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목리를 응용한 옻칠함에 관한 연구 / 성 용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M 745.51 -12-1
형태사항
v, 10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1257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공예학과 목칠공예전공, 2012.2. 지도교수: 윤근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목적 9

2. 연구방법 및 범위 11

II. 목재의 분류에 따른 특성 13

1. 목재의 분류 13

1) 수종에 따른 분류 13

2) 주산지에 따른 분류 14

3) 비중에 따른 분류 14

4) 제재에 따른 분류 15

5) 재질에 따른 분류 15

6) 용도에 따른 분류 15

2. 목재의 구조 16

1) 수간의 구조 16

2) 목재의 세 단면 16

3) 연륜 17

4) 변재와 심재 18

5) 방사조직 18

3. 목재의 목리 및 문양 19

1) 목재의 목리 19

2) 목재의 문양 20

3) 목재의 재색 22

4. 함 제작에 활용되는 목재 23

1) 소나무 24

2) 향나무 24

3) 잣나무 25

4) 다릅나무 26

5) 호두나무 26

6) 굴참나무 27

7) 느티나무 27

8) 물푸레나무 28

9) 제브라 28

III. 옻칠의 이론적 근거 30

1. 한국 옻칠의 기원 30

2. 옻칠의 특성 33

3. 옻칠의 종류 35

1) 생칠 35

2) 정제칠 35

3) 채색칠 (彩漆) 36

4. 소지에 따른 옻칠의 종류 37

1) 목태옻칠(木胎漆) 37

2) 탈태 옻칠(협저태칠;夾苧胎漆, 건칠;乾漆) 39

3) 금태옻칠(金胎漆) 41

4) 남태옻칠(藍胎漆) 42

5) 지태옻칠(紙胎漆) 42

6) 피태옻칠(皮胎漆) 43

7) 도태옻칠(陶胎漆) 43

IV. 함(函)에 대한 이론적 고찰 45

1. 함의 성격과 정의 45

2. 함의 분류 46

1) 재료의 소지에 따른 함의 분류 46

2) 용도에 따른 함의 분류 53

3) 함의 장식기법 55

V. 작품 연구 59

1. 작품 구상의 배경 59

2. 작품설명 및 작품사진 61

1) [작품 1] 외출 (外出) 61

2) [작품 2] 일체 (一體) 67

3) [작품 3] 활개 (闊開) 73

4) [작품 4] 회상 (回想) 79

5) [작품 5] 시간 (時間) 85

6) [작품 6] 휴산 I (휴산 I) 91

7) [작품 7] 여 II (如 II) 99

VI. 결론 105

참고문헌 108

국문초록 111

ABSTRACT 113

〈그림 1〉 목재의 재색표(표1) 23

〈그림 2〉 나무 48

〈그림 3〉 토기 및 자기 49

〈그림 4〉 금속 51

〈그림 5〉 종이 52

〈그림 6〉 피혁 53

〈그림 7〉 나전함과 화각함 58

〈그림 8〉 목심채색 옻칠함 제작 과정 62

〈그림 9〉 목심목리 옻칠함 제작 과정 68

〈그림 10〉 목심도장 옻칠함 제작 과정 74

〈그림 11〉 나이테의 목리 팔각 탈태 옻칠함 제작 과정 80

〈그림 12〉 심·변재의 목리 타원 탈태 옻칠함 제작 과정 86

〈그림 13〉 잡목의 목리 자유곡선 탈태 옻칠함 제작 과정 92

〈그림 14〉 광방사조직의 목리 조형물 탈태 옻칠함 제작 과정 100

[작품사진 1] 외출 (外出) 63

[작품사진 2] 일체 (一體) 69

[작품사진 3] 활개 (闊開) 75

[작품사진 4] 회상 (回想) 81

[작품사진 5] 시간 (時間) 87

[작품사진 6] 휴산 I (休山 I) 95

[작품사진 7] 여 II (如 II) 101

초록보기 더보기

 인간은 자연물을 대상으로 하여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를 노동을 통해 자연에 실현해 내게 되는데, 이는 자연을 통한 미적 가치의 실현이자 새로운 문화의 창출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자연을 통한 인간의 가치 실현은 삶 속에서 요구되는 환경의 변화를 의미하고, 그러한 실현이 갖는 현실적 의미는 삶 속에서 요구되는 가치를 자연에 대한 변형을 통해 확보해 내는 것이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접하게 되는 일련의 대상들은 인간의 추구하는 미적 가치와 유용성을 순수한 자연과 노동력을 통해 현실에 반영해 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사물은 인간이 추구하는 미적 가치와 재료가 갖는 미적 가치의 조우로 인해 만들어진 것들로 이는 곧 우리의 삶 속에서 구체화되어 형성된 도구들인 것이다. 이러한 측면의 이면에는 재료를 통해 자기표현의 형상(形象)을 만들어 내는 공예의 본질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재료의 활용에 있어 전통공예가 옛 것을 모방하거나 간이(簡易)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풍토에 맞은 공예재료와 공예기술을 사용하여 실생활에서 요구되는 실용성과 조형성을 겸비한 창의적인 전통공예로 계승 발전시키는 것이라는 측면을 염두에 둘 때, 고래(古來)로부터 옻칠은 국가에서 관장한 재료인 동시에 유물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목칠 공예품으로 그 위상을 지녀 왔다. 그러나 옻칠은 일반적으로 다루기 힘든 도료로 취급되어 산업화와 더불어 자본의 논리에 따라 도외시되기도 했지만 환경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그 필요성에 대한 요구로 인해 옻칠의 효능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전통공예로서 그 위치를 찾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함류(函類)가 갖는 이점과 그 기능성을 토대로 하여 삶 공간에서의 기능과 조형미를 갖춘 옻칠함을 제작함에 있어 재료의 특성과 본래의 조형요소를 활용하여 연구하고자 했다. 작품 구성에 있어서는 공예적인 요소인 용(用)과 미(美)를 갖춘 함의 형태 제작을 위해 목재의 목리를 나타낸 목심옻칠함(木心漆函)과 자유로운 형태제작이 가능한 탈태옻칠함(脫胎漆函)을 지향하고자 했다.

적용된 재료 가운데 하나인 목재는 특유의 재료적 성질로 인해 조형적인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목재가 갖는 자연적인 느낌의 목리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하여 새로운 문양재료로 도출하고자 했다. 나무 조각을 장식 재료로 활용하여 작품을 통해 나타난 목리는 그 특징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또한 목심칠기에 옻칠을 사용한 전통칠기 제작기술과 장식기법을 접목하여 목리의 장식적 효과가 작품을 통해 구현된다.

옻칠을 장식재로 하여 나무의 보존과 나뭇결의 질감을 살린 함(函)은 주로 실내공간에서 사용되므로 사람이 자연과 직접 접하는 효과가 있고, 그런 점에서 옻칠의 효용성은 현대 주거 생활공간에서 가장 자연스럽고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적이고 윤택한 삶의 본질이 친자연적이며 건강한 생활의 공간 활용에 의해 가능하다는 측면을 감안했을 때, 작품에 장식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목리와 옻칠은 자연 재료 소재를 통한 응용영역의 확보와 융합을 통해 비로소 확보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통공예의 발전을 모색하고 옻칠공예의 조형적 기능성을 현대의 실내공간에서 자리매김 하기를 기대해 본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