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필리피노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 시간, 공간, 신체접촉, 시선접촉을 중심으로 / 이영민 인기도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M 420 -12-145
형태사항
87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0747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2012.2. 지도교수: 변명섭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6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6

2. 선행연구 9

3. 연구의 제한점 14

4. 논문의 구성 15

II. 이론적 배경 16

1. 필리핀 16

1.1. 개요 16

1.2. 필리핀의 역사 16

1.3. 필리핀의 언어 17

1.4. 필리핀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사전 이해 18

2.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22

3. 문화 유형의 분류 24

3.1. Hall: 저맥락 대 고맥락 25

3.2. Hofstede: 5차원 문화유형 27

4.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30

5.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32

5.1.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지지 기능 32

5.2. 감정전달 33

5.3. 밀접성의 시사 33

III. 연구방법과 분석 35

1.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35

1.1. 시간 36

1.2. 신체언어 38

1.3. 공간 45

1.4. 신체특징 48

1.5. 유사언어 50

2. 연구 문제 51

3. 연구 방법 및 절차 52

4. 설문 결과의 처리 54

5. 설문 결과의 분석 55

5.1. 시간 55

5.2. 개인공간 58

5.3. 신체접촉 64

5.4. 시선접촉 69

IV. 결론 및 제언 70

1. 결론 70

2. 제언 78

참고문헌 80

Questionnaire 83

ABSTRACT 89

〈표 I-1〉 연도별 제주도내 외국인 주민 현황 8

〈표 II-1〉 저맥락과 고맥락 유형 26

〈표 II-2〉 저맥락과 고맥락의 국가분류 27

〈표 III-1〉 설문항목의 분류와 참고 및 인용출처 53

〈표 III-2〉 설문 중 시간부분 1-7항목, 다층적 시간(p), 단층적 시간(m) 성향 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유보), 4(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지 않다) 56

〈표 III-3〉 설문중 시간 부분 8-10항목, 상대방의 시간 약속 지키기에 대한 반응 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유보), 4(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지 않다) 57

〈표 III-4〉 설문 중 시간 부분 11-12항목, 자신의 시간 약속에 대한 원칙 1=매우 일찍(much earlier), 2=약간 일찍(a little earlier), 3=정시에(on time), 4=(약간 늦게(a little later), 5=매우 늦게(much later) 58

〈표 III-5〉 줄을 설 때의 선호 거리 59

〈표 III-6〉 줄을 설 때의 특정한 거리에서 편안함의 정도 P.M. OK. = 매우 괜찮다(pretty much okay), Just OK.=괜찮다(okay), Not OK= 괜찮지 않다(not okay). 60

〈표 III-7〉 직장 내에서 직원과의 거리 유지 61

〈표 III-8〉 길을 걸을 때의 유지거리 61

〈표 III-9〉 버스 안에 서있을 때 다름 사람과의 거리에 의한 불편함의 정도 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유보), 4(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지 않다) 62

〈표 III-10〉 길거리에서 낯선 사람이 길을 물을 때의 유지 거리에 대한 반응정도 P.M. OK. = 매우 괜찮다(pretty much okay), Just OK.=괜찮다(okay), Not OK= 괜찮지 않다(not okay). 63

〈표 III-11〉 오직 한 사람만이 더 앉을 수 있는 벤치에 앉으려고 할 것인가 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유보), 4(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지 않다) 63

〈표 III-12〉 신체접촉에 대한 보편적 성향, 접촉지향적 질문 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유보), 4(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지 않다) 65

〈표 III-13〉 신체접촉에 보편적 성향, 비접촉지향적 질문 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유보), 4(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지 않다) 67

〈표 III-14〉 신체접촉에 대한 보편적 성향 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유보), 4(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지 않다) 68

〈표 III-15〉 시선접촉 회피 경향 1(매우 그렇다), 2(그렇다), 3(유보), 4(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지 않다) 69

〈표 IV-1〉 시간에 대한 성향 70

〈표 IV-2〉 공간에 대한 성향 중 유지거리 72

〈표 IV-3〉 공간에 대한 성향 중 유지거리에 의한 괜찮음의 정도 72

〈표 IV-4〉 공간에 대한 성향 중 유지거리에 의한 불편함의 정도 72

〈표 IV-5〉 공간에 대한 성향 중 벤치 테스트 73

〈표 IV-6〉 신체접촉에 대한 성향 75

〈표 IV-7〉 시선접촉에 대한 성향 76

〈그림 II-1〉 Hofstede의 국가별 문화 차원 그래프 29

〈그림 III-1〉 Hall의 수치화된 거리를 그림으로 표시 53

식 1) 평균성향 54

식 2) 보편 성향 55

초록보기 더보기

Most people generally tend to consider communication behaviors as using a language that two or more parties involved in a conversation can use. However, communication is more than sending, receiving and understanding messages by spoken or written languages. When there are a sender and a recipient participating in a conversation , a message the sender intends to deliver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by the recipient due to several reasons despite the fact that the denotative message is not changed at all.

Futhermore, the message can be communicated nonverbally without any words being spoken or written. As earlier studies show, communication depends much more on nonverbal behaviors than verbal behaviors. Nonverbal behaviors depends on cultures as much as languages do. These are the reasons why we have to study nonverbal behaviors along with the cultures to which the nonverbal behaviors belong. If we don't do so, we are more likely not to fully understand what a message sender from a different culture or a different part of the world is trying to say whether it is verbal or nonverbal.

We live in Asia. In Asia, while there are many countries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being so oriental, there are other countries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a mixed category of being oriental and western. Most of these countries were once colonized by western countries. One of the countries is the Philippines that has the second most population among southeastern Asian immigrants in Korea. What is interesting about the Philippines is that it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people able to speak English of all the Asian countries and is the third largest English speaking country in the world. Being able to speak English can mean that Filipinos can easily get in contact with English speaking cultures.

Languages are correlated with cultures. We can fully understand communication behaviors of particular cultures through understanding their cultures. This thesis here attemp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established theories on Philippine nonverbal behaviors. The Philippines is an English speaking country and was once colonized by the United States longest. As a result, we might guess that Filipinos can show mixed behaviors of western cultures and oriental cultures. So, this thesis also checked the assump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several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Filipinos except gestures and below is the result of it.

Firstly, in chronemics, and proxemics, the survey shows that established theories on them are valid. However, In haptics, and eye-contact, it shows that previously studied theories are not completely valid. In the way Filipinos handle time, we can say they are polychronic people. However, The result of one of the asked items, chosen from the monochronic tendency table, shows that while they are polychronic, they could have the time-related behaviors of monochronic people. In sum, they are flexible handling time and polychronic but we cannot affirm they don't have monochronic attributes at all.

Secondly, in personal space, the distances they keep between people are shorter than the distances suggested by Hall. In other words, the distances Filipinos keep from strangers in social situations are overlapped with the distances that Hall thought people keep from personally related people. So,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ir personal space bubbles are smaller than Hall's personal bubbles or their personal space distances are shorter than the personal space distances suggested by Hall.

Thirdly, speaking of haptics, generally accepted theories about Philippine touching behaviors are not valid. However, they show those behaviors such as kissing, hugging not much seen between the same genders in most of asian cultures, but western cultures, which doesn't necessarily mean they are touch-oriented. That is because that touching behaviors can happen in many other ways.

Lastly, it is a generally known fact that Filipinos try to avoid direct eye-contacts. However,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it didn't turn out to be right. When I interviewed them, the fact was confirmed again that they don't try to avoid eye contacts.

In conclusion, in chronemics and proxemics, they are what they are believed to be, but in haptics and eye-contact, they are not. However, although they show the polychronic and touch-oriented tendencies , the numbers of Filipinos showing the opposite tendencies or holding an undecided stance are not too small to ignore. Although there is little doubt that cultural norms can influence nonverbal behaviors, we cannot simply say that they are from a specific culture, so they would act accordingl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