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노년기 장애발생과 장애수준 변화의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 구본미 인기도
발행사항
춘천 :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D 361 -12-270
형태사항
13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2288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2012.2. 지도교수: 석재은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II. 이론적 배경 14

1. 장애의 개념과 장애발생과정 14

2. 노년기 장애 20

1) 노년기 장애과정과 변화에 대한 연구 21

2) 노년기 장애와 만성질환 30

3) 노년기 장애와 개인내적요인(우울과 건강행태) 32

4) 노년기 장애와 개인외적요인 37

5) 노년기 장애와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40

III. 연구방법 45

1. 연구모형 45

1) 장애수준과 영향요인 45

2) 장애발생, 장애수준변화와 영향요인 46

2. 분석방법 50

1) 로지스틱 분석모형(Logistic Regression Model) 50

2) 패널로짓모형(Panel Logit Model) 51

3) 회귀분석모형 52

3.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55

4. 변수구성 및 측정 57

1)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Activity of Daily Living Disability; ADL장애) 57

2)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Disability: IADL장애) 58

3) 병리(pathology) 58

4) 손상과 기능제한(Functional Impairment or Functional limitation) 59

5) 우울증(depression) 59

6) 건강행태관련변수 60

7) 사회적 지지 60

8) 통제변수 61

IV. 연구결과 64

1. 일반적인 특성 64

1) 인구·사회경제적 특성 64

2) 장애과정변수 68

3) 개인내적요인 72

4) 개인외적요인 76

2. 노년기 장애발생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78

1) 노년기 장애수준과 영향요인간의 관련성 79

2) 2006년 비장애노인들의 장애발생에 관한 연구 83

3) 2006년 장애를 갖고 있는 노인들의 장애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98

4) 노인들의 장애수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3

V. 논의 108

VI. 결론 116

1. 결과 요약 116

2. 연구의 함의 118

1) 이론적 함의 118

2) 실천적·정책적 함의 및 제언 119

3.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과제 125

참고문헌 128

Abstract 138

〈표 1〉 분석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 63

〈표 2〉 장애노인과 일반노인의 인구 · 사회경제적 특성 67

〈표 3〉 장애노인과 일반노인의 장애과정변수 I 69

〈표 4〉 장애과정변수들의 변화 70

〈표 5〉 인지능력별 장애지수 변화 70

〈표 6〉 우울과 건강행태 74

〈표 7〉 우울수준에 따른 장애수준변화 75

〈표 8〉 사회적 지지 77

〈표 9〉 장애수준과 영향요인과의 관련성 82

〈표 10〉 장애발생의 영향요인 패널분석 86

〈표 11〉 정상노인의 장애발생 87

〈표 12〉 정상노인의 변화 92

〈표 13〉 만성질환노인과 치매노인의 2008년 장애발생 93

〈표 14〉 장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7

〈표 15〉 2006년 장애노인의 2008년도 장애변화 99

〈표 16〉 장애수준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2

〈표 17〉 ADL장애지수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6

〈표 18〉 IADL장애지수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7

〈그림 1〉 WHO의 ICIDH 15

〈그림 2〉 WHO의 ICF 16

〈그림 3〉 Navi 장애과정모델 17

〈그림 4〉 Verbrugge & Jette 장애과정 모델 19

〈그림 5〉 연구모형 I 46

〈그림 6〉 연구모형 II 47

〈그림 7〉 장애변화 범주 48

〈그림 8〉 연구모형 III 49

〈그림 9〉 인지능력별 ADL장애변화 71

〈그림 10〉 인지능력별 IADL장애변화 71

〈그림 11〉 우울수준별 ADL장애변화 76

〈그림 12〉 우울수준별 IADL장애변화 76

〈그림 13〉 정상노인의 장애발생 88

〈그림 14〉 만성질환노인과 치매노인의 장애발생 94

〈그림 15〉 장애노인의 장애수준변화 100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and the transition of disability among Korean elderly people. Samples consist of 3,486 elderly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1st and 2nd wave of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As the results, It's first found that major risk factors for ADL/IADL disability incidence include injury, vision problem,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health behavio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age. Among the normal elderly, the odds ratio of having dementia symptoms at 2nd wave(2008) are 2.0 times greater for the elderly who have less cognitive function than the elderly who don't have at 1st wave(2006). Among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the odds ratio of having disability at 2nd wave are 1.8 times greater for the elderly who have depression than the elderly who don't have at 1st wave. Besides, smoking, regular exercise,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re found to b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disability incidence among nondisabled elderly.

Secondly, concerning the predictors affecting the disability transition among the disable elderly at wave 1, the likelihood of remaining at the same level or deteriorating the level of IADL disability, as compared with improving the level,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having less instrumental support or being older. It isn't however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ADL disability transition. Futhermore, there i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n the IADL disability trans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efer multilevel intervention in order not only to prevent the incidence of disability, but also to prolong the deterioration of disability in the elderly. Especially,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before the incidence of disability may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active and independent life of the elderl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