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요약
목차
I. 서론 9
II. 재료 및 방법 13
1. 재료의 채집 13
1.1. 형태관찰 재료 13
1.2. DNA 재료 13
2. 계절변화 및 형태관찰 14
3. DNA 분석 14
3.1. DNA 추출 14
3.2. 중합효소 연쇄반응 15
3.3. PCR 산물의 정제 16
3.4. 염기서열의 자동분석 16
3.5. 자료의 분석 16
3.5.1. 계통 분석 17
3.5.2. Haplotype 분석 17
III. 결과 23
1. 형태 변이 관찰 및 지역, 계절별 차이 23
2. Cox3와 trnW-I의 염기서열 정렬 24
3. 유전적 다양성 비교 24
3.1. Haplotype network 분석 24
3.2. 분포 지역에 따른 한국 haplotype의 다양성 25
3.3. 전 분포지역 haplotype의 다양성 26
IV. 토의 39
1. Sargassum muticum의 분포 39
2. Sargassum muticum의 종내 변이와 집단 구조 39
3. Sargassum muticum과 S. miyabei의 혼동 40
4. 다른 도입종과 Sargassum muticum의 유전적 다양성 비교 41
V. 참고문헌 43
ABSTRACT 49
Fig. 1. Habit of Sargassum muticum in Korea. 12
Fig. 2. Herbarium specimens of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Scaled bar = 10 ㎝ 27
Fig. 3. The seasonal average length of Korean population. 30
Fig. 4. Each letter indicates representative haplotypes of each population. The most... 33
Fig. 5. Each letter indicates representative haplotypes of each population. The most... 34
Fig. 6. The minimum spanning of combined cox3 and trnW-I haplotype. Sampling... 35
Fig. 7.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ombined cox3 and trnW-I haplotype in Korea... 36
Fig. 8.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ox3 and trnW-I combined haplotype in the... 3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