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도심 속 공원의 경계에 관한 연구 : 국립 용산공원 조성 후 녹사평역사 활성화 방안 / 김호종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M 692.1 -12-91
형태사항
viii, 10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0048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건축설계전공, 2012.2. 지도교수: 이영범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0

I. 서론 13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3

1.2. 연구 범위 및 방향 15

1.3. 연구 흐름 조직도 16

II. 현대도시에서 경계와 전이공간 18

2.1. 현대 도시에서의 경계 18

2.1.1. 경계의 의의와 기능 18

2.1.2. 경계의 변화와 장소성 19

2.2. 경계와 전이 공간 23

2.2.1. 전이공간의 의의와 기능 23

2.2.2. 경계영역과 전이공간 25

2.2.3. 현대 도시에서 전이공간의 역할 25

2.2.4. 경계 영역의 전이공간 해석에 대한 공간구성 사례 26

III. 현대도시에서의 공원과 도시 30

3.1. 도심 속 공원의 등장 30

3.1.1. 근대공원의 탄생 30

3.1.2. 도시계획에서의 공원 33

3.2. 현대 도시에서의 공원과 도시와의 관계 34

3.1.1. 경계의 유연화에 따른 도시와 공원과의 관계 34

3.1.2. 도시변화에 따른 새로운 공원의 등장 35

3.1.3. 새로운 공원의 경계에서의 전이 공간으로서의 역할 44

3.3. 소결 45

IV. 대상지 현황 및 분석 47

4.1. 국립 용산공원 계획안 47

4.1.1. 계획안의 개요 47

4.1.2. 계획안의 기본 구상안 53

4.1.3. 용산공원 주변지역과의 연계성 62

4.2. 국립 용산공원 계획안과 녹사평역사 64

4.2.1. 도시 네트워크상의 녹사평역사의 지리적 의미 64

4.2.2. 녹사평역사의 전이공간으로서의 의미 67

V. 디자인 제안 및 프로세스 71

5.1. 녹사평 역사 주변 공원 계획안 71

5.1.1. 주변 영역의 맥락에 의한 공원 프로그램 71

5.1.2. 공원의 기반시설계획 76

5.1.3. 공원 필드 세부 프로그램 79

5.2. 녹사평 역사 전이공간의 클러스터 디자인 90

5.2.1. 공원 조성 후 지리적 문제점 제기 90

5.2.2. 리프팅 클러스터 디자인 - 활성화된 인프라 스트럭쳐 구축 92

5.3. 공원과의 연계성을 위한 가로공간 계획 106

5.3.1. 가로공간으로의 프로그램 확장 106

5.3.2. 확장된 가로공간 프로그램과 공원의 연계 108

VI. 결론 112

참고문헌 114

ABSTRACT 116

〈표 1〉 법규 변화에 따른 시대별 도시공원 종류와 변화 34

〈표 2〉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 47

〈표 3〉 공원의 위치 및 면적 47

〈표 4〉 공원 계획에 성격 49

〈표 5〉 시기별 추진 현황 51

〈표 6〉 용산공원계획의 범위 52

〈표 7〉 공원 구조와 성격 53

〈표 8〉 단위공원의 면적과 보전 및 재사용 건축물의 건폐율 56

〈표 9〉 생태축 공원 계획 56

〈표 10〉 문화 유산 공원 계획 57

〈표 11〉 관문공원 계획 58

〈표 12〉 세계문화공원 계획 59

〈표 13〉 U-Eco 놀이 공원 계획 60

〈표 14〉 생산 공원 계획 61

〈표 15〉 주변 지역별 추진계획 63

〈표 16〉 키워드에 대한 세부프로그램 74

〈그림 1〉 연구 흐름 조직도 16

〈그림 2〉 경계의 요소 18

〈그림 3〉 경제의 구성 19

〈그림 4〉 경계의 변화 - 경계의 모호성 20

〈그림 5〉 제임스 코너 - Field conditions diagrams 20

〈그림 6〉 요코하마 국제 여객 터미널 26

〈그림 7〉 Olympic Sculpture Park in Seattle 27

〈그림 8〉 하이드 파크 30

〈그림 9〉 리젠트 파크 31

〈그림 10〉 볼로유 숲 32

〈그림 11〉 센트럴 파크 32

〈그림 12〉 다운스 뷰 파크-1 (Downsview park Toronto) 38

〈그림 13〉 다운스 뷰 파크-2 (Downsview park Toronto) 39

〈그림 14〉 프레쉬 킬스-1 (Fresh Kills) 40

〈그림 15〉 프레쉬 킬스-2 (Fresh Kills) 41

〈그림 16〉 하이 라인 (High-Line) 42

〈그림 17〉 하이 라인 - 부분별 프로그램 (High-Line) 43

〈그림 18〉 서울에서의 공원의 위치 48

〈그림 19〉 공원부지 현황 50

〈그림 20〉 녹지 체계 54

〈그림 21〉 수체계 54

〈그림 22〉 경관체계 54

〈그림 23〉 동선체계 54

〈그림 24〉 용산공원 기본 구상도 55

〈그림 25〉 경계부 기반시설 현황 62

〈그림 26〉 주변 지구별 영역 63

〈그림 27〉 외부 유동 인구에 대한 가중치와 흐름 64

〈그림 28〉 용산공원 부지의 변화 65

〈그림 29〉 용산공원 부지의 현재상황 65

〈그림 30〉 국방부 위치에 따른 현상 65

〈그림 31〉 용산공원 녹지축의 흐름 66

〈그림 32〉 신분당선 조성 후 교통의 가중치 66

〈그림 33〉 공원 경계에서의 전이공간 66

〈그림 34〉 네트워크 흐름에 따른 거점 형성 67

〈그림 35〉 경계 영역의 확장에 의한 전이공간 확보 68

〈그림 36〉 녹사평 역사 주변 현황 69

〈그림 37〉 대상지 현황 71

〈그림 38〉 대상지 주변 맥락 72

〈그림 39〉 컨텐츠 영역 확장 73

〈그림 40〉 경계영역의 연계성을 통한 프로그램 계획 75

〈그림 41〉 기본 공원 배치 계획 76

〈그림 42〉 입구 계획 77

〈그림 43〉 동선계획 78

〈그림 44〉 워터필드 영역설정 79

〈그림 45〉 워터필드 계획결과 80

〈그림 46〉 생활 체육 공원 81

〈그림 47〉 생활 체육 공원 계획결과 82

〈그림 48〉 세계다문화 예술공원 입지 83

〈그림 49〉 세계다문화 예술공원 계획 84

〈그림 50〉 문화쇼핑센터 계획결과 85

〈그림 51〉 녹사평역사 주변 공원계획 86

〈그림 52〉 녹사평역사 주변 공원 부분계획- 1 87

〈그림 53〉 녹사평역사 주변 공원 부분계획- 2 88

〈그림 54〉 녹사평역사 주변 공원 부분계획- 3 89

〈그림 55〉 대상지 지리적 현황 90

〈그림 56〉 녹사평역사 주변 단면 90

〈그림 57〉 대상지 주변 맥락 91

〈그림 58〉 지면의 리프팅 92

〈그림 59〉 접해져 있는 영역에 대한 프로그램 배치 93

〈그림 60〉 차양 확보를 위한 보이드 공간 적용 93

〈그림 61〉 보행 실태 - 도로레벨 94

〈그림 62〉 보행로 구성 - 도로레벨 94

〈그림 63〉 보행 실태 - 구릉지레벨 95

〈그림 64〉 보행로 구성 - 구릉지레벨 95

〈그림 65〉 필요한 보행로 96

〈그림 66〉 필요 보행로의 적용 가능성 96

〈그림 67〉 적용 가능한 보행로 97

〈그림 68〉 레벨차를 통한 보행로 적용 97

〈그림 69〉 보행로 적용에 의한 기본구상 98

〈그림 70〉 현재 보행 가능 구간 99

〈그림 71〉 현재 보행로에 대한 연계성 99

〈그림 72〉 연계성 확보를 위한 전이공간 영역화 100

〈그림 73〉 영역화된 클러스터의 범위 100

〈그림 74〉 주변영역에서 유입되는 프로그램 101

〈그림 75〉 프로그램의 영역화 101

〈그림 76〉 클러스터 부분별 보이드 처리 102

〈그림 77〉 하부공간과의 연계성 확보 102

〈그림 78〉 녹사평 역사에서의 지하레벨의 현황 102

〈그림 79〉 녹사평 역사 지하공간과의 연계성 102

〈그림 80〉 클러스터 배치계획 103

〈그림 81〉 클러스터 3D 이미지 104

〈그림 82〉 클러스터 부분별 계획 105

〈그림 83〉 확장된 전이공간으로서의 가로영역 106

〈그림 84〉 가로 영역의 경계 변화 107

〈그림 85〉 새로운 경계로서의 가로공간 107

〈그림 86〉 가로 공간의 프로그램 계획 108

〈그림 87〉 최종 계획안 109

〈그림 88〉 국립 용산공원에서의 배치 11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사회 변화에 따른 도심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 변화가 나타남으로서 새로운 공원이 필요한 상황에서 공원과 도시 사이의 관계를 재조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성격의 공원과 도시가 만나는 경계의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 도시건축에서의 경계는 20세기를 전후하여 나타난 급격한 교통,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고밀화, 광역화로 이루어진 도시들로 인해 장소의 개념이 공간과 시간에 의해 바뀌게 되면서 이전에 상호관계가 불가능했던 이질 요소들의 접촉으로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경계는 단순히 공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기 전에 도시 공간 사이의 전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경계 영역은 단순한 선적인 의미의 요소가 아니라 두가지 이상의 영역이 상보적으로 존재하는 장소를 의미하게 되며, 이로써 경계는 이질적 요소의 공통점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다. 동시에 도시 안에서의 전이 공간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소통의 장이 될 것이다.

서로 다른 성격의 영역으로서 공원과 도시는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며 각기 새로운 요구와 상황들을 만들어 오면서 새로운 경계를 형성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도심 공원들은 도시화가 가속화 됨에 따라 형성된 도로와 주거지들 속에서 도시와 공원이라는 서로 다른 성격의 이분법적인 행태의 섬으로 존재해왔다. 과거의 도시와 자연스럽게 공존하고 연결되어 있던 자연이 도시조직의 형상에 따라 잘려진 공원으로 남겨진 것이다. 그로 인해 도시와 공원은 도로라는 뚜렷한 경계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 공원은 단순한 휴식처와 녹지공간으로서 기념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던 이전의 공원에서 시민들의 레크레이션과 활동성을 포괄할 수 있는 개방적인 공원으로 변하고 있다. 이는 도시와 공원의 관계가 상호 보완적인 방식으로 존재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성격의 영역인 도시와 공원이 만나게 되는 경계는 전이 공간으로서 새로운 장소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다음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전체적인 연구의 진행은 현대 도시의 경계와 전이 공간에 대해 분석하고 현대건축에 있어서 어떤 양상으로 적용되는지를 알아본 후 다른 영역의 성격을 가진 공원과 도시와의 관계에서의 전이공간을 새로이 구성해 보았다.

이에 따라 이전 될 용산 미군 기지 부지에 생겨날 국립 용산 공원 계획안과 도시 조직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공원의 중요한 거점이 될 녹사평 역사를 중심으로 공원의 경계 디자인을 제안하고 공원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제시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