야기 과제에서의 심성동사 사용율에 대한 기술통계 73

〈표-12〉 이야기 과제에서의 심성동사 사용율에 대한 공분산분석 74

〈표-13〉 집단별, 이야기 과제에 있어 문장 복잡성 단계별 심성동사 사용율 평균과 표준편차 77

〈표-14〉 심성동사 사용율에 대한 삼원변량분석 79

〈표-15〉 심성동사 사용율 2원 상호작용 단순 주효과 80

〈표-16〉 심성동사 사용율 3원 상호작용에 대한 단순 상호작용효과 82

〈표-17〉 심성동사 사용율 3원 상호작용에 대한 단순단순 주효과 83

〈표-18〉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 28명의 아동변인, 부모변인, 부모-아동 상호작용 시간과의 상관 85

〈표-19〉 건청부모 가정 일반아동 집단 28명의 아동변인, 부모변인, 부모-아동 상호작용 시간과의 상관 86

〈표-20〉 두 집단 연령별 아동의 수 95

〈표-21〉 두 아동집단의 연령, 동작성 지능지수 그리고 어휘 점수 기술통계 96

〈표-22〉 대상 아동 집단의 동질성 검정을 위한 일원분산분석 96

〈표-23〉 유사성 판단과제에서 활용된 인지 심성어휘 22개 98

그림목차

〈그림-1〉 연구 1의 절차 개요 64

〈그림-2〉 언어환경 집단별 심성동사 표현 어휘 정확도 평균 71

〈그림-3〉 언어환경 집단별 심성동사 사용율 평균 74

〈그림-4〉 언어 환경 집단별, 문장 복잡성 단계별 심성동사 사용율 78

〈그림-5〉 유사성 판단 결과 분석 및 해석 절차 개요 100

〈그림-6〉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1, 2차원) 103

〈그림-7〉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1, 3차원) 104

〈그림-8〉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2, 3차원) 104

〈그림-9〉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1, 2차원) 105

〈그림-10〉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1, 3차원) 105

〈그림-11〉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2, 3차원) 106

〈그림-12〉 언어환경 집단별 인지동사 의미 구조화에 대한 지각적 지도 개인차 가중치 107

〈그림-13〉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판단 자료의 군집분석 결과 109

〈그림-14〉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판단 자료의 군집분석 결과 109

〈그림-15〉 일반성인 대학생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1, 2차원) 111

〈그림-16〉 일반성인 대학생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1, 3차원) 112

〈그림-17〉 일반성인 대학생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 평정자료의 MDS 분석 결과 (2, 3차원) 112

〈그림-18〉 언어환경 세 집단별(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부모 가정, 일반 성인) 인지동사 의미 구조화에 대한 지각적 지도 개인차 가중치 113

〈그림-19〉 일반성인 대학생 18명 22 인지동사 유사성판단 자료의 군집분석 결과 115

초록보기

근래 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면서 장애인부모 가정과 그 자녀에 대한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특히 청각장애부모 가정처럼 자녀의 양육 및 언어 교육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가정일 때는 우리사회가 신속히 지원해야 할 부분이 많다. 하지만 아직은 청각장애부모 가정에 어떠한 사회적지원이 더 우선적으로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구체화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언어병리학계의 주 관심은 청각장애부모 가정처럼 언어자극 입력이 결핍된 환경에서 성장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들에게 어떠한 측면의 언어발달 지원이 요구되는지를 건청부모 가정 아동과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부모들 대부분은 자녀에게 자연스러운 언어습득 환경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언어지도의 부담을 가지고 있다(오영희, 1993). 그리고 제3자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 부모와 일반자녀 사이에는 의사소통 단절문제가 발생하기 쉽지만 이러한 의사소통에 대한 주변 환경 지원은 열악한 상황이다. 또한 청각장애인들이 의사소통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화언어는 시각-운동체계(Davis and Silverman, 1978)로 청각적으로 이해되고 음성으로 표현되는 음성언어의 청각-음성 체계와 대비된다(석동일, 1989). 그리고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들은 건청인에 비해 사용어휘가 빈약할 뿐 아니라, 명사나 동사에 편중되어 있으며 문자어휘를 사용하는 빈도도 제한적이다(강주수·조영림, 2009; 엄미숙, 1999; 김응범, 2008). 국내 언어병리학 분야에서는 아직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들의 언어특성을 살펴본 기초연구가 진행된 적은 없다. 그러므로 청각장애부모 가정 아동집단과 건청부모 가정 아동집단간의 실질적인 언어발달 특성을 밝히는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어휘발달 목록은 언어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구체적 참조대상물이 있는 명사보다는 의사소통 상호 작용 문장 내에 적용된 어휘 의미를 통해서만 습득이 원활한 심성상태 (mental state)관련 동사 어휘는 언어 환경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etheton, & Beeghly, 1982; Dunn, Brown, Slomkowski, Tesla, & Youngblade, 1991; Gleitman, 1990; Ruffman, Slade, & Crowe, 2002). 즉, 심성동사를 습득하는 것은 어휘에 대한 정보도 중요하지만 심성동사를 사용하는 발화 상황과 사건을 어휘와 함께 연합하여 습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언어 결핍 환경에서 성장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심성동사 어휘 발달을 건청부모 가정 아동과 비교하여 보는 것은 언어 환경 결핍이 심성동사와 같은 특정 어휘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줄 것이다. 그리고 청각장애부모 가정에서 성장하는 건청자녀들의 심성동사 어휘 의미 구조화 분석은 언어문화 환경 차이에 의해 내적 사고 개념 의미가 다르게 구조화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의의에 의해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 1에서는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과 건청부모 가정 자녀들의 심성동사 어휘 발달 특성을 심성동사 3가지 유형별(인지동사, 심리동사, 지각동사)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연구 2에서는 인지 심성동사 어휘에 대한 구조화 차원을 언어 환경(청각장애부모 가정/건청부모 가정) 및 연령 그룹 별로 비교하여 차원 모형에서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청각 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이 인지 심성동사를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집단과는 다르게 의미 구조화하고 있는지, 또는 어떻게 다르게 구조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언어자극 입력환경이 심성동사 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청각장애부모 가정 및 건청부모 가정 자녀(4-9세) 각각 28명을 대상으로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와 '이야기 다시 말하기'과제를 이용하여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 정확도와 심성동사 사용율, 문장 복잡성 단계 별 심성 동사 사용율을 구분하여 측정하고 아동배경 정보와 부모-아동 보내는 시간과 관련된 내용을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그림 표현 어휘 과제에 있어서는 심성동사 중 심리동사 표현 어휘 정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이야기 과제에 있어서는 심리와 지각동사 사용율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심성동사 어휘 발달에 있어 언어 환경 요인이 작용한다는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장의 복잡성 정도에 따른 심성동사 사용율에 있어서도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의 경우 심성동사를 사용한 복문 표현빈도가 적었고, 특히 지각동사를 사용하여서는 단문으로 표현하는 빈도가 높았다. 이는 심성동사 유형별로 구문 사용의 특성이 언어 환경별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으로 사려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또한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는 다양한 언어영역 중 특히 구문(syntax) 능력이 건청부모 가정 자녀와는 차이를 보였다는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리고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에 있어 부모의 사회경제적 변인과 심성동사 사용율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건청부모 가정 자녀 집단의 경우는 두 변인 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하지만 심성동사 사용율과 이야기 이해와의 상관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청각장애부모 가정과 건청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초등학교 저학년: 1-3학년) 각각 18명, 일반 성인(19-20세 대학 학부 1학년생) 18명을 대상으로, 대표성을 갖는다고 판단되는 인지동사 어휘 총 22개에 대한 "쌍별 유사성 판단"을 7점 척도로 평정한 자료를 다차원분석을 하여 인지동사 어휘에 대한 차원이 각 그룹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차원모형에서 갖는 시사점을 청각장애부모 가정 아동과 건청부모 가정 아동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은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과 일반 성인 집단과는 인지적 사고 내적 차원에 있어 약간 차이를 보였다. 즉,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와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집단은 인지동사 내적차원 중 제1차원은 비구체적-구체적 정보처리, 3차원은 구조적 계획-실행 차원으로 유사하였다. 하지만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의 22개 인지 심성동사에 대한 유사성 평정자료 제2차원 자료결과는 내적-외적 정보처리에 대한 차원이었으며,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집단의 경우는 제 2차원이 지각적 입력-개념적 산출정보에 대한 것으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두 언어 환경 집단 간 군집분석 결과는 다차원분석의 결과와 유사한 어휘 범주 차이를 보였다. 즉,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의 경우는 내적-외적 정보처리에 의해 어휘를 구분하였고 건청부모 가정 일반아동 집단의 경우는 지각적-개념적 정보처리에 의해 어휘 목록을 구분하였다. 둘째, 연령별(건청부모 가정아동/장애가 없는 일반 대학 학부 1학년생) 인지 심성동사 어휘 내적상태 차원에 대한 다차원분석 및 군집분석 결과 두 연령 집단 간 범주화 대분류는 유사하였지만 소분류에 있어서는 일반 성인의 범주화가 더 구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 그룹 언어 환경 및 연령 집단별(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아동, 건청부모 가정 일반 아동, 일반 성인) 인지동사 의미 구조화에 대한 지각적 지도(perceptual mapping)에서 차원별로 개인별 가중치를 구해본 결과, 일반 성인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건청부모 가정 일반아동,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 건청부모 가정 아동 집단과 비교하여 언어 환경이 다른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 집단은 심성활동 내적 구조화가 완성되는 시기가 건청부모 가정 아동과는 다를 가능성이 있다. 이는 언어 환경이 심성동사 어휘발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연구 1과 연구 2의 결과는 언어 환경이 심성동사 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외부적으로는 심성동사 그림 표현 어휘 정확도와 이야기 과제에서의 심성동사 사용율과 문장 복잡성 단계별 심성동사 사용율로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인지동사 의미 구조화 차원을 통해 보여주었다. 그리 고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학령전기 및 초등학교 저학년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자녀들을 위한 언어발달 및 학습지원을 위한 지침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30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93).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청각장애 아동의 지각이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2002).청각장애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2003).건청자녀와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담화 구조 분석 -이야기구조와 내용을 중심으로-.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2009).『재미있는 강의식 수화교실』(제 2판).파주:도서출판양서원. 미소장
5 (1989).『농아인 그는 누구인가?』서울:창록사. 미소장
6 (1994).청각장애 학생언어의 통사구조분석.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 (1998).부모의 특성불안과 양육태도 및 아동의 문제행동.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청각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서비스 욕구조사 연구 : 파주시 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소장
9 (200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III (K-WISC-III)』.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미소장
10 (2008).역동적 평가를 통한 학령기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학습 잠재력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1 (1996).수화 이름에 대한 분석.『수화연구』,1,35-50. 미소장
12 (2001).청각장애학생의 수화습득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2006).국내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문제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2002).『취학전 아동의 동사 이해와 어휘력 향상을 도와주는 그림 동작어 사전』.서울:학지사. 미소장
15 금옥학술문화재단 (1982).『표준수화사전』.서울:대지출판사. 미소장
16 (2002).청각장애인의 사회복지서비스 개발을 위한 욕구조사.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1997).청각장애아 어머니를 위한 사회사업적 원조 방안.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2010).부모의 청각장애 유무에 따른 건청 유아 조음의 음향음성학적특성.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1994).이야기책 듣기가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2003).『청각장애와 언어』.파주:한국학술정보(주). 미소장
21 (1995).수화의 구조와 청각장애학생의 문장력에 관한 연구.『현장특수교육』,2(2),120-127. 미소장
22 (2005).『한국수화사전』.서울:형설출판사. 미소장
23 (2004).청인부모와 농인부모의 청각장애자녀에 대한 의사소통양식의 선호 성향.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소장
25 (2010).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취학전 아동의 언어특성 및 CAI를 활용한 부모훈련의 효과.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26 Dimension of the Emotion Structure through the Analyses of Emotion related terms in Korean Language 소장
27 (2007).『청각장애아동 교육의 이해』.서울:학지사. 미소장
28 국어 감정 어휘의 습득 소장
29 Measures of utterance length of the normal and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소장
30 (2003).『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서울: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미소장
31 (1994).『그림어휘력검사』.서울: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미소장
32 (2009).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REVT)』.서울: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미소장
33 (2002). 한국어 심리 동사의 논항 구조와 겹주어.『어문학』, 57, 73-107. 미소장
34 (2001).학령전 정상아동의 이름대기 발달.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Effects of Mother-implemented Language Intervention on Vocabulary and Communica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소장
36 (2004).국어 감정동사 연구.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7 농학생의 국어 문장 오류 및 그 원인 분석 연구 소장
38 (2002).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보통명사에 대한 의미론적 발달비교.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9 (1990).청각장애아동의 언어발달.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0 한국 고유 수화 단순어에서의 복합 구성 특성 네이버 미소장
41 (1999).일본에서의 한국수화 연구 동향.『한국수화학회』,4,3-6 미소장
42 한국의 농교육과 수화 -농학교 교육과정의 변천을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43 (1997).수화 연구의 국외동향.한국수화학회 연수회 제1회 연수회,1997년 3월,2-11. 미소장
44 (1998).청각장애아부모의 적응과 사회복지 서비스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1997).『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K-BNT)』.서울:학지사. 미소장
46 (2007). 『아동용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K-BNT-C)』.서울:학지사. 미소장
47 effects of story reading on a beginning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vocabulsay 소장
48 한국 수화의 통사적 수화 공간과 지형적 수화 공간 네이버 미소장
49 (2007).『SPSS에 의한 다변량 데이터의 통계분석』.서울:도서출판효산. 미소장
50 (2000).부모의 청각장애 유무에 따른 청각장애학생의 의사소통 특성 및 사회 정서적 만족도.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1 (2002).수화가 농아동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마음이론을 중심으로-.『특수교육연구』,9(1),39-63. 미소장
52 (2003).수화가 농아동의 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마음이론을 중심으로-.『한국수화학회』,8,4-8. 미소장
53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mantics of Perception Verbs in Englishand Korean 소장
54 (2000).『다차원척도법』.서울:교육과학사. 미소장
55 A Study on early auditory performance an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infants with hearing aids and cochlear implant 네이버 미소장
56 학령전 건청자녀를 둔 청각장애부모의 양육 욕구와 서비스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57 (2000).청각장애인 부모의 자녀양육부담에 관한 연구.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8 (2008).『실전수화』(제 2판).고양:공동체. 미소장
59 (2001).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 K-WPPSI)』.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미소장
60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소장
61 (2004).『구문의미 이해력 검사』.서울:서울장애인복지관. 미소장
62 MCDI-K Referenced Expressive Word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and Gender Differences 소장
63 인지 동사의 구문 연구 소장
64 보건복지부 (2003).『2003년 장애인 실태조사』.서울:보건복지부. 미소장
65 보건복지부 (2003.7).『장애등급판정기준(보건복지부고시제 2003-37호)』.서울:보건복지부. 미소장
66 2005년 장애인 실태조사 네이버 미소장
67 (2005).청각장애아동과 건청자녀의 이름대기능력 비교-동사의 의미적범주를 중심으로-.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8 (1999).『교과서의 어휘 분석 연구 :초등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서울:문화관광부 학술용역 과제 보고서. 미소장
69 한국 수화어의 변형 실태 분석 네이버 미소장
70 (1989).한국수화의 언어학적 분석.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1 (1999).한국수화의 관용표현.『한국수화연구회』,1,31-41. 미소장
72 (2000).자연수화 실현에 대한 이해.한국수화연구회 제2회 공개연구 발표회,71-89. 미소장
73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Ability to Employ Morphemes between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both Sign and Oral Language and Those Using Oral Language Only 소장
74 (2000).문법수화가 언어인가? 한국수화연구회,제2호 공개연구발표회, 7-26. 미소장
75 (2000).이야기 결속표지 발달:4세,6세,8세 및 성인을 대상으로.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6 (1996).한국수화의 통사론적 특성 분석.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미소장
77 (1999),한국수화의 통사론적 특징 분석.『한국수화연구회』,2,18-53. 미소장
78 A study on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Hearing Impairment 소장
79 (2010).『한국수화』(제 2판).서울:학지사. 미소장
80 (1993).2세 유아를 위한 가정방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1 (2003). 청각장애학생의 어휘력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17(3),165-179. 미소장
82 (2002).『한글 SPSS 10K 통계조사분석』.서울:SPSS 아카데미. 미소장
83 (2010).『청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과교육』.서울:학지사. 미소장
84 (1993).한국청각장애자의 사용수화 어휘빈도조사.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5 (1997)한국 수화의 조어법.한국수화학회 연수회 제1회 연수회,12-20. 미소장
86 청인(聽人)의 수화 습득 과정 네이버 미소장
87 (2001).수화의 언어적 특성과 수화통역.한국수화학회 학술대회 제3회 공개 연구 발표회,74-90. 미소장
88 The Study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n-manual Signals in Korean Sign Language 소장
89 An Alanystic Review of Research on Sign Language in Korea 소장
90 (2002).브로카실어증환자의 동사이해결함의 범주특정적 특색.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1 '다시말하기'를 통해 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산출 특성 소장
92 한국어 심리동사 구문의 복합문적 분석 네이버 미소장
93 (1983).『언어와 인지』.서울:한신문화사. 미소장
94 (2008).『언어치료사를 위한 한국어문법』.천안:나사렛언어청각센터. 미소장
95 노래부르기를 통한 언어지도가 언어발달지체아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 소장
96 (1999).11/2-2세 정상아동의 용언 발달 조사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7 (2002).지각동사의 논항구조와 의미분석.『인문관학연구』,11,1-24. 미소장
98 (2004).마음 이론과 한국어 동사의 습득.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미소장
99 (2000).『한국어 문법의 이해』.서울:월인(月印). 미소장
100 (2002).『수화의 이해와 실제-초급과정』.서울:(주)나남물판. 미소장
101 재활복지 관련 전공 수화어휘 연구개발 - 나사렛대학교를 중심으로 - 네이버 미소장
102 (1992).청각장애아의 문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의 탐색.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3 The Effects of Milieu Teaching Strategies on Requesting Behavior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소장
104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9).『연구 방법과 논문 작성법』.서울: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05 어머니의 언어가 자녀의 언어습득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소장
106 인천광역시 지방공무원교육원 (2010).수화교육:농아인에 대하 알고 싶어요.(streaming.homelearn.go.kr/content/dunet/수화교육/02/02). 미소장
107 國語 의 認知樣態 소장
108 (2007).18-24개월 영아의 기질과 어휘습득단기 종단적 연구.『인간발달연구』,14(3),23-42. 미소장
109 한국 수화의 어원적 의미 네이버 미소장
110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단어 유추 소장
111 정상아동과 말-언어장애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에 관한 연구 : 그림어휘력검사와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를 중심으로 소장
112 국어학 : 미각동사의 어휘고찰 네이버 미소장
113 (1999).수화의 언어학적 특성과 농아인의 사고체계.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4 (2002).『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조사』.서울: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115 (2003).3세에서 6세 아동의 발달에 따른 동사어휘 특성 및 빈도연구.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6 (1992).『언어학과 인지』.서울:한국문화사. 미소장
117 (2009).『(촘스키 & 스키너)마음의 재구성』.파주:김영사. 미소장
118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Communication Styles of the Deaf Children`s Parents with/without Hearing 소장
119 (2001).『장애아동언어지도』.대구:한국언어치료학회. 미소장
120 The Study Development of Concept and Meaning Voacabularies between Hearing and Deaf Children based on Schema Analysis with Noun 소장
121 자연언어 문장의 자동 변환을 위한 수화 표현의 언어학적 특성 분석 소장
1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장애인취업실태와 고용의 결과적 효과』. 미소장
123 한국표준수화규범 제정추진위원회 (2003).『한국수화 어원사전』.서울:문화관광부 & 한국농아인협회. 미소장
124 Longitudinal Study of Predictors for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Late-Talkers 소장
125 longitudinal study of communicative intention variables for predicting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the "late-talkers" 소장
126 Analyses of Mother-related Variables in Mother-childInteraction for Predicting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소장
127 Early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 of Children from Culturally Diverse Family Environments 소장
128 (2003).2;6-3;5세 한국아동의 언어습득에 관한 종단적 연구.단국대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9 Acquiring lexical contrast: the case of bring-take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130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worker-oriented and job-oriented verbs. 네이버 미소장
131 A multidimensional scaling study of semantic distance. 네이버 미소장
132 Algorithms in spelling instruction: The orthography of Dutch verbs. 네이버 미소장
133 Language: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History by Joseph Vendryes; 네이버 미소장
134 (1993).Sign Language and the Deaf community. National Association of the Deaf. 미소장
135 (1999). Seeing clearly: Frame semantic, sycholinguistic, and cross-linguistic approaches to the semantics of verb se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미소장
136 The Development of Analogical Reasoning in Deaf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mmunication Mode 네이버 미소장
137 (1995). Children talk about the mi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38 (1998). Psychological language recursiveness in children's narratives. Psychology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2(2),57-62. 미소장
139 (1994). Relating events in narrative: A crosslinguistic developmental study (Vols. 1). Hillsdale, N. 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140 (2009).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inchildren. MA: Allyn & Bacon. 미소장
141 Orange Eyes: Bimodal Bilingualism in Hearing Adults from Deaf Families 네이버 미소장
142 Role of the Cognitive Internal State Lexicon in Reading Comprehension 네이버 미소장
143 (2005). Modern multidimensional scaling : theory and applications. New York: Springer. 미소장
144 Incidental Word Learning in a Hearing Child of Deaf Adults 네이버 미소장
145 Talking about internal states: The acquisition of an explicit theory of mind. 네이버 미소장
146 (1997).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The Future of Children and Poverty, 7, 55-71. 미소장
147 Young children learn to produce passives with nonce verbs. 네이버 미소장
148 (1993). Theories of mind and the problem of mutism. In S. Baron Cohen, H. Tager-Flusberg, & D. J. Cohen (Eds.),Understanding other mind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9 Theory of mind concepts in children's literature 네이버 미소장
150 Gestural, Signed and Spoken Modalities in Early Language Development: The Role of Linguistic Input. 네이버 미소장
151 Differential asymmetries for recognizing nouns and verbs: where are they? 네이버 미소장
152 Exploring cerebral asymmetries for the verb generation task. 네이버 미소장
153 Two-year-olds learn novel nouns, verbs, and conventional actions from massed or distributed exposures. 네이버 미소장
154 Theory of Mind in Deaf Adults and the Organization of Verbs of Knowing 네이버 미소장
155 Cognitive Feelings and Metacognitive Judgments 네이버 미소장
156 Language: The Basics by R. L. Trask; 네이버 미소장
157 The syntagmatic-paradigmatic shift and reading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58 The effect of sign language on heari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59 (1978). Hearing and Deafness. Holt Rinehart and Winston, N.Y. 미소장
160 Two daughters of a deaf mute mother: implications for ego and cognitive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61 Interpersonal Lexicon: Structural Evidence from Two Independently Constructed Verb-Based Taxonomies 네이버 미소장
162 Verbs and nouns are organized and accessed differently in the mental lexicon: evidence from Hebrew. 네이버 미소장
163 Impact of mental operation instructions. 네이버 미소장
164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lause and the typology of perception-verb complements 네이버 미소장
165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Other People's Feelings and Beliefs: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Antecedents 네이버 미소장
166 (1997).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3rd Ed.).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미소장
167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Other People's Feelings and Beliefs: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Antecedents 네이버 미소장
168 (2000). Children’'s books as a source of mental state information. Cognitive Development, 15, 17–37. 미소장
169 Mental state expressions in US and Japanese children's books 네이버 미소장
170 (2005). A survey comparing children's home literacy interactions with deafand hearing par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Denton, Texas: USA. 미소장
171 Some Possible Effects of the Delay of Early Treatment of Deafness 네이버 미소장
172 In the Mind's Ear: The Semantic Extensions of Perception Verbs in Australian Languages 네이버 미소장
173 Developing Theories of the Mind: Children's and Adults' Concepts of Mental Activities 네이버 미소장
174 Perception and Control: A Minimalist Analysis of English Direct Perception Complements 네이버 미소장
175 (2002). Cognitive Development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미소장
176 Speech, language, and reading skills after early cochlear implantation. 네이버 미소장
177 Language: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History by Joseph Vendryes; 네이버 미소장
178 The Structural Sources of Verb Meanings 네이버 미소장
179 Young children can extend motion verbs to point-light displays. 네이버 미소장
180 Language: A Right and a Resource: Approaching Linguistic Human Rights by Miklós Kontra; 네이버 미소장
181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NJ : Prentice Hall. 미소장
182 Lexical Development and Retrieval in Treating Children Who Stutter 네이버 미소장
183 Language: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History by Joseph Vendryes; 네이버 미소장
184 Language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Mental States 네이버 미소장
185 Maternal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and Variations in Mental State Talk 네이버 미소장
186 Emergence of action categories in the child: Evidence from verb meanings. 네이버 미소장
187 (2005). Pick ‘'N Stick Color Stickers. Arizona: Able Data. 미소장
188 From communication to language in two modalities 네이버 미소장
189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Dynamics of Mental State Talk in Families 네이버 미소장
190 Early Comprehension of Mental Verbs: Think and Know 네이버 미소장
191 Children's Developing Understanding of Mental Verbs: Remember, Know, and Guess 네이버 미소장
192 Bimodal Bilingual Language Development in a Hearing Child of Deaf Parents. 네이버 미소장
193 The acquisition of question formation in spoken English and American sign language by two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네이버 미소장
194 Preschoolers Learning Hmong and English: Lexical-Semantic Skills in L1 and L2 네이버 미소장
195 Lexical Learning and Language Abilities in Preschoolers with Perinatal Brain Damage 네이버 미소장
196 (1987). Models, “"folk”" and “"cultural”": Paradigms regained. In D. Holland and N. Quinn (Eds.), Cultural Models in Language and Thought (pp 369–39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97 Young Children's Knowledge of the "Determiner" and "Adjective" Categories 네이버 미소장
198 Estimates of concreteness and other indices for 200 transitive verbs. 네이버 미소장
199 (1979). The signs of languag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00 Language: A Right and a Resource: Approaching Linguistic Human Rights by Miklós Kontra; 네이버 미소장
201 Lexical and Grammatical Associations in Sequential Bilingual Preschoolers 네이버 미소장
202 Lexical Comprehension i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네이버 미소장
203 (1978). Multidimensional Scaling. Sage University Paper Series on Quantitative Application in the Social Sciences(Series No.07-011).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204 Initial verbs of yes-no questions: A different kind of general grammatical category. 네이버 미소장
205 (2008).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culturally deaf parents who are raising hearing children. Unpublished dissert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Gallaudet University. 미소장
206 The Input to Verb Learning in Mandarin Chinese: A Role for Syntactic Bootstrapping 네이버 미소장
207 Attachment in Deaf Mothers and Their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08 Early lexical acquisit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네이버 미소장
209 Language: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History by Joseph Vendryes; 네이버 미소장
210 Words in discourse: a dialectical approach to the acquisition of meaning and use. 네이버 미소장
211 Language: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History by Joseph Vendryes; 네이버 미소장
212 Do verbs and adjectives play different roles in different cultures? A cross-linguistic analysis of person representation. 네이버 미소장
213 Adjective Definitions and the Influence of Word Frequency 네이버 미소장
214 Language: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History by Joseph Vendryes; 네이버 미소장
215 (1997). Raising and educating a deaf chil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6 First-Language Acquisition after Childhood Differs from Second-Language Acquisition: The Case of American Sign Language. 네이버 미소장
217 (1969). Frog, Where are You? New York :Dialbook for Young Readers. 미소장
218 (2001). Introduction to the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 Solana Beach,CA:Mayer-Johnson. 미소장
219 (1999). Reading practices with deaf learners. Austin, TX: PRO-ED. 미소장
220 Language: A Right and a Resource: Approaching Linguistic Human Rights by Miklós Kontra; 네이버 미소장
221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Narrative Skills in a Preschool Classroom: Towards a Solution to Clinician-Client Mismatch 네이버 미소장
222 Differences in conceptualizing self versus conceptualizing other people as manifested in contrasting verb types used in natural speech. 네이버 미소장
223 Poverty, Parenting, and Children's Mental Health 네이버 미소장
224 Patterns of Early Lex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Premature and Full-Term Infants. 네이버 미소장
225 Developmental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nd theory of mind. 네이버 미소장
226 Mental Verbs and Semantic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227 Mental Terms and the Development of Certainty 네이버 미소장
228 (1987). Educating the deaf: psyc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미소장
229 Lexical and Phonological Organization in Children: Evidence from Repetition Tasks. 네이버 미소장
230 The role of theories in conceptual coherence. 네이버 미소장
231 The Language Development of Pre-Preschoo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네이버 미소장
232 Learning Word Meanings from Context during Normal Reading 네이버 미소장
233 (1996). Languagein cognitive development: Emergence of the mediated mi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34 Speech and Language Production at Age 2: Evidence for Tradeoffs between Linguistic and Phonetic Processing. 네이버 미소장
235 (1991). Contrasting concepts of the critical period for language.In S. Carey & R. Gelman (Eds.), The epigenesis of mind: Essays on biology and cognition (pp.111-130).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미소장
236 Children's Theory of Mind: Understanding of Desire, Belief and Emotion with Social Referents 네이버 미소장
237 The Effects of Stimulus Variation on Lexical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238 Languages in Development (review) 네이버 미소장
239 Maternal Linguistic Input to Toddlers with Slow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240 Narrative development in late talkers: early school age. 네이버 미소장
241 Mindreading and Verbal Communication 네이버 미소장
242 Effects of Parental Deafness and Early Exposure to Manual Communication on the Cognitive Skills, English Language Skill, and Field Independence of Young Deaf Adults 네이버 미소장
243 (2000).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 categories of attention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year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75,245-262. 미소장
244 Acquisition of mental state language in Spanish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of mental verbs and linguistic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245 (2010). Verbal passive in williams syndrome. JSLHR papers in press. Published july 14, 2010. The final version is at http://jslhr.asha.org 미소장
246 (2004). The effects of adding metacognitive language to story texts. Cognitive Development,19,253-273. 미소장
247 Deafness, conversation and theory of mind. 네이버 미소장
248 (1997).The domain-specificity and everyday biologic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thinking in normal, austic, and deaf children, New Directions For Children Development, 75, Spring 미소장
249 Color Stickers, Words & Clip Art Touch ‘N Talk: Black/White Stickers developed by Cindy Drolet, C. Gilles-Brown, Jumala Klein & Kelly Hume & distributed by Imaginart Communication Products, Bisbee, AZ 85603 미소장
250 Processing ambiguous verbs: evidence from eye movements. 네이버 미소장
251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 (PCS). CA: Mayer-Johnson Co. http://www.Mayer-Johnson.com 미소장
252 The Experience of Story Reading 네이버 미소장
253 (1997). How the mind works. New York: Norton. 미소장
254 (2008). Sign and Speech in Family Interaction: Language Choices of Deaf Parents and their Heari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미소장
255 The Experience of Story Reading 네이버 미소장
256 Mixed Deaf-Hearing Families: Maximizing Benefits and Minimizing Risks 네이버 미소장
257 Language: A Theory of Its Structure and Use by Per Saugstad; 네이버 미소장
258 (1985).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don:Longman. 미소장
259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s a period of extended optional infinitive. 네이버 미소장
260 Lessons from Television: Children's Word Learning When Viewing 네이버 미소장
261 Visual performance of adults with prelingual auditory impairment. 네이버 미소장
262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and Mothers’ Mental State Language and Theory‐of‐Mind Understanding 네이버 미소장
263 Effects of a Conversation Intervention on the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Prekindergarten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64 Language learning with restricted input: Case studies of two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네이버 미소장
265 Parenting attitudes and behaviors of low-income singl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66 PERCEPTION, SELECTION, AND STRUCTURAL ECONOMY 네이버 미소장
267 Communication problems in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네이버 미소장
268 The influence of deviant maternal input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during the preschool years. 네이버 미소장
269 Som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of normal-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네이버 미소장
270 Annual Survey of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Youth: 1991-92 School Year 네이버 미소장
271 (1985). Pathfinder: Scaling with network structures (Memorandum in Computer and Cognitive Science, MCCS-85-9, Computing Research Laboratory). Las Cruces: New Mexico State University. 미소장
272 Developing Theories of Mind: Understanding Concepts and Relations between Mental Activities 네이버 미소장
273 The Organization of Mental Verbs and Folk Theories of Knowing 네이버 미소장
274 Developing organization of mental verbs: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vist theory of mind in middle childhood 네이버 미소장
275 Developing organization of mental verbs and theory of mind in middle childhood: evidence from extensions. 네이버 미소장
276 The organization of verbs of knowing: evidence for cultural commonality and variation in theory of mind. 네이버 미소장
277 Words, objects, and actions in early lexical acquisition. 네이버 미소장
278 Language Intervention With A Child With Hearing Whose Parents Are Deaf 네이버 미소장
279 "Multiple Inference-Inviting Properties" of Interpersonal Verbs: Event Instigation, Dispositional Inference, and Implicit Causality 네이버 미소장
280 (1983). The acquisition of mental verbs: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first references to mental state. Cognition,14,301–321. 미소장
281 Language: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History by Joseph Vendryes; 네이버 미소장
282 The Impact of Maternal Deafness on Cradling Laterality with Deaf and Hearing Infants 네이버 미소장
283 Deaf Parents and Their Hearing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84 Expression of Superordinates in Children's Word Definitions 네이버 미소장
285 (1977). Talking to childre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86 Mental verbs and pragmatic language difficulties. 네이버 미소장
287 (1998). The Strong Narrative Assessment Procedure. Eau Claire, WI: Thinking Publications. 미소장
288 Researching the Origins of Knowledge about Mental States 네이버 미소장
289 (2001). How do deaf infants attain first signs? Developmental Science,4, 71–78. 미소장
290 Nouns Are Not Always Learned Before Verbs: Evidence From Mandarin Speakers' Early Vocabularies 네이버 미소장
291 Acquisition of mental state language in Mandarin- and Cantonese-speaking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92 Learning Language the Hard Way 네이버 미소장
293 Bridge of signs: can sign language empower non-deaf children to triumph over their communication disabilities? 네이버 미소장
294 The Development of Semantic Associations in Profoundly Deaf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95 Code mixing in mother–child interaction in deaf families 네이버 미소장
296 The verbs of perception: a typological study 네이버 미소장
297 Language: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History by Joseph Vendryes; 네이버 미소장
298 (2009). The psycho-social impact on hearing children of deafness in their primary care-giv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Auck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New Zealand. 미소장
299 Social interaction skills and theory of mind in young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300 (1979). American Sign Language and sign systems. Baltimore. MD: University Park Press. 미소장
301 Beliefs about beliefs: Representation and constraining function of wrong beliefs i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ception 네이버 미소장
302 Signposts to Development: Theory of Mind in Deaf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303 Stability of Maternal Reports of Lexical Comprehension in Very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네이버 미소장
304 Predicting Lexical Density Growth Rate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네이버 미소장
305 Conceptualizing Parents' Sign Language Use in Bilingual Early Interventio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