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지역문화발전을 위한 지역문화재단의 운영역할 인식차이에 대한 분석 연구 / 송경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1.2
청구기호
TD 700.68 -11-168
형태사항
3, 7, 20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7860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행정경영, 2011.2. 지도교수: 남상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1. 연구의 필요성 14

2. 연구목적 16

제2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17

1. 연구범위 17

2. 연구방법 18

제3절 연구의 체계도 19

제2장 이론적 고찰 21

제1절 지역문화와 지방분권 21

1. 지역문화의 의의와 개념 21

2. 지방분권에 따른 지역문화 24

3. 지역문화분권과 지역문화정책 27

제2절 지역문화재단 47

1. 지역문화재단의 배경 이론 47

2. 지역문화재단의 의의와 개념 57

3. 지역문화재단의 역사 60

4. 지역문화재단의 기능과 역할 64

제3장 지역문화재단의 현황 68

제1절 광역시·도 지역문화재단 70

1. 서울문화재단 74

2. 인천문화재단 76

3. 부산문화재단 78

4. 대구문화재단 80

5. 경기문화재단 82

6. 강원문화재단 84

7. 경남문화재단 86

8. 제주문화예술재단 88

9. 광역시·도 지역문화재단 비교 90

제2절 기초자치 시·군·구 지역문화재단 95

1. 서울지역 기초자치구 문화재단 98

2. 경기지역 기초자치구 문화재단 104

3. 인천지역 기초자치구 문화재단 112

4. 경남지역 기초자치구 문화재단 113

5. 강원지역 기초자치구 문화재단 116

6. 지역별 기초자치구 문화재단 비교 119

제3절 해외 지역분권체제와 지역문화예술기관 사례 122

1. 해외 지방분권 체제 122

2. 해외 지역문화예술기관 136

제4장 연구 설계 및 실증분석 142

제1절 연구설계 142

1. 연구과제 142

2. 연구가설 설정 143

제2절 분석설계 146

1. 연구의 분석틀 146

2. 설문지 구성 152

3. 설문조사 대상 및 분석방법 159

제3절 가설검증 162

1. 일반사항 162

2. 가설 검증 166

제5장 요약 및 결론 195

제1절 요약 및 논의 195

1. 요약 195

2. 논의 198

제2절 결론 200

참고문헌 203

설문지 211

Abstract 218

〈표 2-1〉 국내 6개 도시의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 활성화 추진정책 32

〈표 2-2〉 학자별 거버넌스 이론 56

〈표 2-3〉 설립주체에 따른 재단 분류 60

〈표 2-4〉 문화재단별 유형분류 63

〈표 2-5〉 국내재단 관련 법률 적용 및 분류 64

〈표 2-6〉 국내 지역문화재단의 유형 분류 66

〈표 3-1〉 국내 지역문화재단 분야별 현황 69

〈표 3-2〉 광역권 지역문화재단 설립현황 70

〈표 3-3〉 광역권 지역문화재단 사업현황 72

〈표 3-4〉 광역권 지역문화재단 조직현황 73

〈표 3-5〉 서울문화재단 사업현황 76

〈표 3-6〉 인천문화재단 사업현황 78

〈표 3-7〉 부산문화재단 사업현황 80

〈표 3-8〉 대구문화재단 사업현황 82

〈표 3-9〉 경기문화재단 사업현황 84

〈표 3-10〉 강원문화재단 사업현황 86

〈표 3-11〉 경남문화재단 사업현황 87

〈표 3-12〉 제주문화예술재단 사업현황 89

〈표 3-13〉 기초자치권 지역문화재단 설립현황 95

〈표 3-14〉 기초자치권 지역문화재단 조직현황 97

〈표 3-15〉 영국, 일본의 지방분권 비교 134

〈표 4-1〉 연구가설의 변인 143

〈표 4-2〉 연구가설 단계별 설정 144

〈표 4-3〉 연구의 분석틀 149

〈표 4-4〉 지역문화정책 설문조사연구 진행절차 153

〈표 4-5〉 설문지 질문내용의 결정 154

〈표 4-6〉 설문지 구성 요소표 (일반사항) 154

〈표 4-7〉 설문지 구성 요소표 (현 지역문화현황) 155

〈표 4-8〉 설문지 구성 요소표 (지역문화재단 현황 : 운영, 사업, 정책) 155

〈표 4-9〉 설문형태의 결정 156

〈표 4-10〉 현 지역문화재단의 정책, 운영, 사업에 관한 신뢰도 156

〈표 4-11〉 현 지역문화재단의 정책에 관한 신뢰도 분석 157

〈표 4-12〉 현 지역문화재단의 운영에 관한 신뢰도 분석 158

〈표 4-13〉 현 지역문화재단의 사업에 관한 신뢰도 분석 158

〈표 4-14〉 광역별 구분표 159

〈표 4-15〉 지역별 지역문화재단 구분표 160

〈표 4-16〉 설문조사 항목표 162

〈표 4-17〉 성별 특성표 163

〈표 4-18〉 연령별 특성표 163

〈표 4-19〉 지역별 선호 문화예술 장르의 차이 분석 164

〈표 4-20〉 지역예술인의 지역문화재단에 대한 기초인식 (광역시) 165

〈표 4-21〉 가설검증 결과 및 채택 여부 167

〈표 4-22〉 광역 vs 기초자치 문화재단 실무자 간의 인식차이 결과 168

〈표 4-23〉 지역예술인 vs 지역문화재단 실무자 간의 인식차이 결과 169

〈표 4-24〉 광역지방자치와 기초자치 문화재단 간 지역문화의 인식 차이 여부 171

〈표 4-25〉 지역에서 문화예술이 수행하는 역할 중 주요 항목에 대한 인식 차이 172

〈표 4-26〉 지역이 문화예술을 위한 투자 목적에 대한 인식 차이 173

〈표 4-27〉 지역에서 문화예술 활동이 시민들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인식 차이 174

〈표 4-28〉 지역문화예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우선 추진사업에 대한 인식 차이 176

〈표 4-29〉 광역지방자치와 기초자치 문화재단 간 지역문화재단의 인식 차이 여부 177

〈표 4-30〉 소속 지역문화재단 운영에 필요한 선결조건의 인식 차이 178

〈표 4-31〉 소속 지역문화재단의 필요한 사업 인식의 차이 180

〈표 4-32〉 소속 지역문화재단이 발전하기 위한 선결조건인식의 차이 181

〈표 4-33〉 소속 지역문화재단의 발전 장애요인 인식 차이 182

〈표 4-34〉 지역예술인과 문화재단 실무자 간의 지역문화의 인식 차이 여부 183

〈표 4-35〉 지역에서 문화예술이 수행하는 역할 중 중요 항목에 대한 인식 차이 184

〈표 4-36〉 지역이 문화예술에 투자하는 목적에 대한 인식 차이 185

〈표 4-37〉 지역에서 문화예술활동이 시민들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인식 차이 186

〈표 4-38〉 지역문화예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우선 추진사업에 대한 인식 차이 188

〈표 4-39〉 지역예술인과 문화재단 관련자 간의 지역문화재단에 대한 인식 차이 여부 189

〈표 4-40〉 소속 지역문화재단 운영에 필요한 선결조건의 인식 차이 190

〈표 4-41〉 소속 지역문화재단의 필요사업에 대한 인식 차이 192

〈표 4-42〉 소속 지역문화재단이 발전하기 위한 선결조건 인식 차이 193

〈표 4-43〉 소속 지역문화재단의 발전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 194

[그림 1-1] 연구의 체계도 20

[그림 3-1] 광역권 지역문화재단 설립현황 (재정) 71

[그림 3-2] 광역권 지역문화재단 재정현황 71

[그림 3-3] 광역시·도별 운영 (직원수) 비교차트 91

[그림 3-4] 광역시·도별 사업 비교차트 92

[그림 3-5] 광역시·도 사업수 & 하위 총사업수 비교차트 93

[그림 3-6] 광역시·도 재정별 비교차트 94

[그림 3-7] 기초자치 문화재단 재정별 비교차트 119

[그림 3-8] 광역별 기초자치 문화재단 수 및 시설운영수 120

[그림 3-9] 지역별 기초자치 문화재단 세부 시설운영수 121

[그림 4-1] Kingdom의 정책흐름모형 (Policy Stream) 148

[그림 4-2] 연구의 분석 체계 151

초록보기 더보기

한국의 지역문화재단은 지역분권을 통한 지역문화분권의 대두로 각 지자체의 새로운 지역문화정책과 지역문화발전을 위한 실행기구로서 설립되어지기 시작한 지 10여년이 지났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재단에 대한 기본적 개념 및 선행연구 이론을 통해 국내 지역문화재단 현황을 파악한 후, 지역의 새로운 문화예술정책 집행자로 인식되고 있는 지역문화재단과 지역의 문화예술 수행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예술인 간의 '지역문화'와 '지역문화재단'의 상호 발전을 위한 역할요인에 대해 인식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식차이 분석 연구는 "지역별 크기 및 규모, 지역성 등 지역문화에 대한 인식차이와 광역과 기초자치 지역문화재단의 차별화된 역할과 사업의 차이가 있다"는 논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의 결과를 통해 지역문화재단의 지역문화 집행자로서의 발전역할을 제시하고 각 지역문화의 발전에 적합한 지역문화재단의 역할요인을 연구하였다.

지역문화재단 담당자와 지역예술인 간의 인식차이 분석은 지방분권에 따른 지역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사전조사를 병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는 문화예술 및 지역문화 관련서적, 정책보고서, 학술지 기고문, 문화예술기관 발간물, 선행논문 등을 활용하였다. 사전조사는 현재 설립·운영되고 있는 지역문화재단의 현황을 파악하고 사업과 운영요인의 비교분석을 통해 광역과 기초자치 지역문화재단 별 운영역할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전국의 22개의 지역문화재단의 실무담당자와 각 지역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과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의 회원으로 한정하였다. 실증적 분석에 사용된 통계자료는 SPSS Statistics 17.0 프로그램으로 분석처리 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모집단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각 범주별 항목에 대한 순위평가 및 빈도를 분석하였다. 변수집단 간 특성 파악분석은 교차분석(crosstabs tables)과 카이제곱(χ²)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총 4개의 연구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2]는 광역권과 기초자치권의 지역문화재단 담당자 간, 지역문화와 지역문화재단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것으로 4가지 요인 중 3가지 요인에서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채택 되었다. 채택된 요인 중 사업과 지역현황에 대하여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채택되지 않은 요인에서는 정책의 궁극적 목적인 지역문화의 '수행역할' 요인과 지역문화재단의 '발전장애' 요인에 대하여 인식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4]는 지역예술인과 지역문화재단 담당자 간, 지역문화와 지역문화 재단의 인식차이를 분석한 것으로 4가지 요인 전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두 집단 간, 지역문화에 대한 인식에서는 근본적인 목적과 역할에서 같이 인식하는 부분이 근소하게 있었으나 지역문화재단에 대한 인식에서는 두 집단 간 인식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가설 1~4]의 결과를 통해 "지역문화발전을 위해 같은 목적과 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할 두 집단 간 인식차이가 크며, 지역분권의 특성별 지역문화재단의 역할과 사업의 필요하다"는 논제를 확인시켜 주었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문화재단의 특수성을 인정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① 기초자치 문화재단의 경우, 지역별 규모의 차이가 있음에도 광역문화재단의 설립관련 법적 근거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어 각 지역의 규모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관련 법적 근거와 정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② 지역별 문화재단의 특수성 있는 사업을 위한 문화예술행정 전문인력 확충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광역권 지역문화재단의 현황을 살펴보면, 아직 광역시보다 광역권 도의 경우는 전문직 인력 확충이 미비하여 사업의 다양성을 제고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지역문화재단 운영의 내실을 기할 수 있도록 지역별 특수성을 인식한 여건을 조성하는 일이 필요하다.

① 지역적 특성을 고려치 않은 벤치마킹을 통한 성급한 지역문화재단의 설립은 운영을 저해할 수 있음으로, 설립을 위해 기본 설계시기부터 지역전문가와 지역예술인, 관련 공무원으로 구성된 추진기구이나 전문 연구기관을 통한 기본 설립계획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② 기초자치 지역문화재단은 기초자치 내 지역문화재단의 문화사업적 특성을 고려하여 시설관리공단에서의 분리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는 지역문화사업의여건 조성을 위한 전문적이고 독립적인 운영형태의 체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기초자치 지역문화재단이 아직까지 기초자치 내 시설공단에 포함되어 있고 문화예술의 특수성이 배제된 시설관리의 차원에서의 일률적인 운영으로 진행되고 있어, 지역시민을 위한 충족된 문화예술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기본여건이 되어 있지 않다.

셋째, 지방분권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과 관련 행정가들의 마인드재고가 필요하다.

① 지방자치단체장의 문화적 소양과 전문성에 따라 지역문화재단의 설립목적과 지역문화사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그들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② 지역문화 행정가(공무원, 행정인력)의 문화예술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문화적 소양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인 실무를 함께 협업해야 할 행정가 또한 문화예술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 결론을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지역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책집행자인 문화재단 담당자와 정책수행자인 지역예술인 간, 서로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 우선이며 그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아직까지도 지역문화재단의 역할이 단순히 지역예술인을 위한 재정지원 기관으로만 인식하는 일부 지역예술인과 행정적인 절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미흡한 지역예술인을 위한 상호 원활한 정책적 통로로써 연합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이는 결국, 지역의 문화예술 전문 관련자들이 연합네트워크나 간담회를 통해 지역 문화발전을 위한 견해의 차이나 문제들에 대한 담론을 끌어내 궁극적으로 지역의 문화예술 향유자인 지역시민에게 지역적 특수성을 포함한 알맞은 맞춤 문화예술 사업과 정책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각 지역문화재단의 운영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차이의 분석으로 한정되어져 세심한 결론까지 도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추후 각 지역에 새로운 지역문화재단의 설립이 증가되면 지역별 세부연구를 통해 각 지역에 맞는 세분화된 발전 역할과 지역문화재단의 유형별 분류가 가능해질 것임으로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1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서울문화재단 문화제휴 전략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미소장
2 정책평가와 프로그램평가의 비교 : 우리나라 정부평가정책의 발전방향 모색을 중심으로 소장
3 제16대 대선정책공약의 분석과 평가 : 문화·공보 분야 소장
4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기본법 제정의 의미와 내용”, 『한국지방재정학회』, 2006 미소장
5 “참여정부 핵심 국정과제와 문화정책 과제-지방분권과 국가 균형발전을 중심으로”, 『지역분권과 문화정책의 과제』, 한국문화정책연구소 제1회... 미소장
6 “춘천문화정책의 비전과 춘천시문화재단의 역할”,제5차포럼 발제집, 춘천시문화재단,2010 미소장
7 “1990년대 일본의 지방분권 개혁”, 『시정연구』12월호, 2000 미소장
8 영국 지방정부의 계층제에 관한 연구 : 1990년 이후의 개편 과정을 중심으로 소장
9 “IMF와 지방정부개혁대처수상의 지방정부 개혁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제8집, 1998 미소장
10 “1990년 이후 영국 지방정부의 단층제에 관한 논의”, 『지방행정정보』 58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7 미소장
11 지역문화의 제3세계적 인식과 탈식민의 전망 소장
12 분권의 본 뜻과 지역문화 발전의 방향 소장
13 “문화의 시대와 지역문화의 문제”, 『지역문화의 발전전략과 문화네트워크』, 지역문화네트워크/ 남문화연대, 2002 미소장
14 “한국경제의 위기와 대안적 발전모델”, 『사회경제평론』, 한국사회경제학회, 1999 미소장
15 “창조도시, 창조계급, 문화예술경영”, 『2008 가을 정기학술대회 ‘창조도시와 문화예술경영’』,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08 미소장
16 『지방의 신화창조 : 세계로가는지방혁신』, 대통령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편], 2006 미소장
17 『한국 정치의 현황과 발전 전략-지방정치·거버넌스』, 한국정치학회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공편], 한국정치학회, 2001 미소장
18 『분권과 균형발전 시대에서의 지역시민사회의 역할 및 과제』, 한국행정학회 ; 중앙일보 [공편], 한국행정학회, 2003 미소장
19 『지방분권과 지역발전』, 대구사회연구소 ; 한국지역사회학회 ; 대구광역시 [공편], 대구사회연구소, 2002 미소장
20 “지역문화와 문화재단 - 문화재단 설립 붐 성과와 우려”,『문화도시·문화복지』Vol. 152,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미소장
21 광주문화중심도시를 향한 마케팅 전략 소장
22 참여정부의 지방분권 전략과 과제 : 참여정부의 정책방향 소장
23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재원확보 방안 연구 네이버 미소장
24 『2001 문화정책 연구보고서 초록집』4, 한국문화정책개발원 [편], 2002 미소장
25 “지역문화운동 평가와 전략 : 새로운 지역문화운동을 위한 지도그리기”, 『지역문화, 진보의 길을 묻다』, 지역문화정책개혁포럼, 2006 미소장
26 문화자치단체의 조건과 기준 소장
27 W.C. 윌리엄즈의 지역주의 소장
28 문화자원 개발과 지역활성화 전략 네이버 미소장
29 『지방재정』, 제4호(통권 제135호),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05 미소장
30 “지방문화정책의 변화와 진로”, 『제50회 국가정책세미나』,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1996 미소장
31 문예진흥 재원확보, 어떻게 할 것인가 <討論> 소장
32 “지역문화 재원과 문화정책”, 『지역문화의 해 대토론회 : 백화제방(百花齊放)』, 지역문화의 해 추진위원회 [편], 2001 미소장
33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안”, 『지역문화활성화와 문화분권을 위한 대토론회』, 지역문화네트워크, 2003 미소장
34 “미국의 지역문화 행정체계와 뉴욕주의 문화예술”, 『기정문화예술』 5·6월, 2003 미소장
35 “지방분권화의 과제일본의 교훈”, 『분권과 혁신』19호, 2000 미소장
36 『문화정책과 예술진흥』, 서울 :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3 미소장
37 『문화재단 - 아름다운 거버넌스를 위하여』, 2007 미소장
38 『미래를 사는 문화정책』, 서울 : 나남출판, 1996 미소장
39 『예술경영조직론』, 역사넷, 2008 미소장
40 『문화와 가치』, 서울 : 정목출판사, 2003 미소장
41 『지방분권 정책대안』, 한울 미소장
42 『문화를 통한 지역개발 사례연구』. 서울 : 크리홍보, 2007 미소장
43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미소장
44 서울-평양-도쿄-베를린-뮌헨 그리고 이윤상 소장
45 『한국공익재단의 환경변화와 발전방향』, 1995 미소장
46 『정책학 원론』, 서울:대명출판사, 1995 미소장
47 경희대문화예술경영연구소,『성남문화재단 및 문화예술회관 관리운영방안 연구』, 2004 미소장
48 구리시청, 『지방자치와 지역문화』, 한국산업관계연구원, 2001 미소장
49 문화관광부, 『2005 문화미디어백서』, 2006 미소장
50 문화관광부, 『문화정책백서』, 2006 미소장
51 문화관광부, 『창의 한국』, 2004 미소장
5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문화재단 문화제휴 전략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 2005 미소장
53 주5일 근무제가 도시정책에 미치는 영향 네이버 미소장
54 참여정부 지방분권 추진 로드맵 소장
55 한국문화예술진흥원,『지역문화활성화와 문화분권을 위한 대토론회』, 지역문화네트워크/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3 미소장
56 한국문화관광정책진흥원,『분권시대 지역문화진흥체계 개선방안연구』, 2005 미소장
57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지역사회, 지역문화 토론회』, 문화관광부, 2001 미소장
58 한국정책개발원,『외국의 문화행정 업무 영역과 행정조직에 관한 조사 연구』, 1998 미소장
59 한미회계법인,『강남문화재단 중장기발전방안연구』, 2009 미소장
60 『미래의 국정관리』, 법문사, 1998 미소장
61 한국 지방분권의 전개과정과 지역사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소장
62 “한국문화정책의 변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미소장
63 국내문화재단 비교연구 소장
64 지방문화예술 공공지원 사례분석 연구: 경기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소장
65 한국의 문화재단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66 지역문화행정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소장
67 국내·외 문화재단 비교 연구 소장
68 대구문화재단의 설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소장
69 지방자치단체 문화정책의 활성화 방안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소장
70 지역도시에서 공공문화재단 필요성과 설립방안에 관한 연구 : 천안시를 중심으로 소장
71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술정책의 경제적 효과 및 지역 활성화방안”,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미소장
72 예술경영, http://www.gokams.or.kr, 지역문화재단 특집 , 예술경영지원센터, 2010 미소장
73 이동렬, “경남 문예예술 진흥 깃발 세워”, 한국일보 2010. 2. 2일자 기사 미소장
74 Arts Council England, ACE, Art Council Organization Review Briefing Note, 2009 미소장
75 The Changing Architecture of Politics: Structure, Agency and the Future of the State , Hardcover, 1990 미소장
76 Department of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Implementing Best Value, London;HMSO, 1999 미소장
77 Department of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Lovcal Gaverment Act 2000, London;HMSO, 2000 미소장
78 Department of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Best Value, London;HMSO, 2000 미소장
79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Inc. Publishers, 1985 미소장
80 Public Policy Theories, Models, &Concepts ,An Anthology 1995 publication, 1995 미소장
81 Intellect, Emotion, and Art Education Advocacy 네이버 미소장
82 Public Choice II: A Revised Edition of Public Choice, Cambridge Surveys of Economic Literature, 1989 미소장
83 The Public Sector: Concepts, Models and Approaches, 1995 미소장
84 Museum Strategy and Marketing. SF: Jossey-Bass Publishers. 1998 미소장
85 Standing Room Only : Strategies for Marketing the Performing Arts.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미소장
86 The retreat of the state: The diffusion of power in the world economy 네이버 미소장
87 Microeconomic Theory: Basic Principlesand Extensions, U.S.: Thomson Learning, Inc, 2002 미소장
88 Seeing is Forgetting the Name of the Thing One Sees:His biography of the artist Robert Irwin, 1982 미소장
89 예술경영, http://www.gokams.or.kr 미소장
90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fac.or.kr 미소장
91 인천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ifac.or.kr 미소장
92 부산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bscf.or.kr 미소장
93 대구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dgfc.or.kr 미소장
94 경기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ggcf.or.kr 미소장
95 강원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gwcf.or.kr 미소장
96 경남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gncf.or.kr 미소장
97 제주문화예술재단 홈페이지 http://www.jcaf.or 미소장
98 중구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cmah.or.kr 미소장
99 마포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mapoartcenter.or.kr 미소장
100 구로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guroartsvalley.or.kr 미소장
101 강남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gfac.or.kr 미소장
102 부천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bcf.or.kr 미소장
103 고양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artgy.or.kr 미소장
104 성남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sncf.or.kr 미소장
105 화성시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oman.hcf.or.kr 미소장
106 안양문화예술회관 홈페이지 http://www.ayac.or.kr 미소장
107 부평구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bpcf.or.kr 미소장
108 거제시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geojeart.or.kr 미소장
109 김해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ghcf.or.kr 미소장
110 춘천시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www.cccf.or.kr 미소장
111 강릉문화예술진흥재단 홈페이지 http://www.gncaf.or.kr 미소장
112 디지털부천문화대전 http://bucheon.grandculture.net 미소장
113 디지털 제주시문화대전 http://jeju.grandculture.net 미소장
114 재단연구회 홈페이지 www.foundation.or.kr 미소장
115 잉글랜드 예술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artscouncil.org.uk 미소장
116 뉴욕주예술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nysca.org 미소장
117 스코트랜드의회 홈페이지 http://www.scottish.parliament.uk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