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정신장애 노숙인의 재활쉼터 퇴소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병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M 361 -12-202
형태사항
8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00389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2012.2. 지도교수: 김종해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제1장. 서론 12

제1절 문제제기 12

제2절 연구의 목적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7

제1절 정신장애 노숙인 17

1. 정신장애 노숙인의 개념 17

2. 정신장애 노숙인의 실태 21

3. 정신장애 노숙인의 특성 23

제2절 정신장애노숙인의 쉼터 퇴소 31

1. 노숙인 재활쉼터 31

2. 노숙인의 탈노숙 35

3.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복귀 38

4. 노숙인의 쉼터퇴소 요인 41

제3장. 연구 방법 45

제1절 연구모형 45

제2절 표본선정과 자료수집 46

제3절 변수 정의 46

1. 독립변수 46

2. 종속변수 48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50

1. 기술적 통계분석 50

2. 로지스틱 회귀분석 51

제4장. 연구 결과 52

제1절 정신장애 노숙인의 특성 52

1. 인구사회학적 특성 52

2. 정신장애 관련 특성 54

3. 노숙 관련 특성 56

제2절 정신장애 노숙인의 특성 차이에 따른 재활쉼터 퇴소유형 59

1. 인구사회학적 특성 차이에 따른 쉼터퇴소 유형 59

2. 정신장애 관련 특성 차이에 따른 쉼터퇴소 유형 60

3. 노숙 관련 특성 차이에 따른 쉼터퇴소 유형 61

제3절 정신장애 노숙인의 특성이 쉼터퇴소에 미치는 영향 65

1. 연구 변수 간 상관관계 65

2. 정신장애 노숙인의 특성이 쉼터퇴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68

제5장. 결론 및 제언 72

제1절 연구결과 요약 72

제2절 연구의 함의 75

1. 이론적 함의 75

2. 실천적 함의 77

3. 정책적 함의 79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81

참고문헌 82

변수코드 87

ABSTRACT 90

〈표 2-1〉 보건복지부의 노숙인 집계 22

〈표 2-2〉 정신장애노숙인 의료 연계기관 33

〈표 4-1〉 정신장애 노숙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3

〈표 4-2〉 정신장애 노숙인의 정신장애 관련 특성 55

〈표 4-3〉 정신장애 노숙인의 노숙 관련 특성 58

〈표 4-4〉 인구사회학적 특성 차이에 따른 쉼터퇴소 유형 차이 59

〈표 4-5〉 정신장애 관련 특성 차이에 따른 쉼터퇴소 유형 61

〈표 4-6〉 노숙 관련 특성 차이에 따른 쉼터퇴소 유형 63

〈표 4-7〉 연구 변수 간 상관관계 65

〈표 4-8〉 정신장애 노숙인의 특성이 긍정적 쉼터퇴소에 미치는 영향 71

〈그림 3-1〉 연구모형 45

초록보기 더보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빈곤과 정신장애로 인해 지역사회에서 이탈하여 거리에서 노숙을 하거나 노숙인 재활쉼터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정신장애 노숙인은 IMF경제위기 속에서 급격히 늘어났고, 경제적 위험을 벗어난 현 시점에서도 그 수는 줄어들지 않고 지속적으로 일정비율을 유지하거나 늘어나는 추세이다. 노숙인 문제의 지속성을 반영한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이 2011년 4월에 통과하면서 노숙인 지원이 법제화되었다. 정신장애 노숙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노숙인 지원체계에 대한 논의, 정책결정이나 재활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노숙인의 지원체계로 서울시립비전트레이닝센터 데이터는 단일기관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전국에서 유일한 성인 남성 전문 재활쉼터라는 측면에서 정신장애 노숙인에 대한 실증적이고, 접근 가능한 정보로서 의의가 있다.

정신장애 노숙인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상자들이 정신장애와 경제적 어려움의 가중된 문제를 지니고 있기에 사회의 개입이 필요하고, 실천의 근거가 될 연구가 필요하였지만 대상자들의 회피, 정보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과 사회적 관심 결여로 미흡하였다. 정신장애 노숙인을 간접적으로 관련한 연구는 정신장애 연구와 노숙관련 연구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정신장애 관련 연구는 회복, 사회복귀의 측면에서 노숙 관련 연구는 원인, 노숙경험, 사회복귀, 탈노숙에 대한 주제가 주로 초점이 맞춰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 설계에 앞서 정신장애와 노숙이라는 두 주제의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변수를 설정하였다.

정신장애 노숙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빈약함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정신장애 노숙인에 대한 양태를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인 특성, 정신장애 관련 특성, 노숙 관련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이들의 특성을 관련 대상군인 정신장애인, 부랑인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지역사회복귀를 위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정신장애 노숙인의 특성에 따른 재활쉼터 퇴소유형(긍정적 vs부정적)의 차이, 긍정적 퇴소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재활쉼터 이용 정신장애 노숙인은 부랑인 쉼터 이용인과 비교하여 학력이 높았으며, 연령대가 낮았다. 정신장애 노숙인은 미혼이 76.5%(289명)로 대부분 가족을 구성한 경험이 없었다. 학력은 중졸이상 고졸이하가 45.2%(171명)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가 59.0%(223명), 병역은 면제가 45.8%(173명), 현역 26.5%(100명)를 보였다. 연락이 가능한 가족이 없는 경우가 43.1%(163명)로 나타났으며 평균 2.01명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일반 정신장애인의 연구와 비교하여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연령은 41세에서 50세가 36.0%(136명), 31세에서 40세가 29.1%(110명)로 나타났다.

정신장애 관련 특성은 장애 미등록 인원이 62.7%(237명)로 정신과 진단이 재활쉼터 입소 기준임에 비해 장애등록은 낮은 수치를 보였다. 진단명은 정신분열증이 61.4%(232명)로 정신장애 등록인의 진단 분포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정신과 입원 횟수는 1회 이상 41.8%(158명), 없음 33.6%(127명), 1회가 24.6%(93명)로 70% 이상 인원이 정신과 입원 치료력이 있었다. 정신과 진료 횟수는 평균 16회로 1회에서 10회가 57.1%(216명), 10회 이상 39.2%(148명)로 나타났다. 정신과 약물투약 일수는 평균 265회로 0회에서 2,264회로 크게 차이를 보였다. 자살시도는 '있다' 29.9%(113명), 자살 시도력이 있는 회원은 평균 2.1회로 1회에서 20회로 조사되었다.

노숙 관련 특성 중 재활 쉼터 입소 전 거주형태는 거리노숙 28.0%(106명), 노숙인 시설 24.6%(93명), 병원 및 요양원 22.8%(86명), 염가숙소 14.6%(55명), 자가 6.6%(25명), 기타 3.5%(13명)로 조사되었다. 신용상태는 미확인 38.9%(147명), 신용불량 32.5%(123명), 신용유지 28.6%(108명)이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31.5%(119명)로 나타났다. 직업재활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7회 미만이 68.3%(258명)로 참여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재활쉼터 이용 횟수는 4회 이상 33.3%(126명), 2회에서 4회가 36.8%(139명)로 대부분 2회 이상 이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주기간은 평균 140일로 최소 0일에서 최고 1,996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정신장애 노숙인의 특성 중 재활쉼터 퇴소유형에 통계적으로 유효한 차이가 나타난 변수는 가족 수, 장애등록여부, 입소 전 거주상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여부, 직업재활프로그램참여 여부, 거주기간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 노숙인의 재활쉼터 퇴소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적 퇴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락이 가능한 가족 수, 고등학력,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장기간의 거주기간, 저축량이 도출되었고, 부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신과 입원 횟수, 노숙경험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정신장애 노숙인의 양상과 긍정적 재활쉼터퇴소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지역사회복귀 및 쉼터 퇴소 관련 정신장애와 노숙 관련 이론을 정신장애 노숙인 분야에 통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실천적인 함의로 재활쉼터의 접근성 및 재활프로그램의 전문성 강화, 자살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의 필요성,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 취득을 위한 지원 필요성, 대상자의 지역사회거주 치료 효과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였다. 셋째, 정책적 함의로 정신장애 노숙인의 복지를 위해 재활쉼터와의 연계성 있는 주거지원의 필요성, 안정적인 생활 정착을 위해 정신과 치료 및 지속적인 사례관리의 필요성, 정신장애 노숙인을 위한 일자리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