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지역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박물관 활성화 전략 방안 연구 / 최석중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M 711 -12-109
형태사항
viii, 8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1407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공공디자인정책전공, 2012.2. 지도교수: 정규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목적 12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4

제1절 지역이미지와 공공디자인 14

제2절 브랜드 이미지 16

1) 브랜드 이미지의 개념 16

2) 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 17

3) 지역브랜드 이미지 19

제3장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지역브랜드 이미지 24

제1절 지역브랜드 이미지의 가치와 중요성 24

제2절 지역브랜드 이미지의 활용 사례 26

1) 국내 사례 26

2) 해외 사례 30

제4장 지역브랜드로서의 박물관 실태분석 36

제1절 박물관의 정의 및 기능적 변화 36

제2절 지역브랜드로 기능하는 박물관 현황분석 38

1) 일반 현황 38

2) 국내 박물관의 현황조사 40

3) 해외 박물관의 성공사례 55

제5장 지역박물관의 유형별 특성 및 활성화 전략 방안 63

제1절 지역박물관의 유형별 특성 및 평가 63

1) 지역박물관의 유형화 63

2) 지역박물관의 평가방법 67

3) 대상 박물관의 유형별 특성 69

제2절 지역박물관의 활성화 방안 71

1) 지역박물관의 활성화 요인 71

2) 역사문화형 박물관의 평가요소 및 활성화 방안 75

3) 지역테마형 박물관의 평가요소 및 활성화 방안 79

4) 환경생태형 박물관의 평가요소 및 활성화 방안 82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85

참고문헌 88

ABSTRACT 93

〈표 2-1〉 브랜드 이미지의 정의 17

〈표 2-2〉 브랜드 개성 구축에 있어서 공간 커뮤니케이션으로 획득되는 가치 19

〈표 3-1〉 지역브랜드 가치제고 사업에 의한 국내 지역 콘텐츠 현황 25

〈표 4-1〉 박물관 기본기능의 변화 37

〈표 4-2〉 전국 등록박물관 시설 총괄표(2010.12.31. 기준) 39

〈표 4-3〉 서울 역사박물관 개요 41

〈표 4-4〉 서울 올림픽 기념관 개요 42

〈표 4-5〉 광주 김치박물관 개요 43

〈표 4-6〉 화천 민속박물관 개요 44

〈표 4-7〉 목포 자연사박물관 개요 45

〈표 4-8〉 함평 엑스포 공원 개요 46

〈표 4-9〉 태백 석탄박물관 개요 47

〈표 4-10〉 청주 고인쇄박물관 개요 48

〈표 4-11〉 미륵사지 유물전시관 개요 49

〈표 4-12〉 부산 해양자연사박물관 개요 50

〈표 4-13〉 부산 시립박물관 개요 51

〈표 4-14〉 제주도 민속자연사박물관 개요 52

〈표 4-15〉 수원 화성박물관 개요 53

〈표 4-16〉 오죽헌 시립박물관 개요 54

〈표 4-17〉 장생포 고래박물관 개요 55

〈표 4-18〉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개요 56

〈표 4-19〉 스미스소니언 국립 항공우주 박물관 개요 57

〈표 4-20〉 오사카 역사박물관 개요 58

〈표 4-21〉 에도 도쿄 박물관 개요 59

〈표 4-22〉 기타큐슈 환경박물관 개요 61

〈표 4-23〉 페기 노트배트 자연박물관 개요 62

〈표 5-1〉 전시 주제에 의한 지역박물관의 유형적 분류 65

〈표 5-2〉 전국 지역박물관의 분포 65

〈표 5-3〉 자연박물관의 유형적 분류 및 특징 69

〈표 5-4〉 역사문화형 박물관의 요소 평가 76

〈표 5-5〉 지역테마형 박물관의 요소 평가 79

〈표 5-6〉 환경생태형 박물관의 요소 평가 82

〈그림 2-1〉 지역브랜드 이미지 창출의 개념 도식 23

〈그림 3-1〉 광화문 해치상(左), BI(中), 캐릭터(右) 27

〈그림 3-2〉 횡성 한우 BI(左)와 캐릭터(右) 28

〈그림 3-3〉 전주 한옥마을 29

〈그림 3-4〉 전북 임실에 위치한 치즈의 문(左)과 치즈마을 CI(右) 30

〈그림 3-5〉 리옹의 자전거 렌탈 시스템 Velo'v 31

〈그림 3-6〉 암펠만 신호등(左)과 캐릭터 상품들 32

〈그림 3-7〉 Tube 표지판(左)과 노선도(右) 33

〈그림 3-8〉 런던 지하철의 노선경로를 이용한 등물 캐릭터 34

〈그림 3-9〉 암석교회의 외관(左)과 내부(右) 35

〈그림 4-1〉 전국 등록박물관 현황 38

〈그림 4-2〉 전국 등록박물관의 증가 추이 40

〈그림 4-3〉 서울 역사박물관 41

〈그림 4-4〉 서울 올림픽 기념관 42

〈그림 4-5〉 광주 김치박물관 43

〈그림 4-6〉 화천 민속박물관 44

〈그림 4-7〉 목포 자연사박물관 45

〈그림 4-8〉 함평 엑스포 공원 46

〈그림 4-9〉 태백 석탄박물관 47

〈그림 4-10〉 청주 고인쇄박물관 48

〈그림 4-11〉 미륵사지 유물전시관 49

〈그림 4-12〉 부산 해양자연사박물관 50

〈그림 4-13〉 부산 시립박물관 51

〈그림 4-14〉 제주도 민속자연사박물관 52

〈그림 4-15〉 수원 화성박물관 53

〈그림 4-16〉 오죽헌 시립박물관 54

〈그림 4-17〉 장생포 고래박물관 55

〈그림 4-18〉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 56

〈그림 4-19〉 스미스소니언 국립 항공우주 박물관 58

〈그림 4-20〉 오사카 역사박물관(左)과 박물관에서 본 오사카성 전경(右) 59

〈그림 4-21〉 에도 도쿄 박물관 60

〈그림 4-22〉 기타큐슈 환경박물관 61

〈그림 4-23〉 페기 노트배트 자연박물관 62

〈그림 5-1〉 전국 지역박물관의 분포도 66

〈그림 5-2〉 자연박물관의 목표 70

〈그림 5-3〉 지역박물관의 활성화 요인 74

〈그림 5-4〉 역사문화형 박물관의 요소 평가 76

〈그림 5-5〉 역사문화형 박물관의 활성화 방안 78

〈그림 5-6〉 지역테마형 박물관의 요소 평가 80

〈그림 5-7〉 지역테마형 박물관의 활성화 방안 81

〈그림 5-8〉 환경생태형 박물관의 요소 평가 83

〈그림 5-9〉 환경생태형 박물관의 활성화 방안 84

초록보기 더보기

현대적인 의미의 박물관이라는 개념이 등장한 이래 박물관은 수집, 보존, 연구, 전시 등으로 대표되는 기본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교육, 체험 등의 개념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민을 포함한 외부 관광객들로 하여금 박물관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의 이미지 제고와 홍보를 유도하는 것이 박물관의 우선 기능으로 인식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문화기반시설 중 하나인 박물관의 증가율은 해마다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현재 일부 박물관의 상황은 유지관리 소홀 및 운영미숙으로 인한 인지도 미비, 재방문 결여 등을 초래하고 있으며, 그 결과 연 방문인원이 감소하거나 답보상태에 있는 경우가 허다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역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지역박물관의 기능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지역박물관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전국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박물관들 중 지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요소를 주제로 하는 지역박물관들을 조사하였다. 박물관의 유형을 전시 주제에 따라 역사문화형, 지역테마형, 환경생태형으로 분류하고, 각 박물관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박물관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전시주제, 교육·체험 프로그램, 전시기법, 대외홍보, 디자인 상품개발, 정부지원 및 연계활동으로 구분 하였으며, 이 6가지 요인들을 평가요소로 삼아 각 유형별 박물관을 평가하여 활성화에 미치는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중요 요소들을 기반으로 각 유형별 지역박물관이 지향해야할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역사문화형 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해 흥미로운 콘텐츠 개발 및 보강이 이루어져야 하고, 신기술·신소재를 활용한 전시기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테마형 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정체성 확립, 관련 디자인 상품개발, 전시소재 차별화, 정부지원 사업 참여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환경생태형 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문객과의 다양한 의사전달 통로 마련, 촉각을 통한 체험학습, 미래 생활환경의 가상체험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지역박물관의 궁극적인 목표가 방문자들로 하여금 역사·문화의식을 고취시키고, 지역 고유 문화유산을 보존하며, 자연환경과 생태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 것임을 인지하면서 지역박물관에 대한 보다 세부적이고 전문화된 분석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