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4

1. 문제제기 4

2. 연구방법 7

II. 이론적 배경: 인종·민족·국가 개념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접근 9

제1절 디아스포라의 재정의와 분류 9

제2절 디아스포라 위치: 초국적 경험, 다중정체성 12

제3절 디아스포라 접근의 시사점 14

제4절 디아스포라 접근의 한계 15

III. 조선족 사회의 형성 및 정책 17

제1절 조선족 사회의 형성 17

제2절 조선족 정책 18

IV. 조선족 인구이동 특징과 영향 21

제1절 조선족 인구의 국내 이동 23

제2절 조선족 인구의 해외이동 25

제3절 조선족 인구 이동의 주요원인 26

제4절 조선족 인구 이동의 주요특징 28

1. 조선족 인구이동의 규모와 분포 특징 28

2. 조선족 이동 인구의 직업 특징 30

3. 조선족 인구 이동과 인구 구조특정 31

제5절 조선족 인구이동에 대한 영향 32

1. 문화적 변화 32

2. 경제적 변화 38

V. 조선족 정체성의 변화 40

제1절 정체성의 개념 및 민족정체성 40

제2절 민족정체성의 성격 41

제3절 조선족의 민족정체성 분석 43

1. 친밀도 44

2. 긍지감 46

3. 의식 및 생활양식 46

4. 연대성 47

제4절 조선족의 대(對) 중국, 한국 인식 48

제5절 중국의 정책노선 변화와 조선족 정체성의 변화 52

VI. 결론 56

참고문헌 59

Abstract 63

표목차

〈표 1〉 延邊朝鮮族人口負增長圖解 21

〈표 2〉 中華人民共和國統計人口普査公報 22

〈표 3〉 中華人民共和國統計人口普査公報 22

〈표 4〉 조선족 인구의 시·현별 분포 24

〈표 5〉 중국내 조선족 인구의 지역별 성장추세 (1953-1990) 24

〈표 6〉 연변지역 조선족 인구유동의 흐름 25

〈표 7〉 연변지역 조선족 인구유동의 원인 26

〈표 8〉 2006年延邊地區民族分布圖 29

〈표 9〉 1995-1998년 연변지역 조선족 학생 상황표 33

〈표 10〉 연변 지구 한족학교 조선족 학생 수 조사표(1997년 말) 35

〈표 11〉 대도시 조선족 아동들의 언어사용 37

〈표 12〉 친밀감 44

〈표 13〉 조선족 사이의 친밀감에 대한 연령별, 직업별, 교육별 반응 분포 46

〈표 14〉 긍지감 46

〈표 15〉 의식 및 생활양식 47

〈표 16〉 '중국'의 의식이나 생활양식에 가깝다는 도표화 47

〈표 17〉 연대성 47

〈표 18〉 출입국 및 취업과정의 대우에 대한 인식 50

〈표 19〉 조선족 이주자의 한국인에 대한 인식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