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뉴 테러리즘 대응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군의 역할을 중심으로 / 유인일 인기도
발행사항
아산 :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1.8
청구기호
TD 350 -11-423
형태사항
v, 14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6811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선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2011.8. 지도교수: 김석주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목적 12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14

제2장 테러리즘과 뉴 테러리즘의 이론적 고찰 17

제1절 시대별 테러리즘의 변화와 요인 17

1. 로마시대 이후~제2차 세계대전 이전 17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2001년 9.11테러 이전 18

3. 2001년 9.11테러 이후~현재 22

제2절 테러리즘의 개념 25

1. 테러리즘의 정의 25

2. 테러리즘의 유형 29

3. 뉴 테러리즘과 발생원인 35

제3절 선행연구 55

제3장 우리나라와 주요국가의 테러 대응체계 현황과 문제점 59

제1절 주요국가의 테러 대응체계 59

1. 미국의 테러 대응체계 61

2. 영국의 테러 대응체계 72

3. 독일의 테러 대응체계 76

4. 각국의 테러 대응체계의 공통점 80

제2절 우리나라의 테러 대응체계와 문제점 83

1. 테러방지법 제정 추진 경과 83

2. 테러 위협에 대한 취약성 85

3. 테러 대응 조직 체계의 미흡 87

4. 테러 관련 법률규정의 미흡 90

5. 테러 대응기구의 지휘통제 및 업무협조의 미흡 93

6. 테러 대응 조직의 효율성 문제 93

제4장 뉴 테러리즘에 관한 의식조사분석 95

제1절 연구조사설계 95

1. 조사대상과 방법 95

2. 설문지 구성 96

제2절 실증분석 결과 96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96

2. 뉴 테러리즘에 관한 일반적 인식 98

3. 뉴 테러리즘에 대한 테러 대응대책 100

4. 뉴 테러리즘의 주체와 유형 102

5. 뉴 테러리즘의 대응책에 관한 신뢰도 104

6. 테러 대응체계에 관한 질문 106

7. 변수들 간의 독립성 및 연관성 분석 107

제5장 뉴 테러리즘 대응관리체계 개선방안 112

1. 국내 테러방지대책 및 관리 112

2. 국내 테러방지기관의 기능 및 역할 강화 113

3. 뉴 테러리즘 대응 정책의 발전방향 121

제6장 결론 128

참고문헌 131

부록 : 설문지 139

Abstract 150

〈표 2-1〉 주요국의 테러 정의와 입법례 28

〈표 2-2〉 국가 개입 여부 30

〈표 2-3〉 발생 요인에 따른 유형 32

〈표 2-4〉 수단 및 방법에 따른 유형 33

〈표 2-5〉 테러리즘의 발생건수 및 사망자 34

〈표 2-6〉 테러리즘과 뉴 테러리즘의 개념비교 38

〈표 3-1〉 국토안보부의 기능 66

〈표 3-2〉 대테러전 지원 현황 (2001년 12월 중순 기준) 71

〈표 3-3〉 각국의 테러 대응체계 요약 82

〈표 3-4〉 테러경보 단계 및 대응조치 87

〈표 3-5〉 국가비상사태에 대한 업무분야 92

〈표 4-1〉 인구 통계적 특성 97

〈표 4-2〉 뉴 테러리즘에 관한 인식 99

〈표 4-3〉 뉴 테러리즘에 대한 정부대응책에 대한 만족도 101

〈표 4-4〉 뉴 테러리즘의 주체와 유형 102

〈표 4-5〉 요인암살 및 인질테러의 가능성 여부 104

〈표 4-6〉 뉴 테러리즘에 대한 정부 대응책의 효과 105

〈표 4-7〉 테러 대비 중요역할 수행기관 107

〈표 4-8〉 근무기간과 테러주체 관련 인식 108

〈표 4-9〉 근무기간과 뉴 테러리즘에 의한 테러 대응대책 효과 109

〈표 4-10〉 근무기간과 테러 대응대책 신뢰도 저하요인 110

〈표 4-11〉 근무기간과 테러 대응대책 신뢰성 제고방안 111

〈표 5-1〉 각 부처별 테러 발생 시 예상 임무 116

〈그림 1-1〉 연구의 흐름 16

〈그림 2-1〉 테러 대응활동 운영체계 40

〈그림 2-2〉 각 부처별 대테러 임무 41

〈그림 3-1〉 미국의 국토안보부 편성안 67

〈그림 5-1〉 테러 대응작전 지휘체계 모델 126

초록보기 더보기

지난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9·11테러는 테러와 테러리즘의 개념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키는 분수령으로 작용하였다. 전통적 테러리즘과 뉴 테러리즘(new terrorism)이 교차되는 시기적·사건적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바로 9·11테러가 자리매김한 것이다.

본 논문은 사실상 9·11테러 이후 등장한 뉴 테러리즘의 발생배경 및 개념을 정립하여 국제정세의 불안정한 정치구조 속에서 사실상 테러의 무방비상태 속에 놓여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정밀 진단하고자 작성되었다. 실제로 2010년 3월의 천안함 사건과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과 같은 국내 테러상황의 변화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선박납치 등과 같은 해상강도, 해외교민 및 여행자에 대한 테러 등이 벌어지는 현실 속에서 우리나라도 이제는 테러의 위험에서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님을 자각할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테러안전국이 아닌 테러대상국으로서 사전 테러 유형을 예측하여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체계를 강구하는 것이 곧 한차원 높은 선진국으로의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국가와 개인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초적인 방법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본 연구자는 테러를 '정치·종교·민족·이념적인 목적이나 주의를 관철하기 위해 자행되는 무차별적인 폭력의 위협' 또는 '국가나 개인의 신변과 재산에 계획적으로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비인간적·반문명적인 성격의 범죄행위'로 규정하였다. 또한 테러와 테러리즘의 미묘한 어감 차이를 제시함과 동시에, 전통적 테러리즘과 뉴 테러리즘의 비교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대의 테러리즘이 날로 지능화·첨단화되고 있는 사실을 요연하게 밝혀내었다.

세계 각국은 변화무쌍하게 전개되는 테러리즘에 대한 방지대책을 나름대로 마련해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표적으로 미국과 영국, 그리고 독일의 체계를 중점적으로 파악하였다. 먼저 미국은 2001년의 9·11테러 이후 「애국법」 (USA Patriot Act 2001)을 제정하고 국토안보부(DHS)를 창설하여 테러에 대한 전방위적 대책 마련에 노력하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 아일랜드와의 해묵은 대치상황에서 비롯된 테러방지법을 9·11테러를 기점으로 개정하고, 이후 새로운 법안을 잇달아 마련하였다. 독일은 1972년 뮌헨 올림픽경기장 테러사건을 비롯하여 주로 좌익계열 단체인 적군파에 의한 테러가 빈발하면서 유럽에서 가장 먼저 테러범죄자를 처벌하기 위한 법적 조치를 마련한 국가로, 1970년대에 이미 자국 형법에 최초로 테러관련 규정을 도입하여 각종 규정들을 보완해 오다가, 9·11테러 이후 '국제테러대책법'을 제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9·11테러 직후인 2001년 9월 21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관계 장관 회의에서 국내외 테러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테러방지법'의 조속한 제정이 촉구되었다. 그러나 해당 법안은 제16대 국회 및 17대 국회에서 회기 만료와 동시에 자동폐기 되었다. 반면에 선진국들은 테러 대응 법률을 신규 입법하거나 재정비하고, 여러 부처에 분산된 대테러 관련기능을 효율적으로 통합·조정할 수 있도록 정보기관 또는 보안·방첩기관 산하에 컨트롤 타워(Control Tower) 기능을 갖춘 테러 대응기구를 신설 혹은 보강하고 있으며, 테러위협에 신속 대처하기 위한 테러경보체계를 도입·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과 관련하여 테러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 연구에 반영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상자를 선정 후 일대일로 대면하여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테러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테러리즘 발생 이전에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그 일환으로 테러 대응의 기본이 되는 행동지침 및 교범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테러 대응 업무체제의 전문성 및 한반도 안보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테러를 군사활동의 한 분야로 간주할 때, 테러 대응체계가 여러 정부부처별로 구분되어 통일적인 종합적 대응기구가 마련되지 않아 유사시 조직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현실을 인식하여 조직법 상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방의 의무에 충실하다는 역할을 갖는 군을 중심으로 테러 대응체계를 일원화하고 체제를 정비해 나가야 한다.

여기에 테러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교육, 테러리스트 조직에 대한 사전 예방활동 및 차단조치의 국제적 공조, 그리고 체포된 테러리스트에 대한 엄격한 처벌이 더해진다면 뉴 테러리즘의 위협으로부터 국가와 국민의 안전은 더욱 확고히 보장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