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포스트모더니즘을 통한 공공미술의 교수법 실천 방안 / 주윤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M 707 -12-174
형태사항
x, 11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2828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2012.2. 지도교수: 박훈성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II.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및 동향 18

1.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성 18

2. 포스트모더니즘의 동향 24

1) 미술에 있어서의 포스트모더니즘 24

2) 건축에 있어서의 포스트모더니즘 44

3) 음악에 있어서의 포스트모더니즘 48

4) 문화에 있어서의 포스트모더니즘 51

III. 미술교육 사조 56

1. 표현 기능 중심 미술교육 56

2.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57

3. 학문에 기초한 미술 교육(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58

4. 시각문화 미술교육 59

IV. 7차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된 포스트모던 미술 61

1. 제7차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2007~) 61

2.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 출판사별 구성 및 특징 65

3.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적용된 포스트모던 미술 73

1) (주)교학사 73

2) 교학연구사 75

3) 두산 동아 77

4) (주)미래 앤 컬쳐 그룹 78

5) 미진사 78

6) 일진사 80

7)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81

8) (주)지학사 82

9) 지학사 84

V. 포스트모던 미술교육 실행을 위한 실천방안 연구 89

1. 외국의 미술교육 현장 사례 90

1) 프랑스의 미술교육 특징 90

2) 핀란드의 미술교육 특징 92

3) 독일의 미술교육의 특징-발도르프 학교 94

2. 실제 수업 실현 안 예시 97

1) 2009 개정 교과서에 나타난 공공미술 99

2) 공공미술 수업 교수-학습 과정 안 100

VI. 결론 115

참고문헌 118

ABSTRACT 121

〈표 1〉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2

〈표 2〉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63

〈표 3〉 출판사별 교과서 구성 및 특징 65

〈표 4〉 (주)교학사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74

〈표 5〉 교학연구사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75

〈표 6〉 두산동아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77

〈표 7〉 (주)미래 앤 컬쳐 그룹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78

〈표 8〉 미진사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79

〈표 9〉 일진사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80

〈표 10〉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81

〈표 11〉 (주)지학사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83

〈표 12〉 지학사의 포스트모던 미술의 적용 단원 84

〈표 13〉 개정 교과서에 적용된 공공미술 단원 99

〈표 14〉 차시별 지도계획 101

〈표 15〉 1차시 교수학습 과정 안 102

〈표 16〉 학생작 예시 110

〈표 17〉 연구보고서 110

〈표 18〉 2차시 교수학습 과정 안 111

〈표 19〉 3차시 교수-학습 과정 안 113

〈표 20〉 학습 활동지(감상 비평문) 114

(그림 1) 안젤름 키퍼, 〈히스 3월〉 26

(그림 2) 안젤름 키퍼, 〈영리한 소녀들〉 26

(그림 3) 리차드 헤밀턴, 〈오늘날의 가정을 이토록 색다르고 멋지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29

(그림 4) 제스퍼 존스, 〈성조기〉, 1958 30

(그림 5) 제스퍼 존스, 〈과녁〉, 1958 30

(그림 6) 바바라 크루거, 〈당신의 육체가 곧 전쟁터다〉, 1987 32

(그림 7) 신디 셔먼, 〈무제, 영화스틸사진#27〉 32

(그림 8) 제노 홀져, 제논프로젝션, 베를린의 마테교회, 2001 33

(그림 9) 제니 홀져, 〈Project me from what I want 내가 원하는 것으로부터 날 좀 지켜 달라〉 33

(그림 10) 주디 시카고, 〈저녁만찬(Dinner Party)〉 34

(그림 11) 뒤샹, 〈L.H.O.O.Q〉, 1919 36

(그림 12) 뒤샹, 〈샘〉 36

(그림 13) 리처드 프린스, 〈무제(카우보이)〉, 1989 37

(그림 14) 로버트 스미드슨, 〈나선형 방파제〉 39

(그림 15) 마이클 하이져, 〈더블 네거티브〉 39

(그림 16) 크리스토 ,〈달리는 울타리〉 40

(그림 17) 월터 드 마리아〈번개 들판〉 40

(그림 18) 요셉 보이스, 「죽은 토끼에게 어떻게 그림을 설명할 것인가?」 42

(그림 19) 요셉 보이스, 「코요테, 나는 미국을 좋아하고 미국은 나를 좋아한다.」 42

(그림 20) 백남준, 〈피아노포르테를 위한 습작〉 44

(그림 21) 빛에 대한 수업 프로그램 중 베르베르 작품 예시 90

(그림 22) 빛에 대한 수업 프로그램 90

(그림 23) 디자인박물관 프로그램 수업 93

(그림 24) 플라스틱 프로그램 수업 93

(그림 25-1) 전시동영상 중에서 106

(그림 25-2) 전시 동영상 중에서 106

(그림 26-1) 용산구청 앞 카페 사진 106

(그림 26-2) 이태원프로젝트 1 106

(그림 27-1) 이태원 공원 현재모습 106

(그림 27-2) 이태원프로젝트 2 106

(그림 28-1) 이슬람 중앙성원 앞 거리 107

(그림 28-2) 이태원프로젝트 3 107

(그림 29-1) 멕시칸 레스토랑 내부 107

(그림 29-2) 이태원프로젝트 4 107

(그림 30-1) 청계천 복원 전 107

(그림 30-2) 청계천 복원 후 107

(그림 31-1) 3호선 지하철역 사진 108

(그림 31-2) 3호선 옥수역 앞 사진 108

(그림 31-3) 미술관 옥수역 108

(그림 31-4) 공간 재단 108

(그림 31-5) 지하철 5호선 월드컵 기념으로 설치 108

(그림 32-1) 통일감과 변화를 생각하며 꾸민 교실 출입문 109

(그림 32-2) 꽃을 그려 넣어 아름답게 장식한 교실 109

(그림 33-1) 초등학교 담장의 변화 109

(그림 33-2) 담장의 확대 사진 1 109

(그림 33-3) 담장의 확대사진 2 109

(그림 34) 이태원 거리 110

(그림 35) 구름 문 카푸어(Kapoor, Anish/1954~/인도→영국) 114

초록보기 더보기

오늘날 우리는 급변하는 사회와 변화의 흐름 속에 살고 있다. 현대는 문화예술이 중심이 되어 주도하는 시대가 되었고 대중 매체·영상문화에 익숙한 청소년들은 TV, 영상매체, 시각이미지들을 여과 없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포스트 모던시대, 시각예술 시대, 디지털 시대에서 시각 이미지는 우리 일상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시각 언어가 되었다. 21세기는 세계화 다원화 시대이고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미술교육도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하지만 미술교과는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 편성으로 인해 수업시수가 점점 줄어들고 주변교과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시각적 언어가 될 수 있는 미술교과의 중요성을 알고 교육현장의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 청소년들이 무분별하게 무비판적으로 주변의 다양한 이미지들을 받아들이지 않게 시각 이미지를 이해하고 비판하는 능력을 키워줘야 할 때이다. 미술교과야 말로 시각교육을 할 수 있는 최적의 교과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미술교육에 있어서 포스트모던 시대에 소통의 도구로서 시각적 언어가 될 수 있는 미술교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실에 맞는 미술교육에 대해 그 실천 방안을 탐구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먼저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교육의 이론적 전개를 통해 그 개념과 특성, 포스트모더니즘의 동향, 미술교육 사조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7차 개정 미술교과서에 적용된 포스트모던 미술의 내용과 특징을 알아보고 수업내용과 방법의 변화 필요성을 정당화한다. 나아가 이미지 독해력 교육의 중요성, 미술교사뿐 아니라 학교와 정부지원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외국의 성공적 미술교육 사례를 통해 아직도 모더니즘 체제 안에서의 표현중심 미술교육을 하고 있는 우리의 학교현장을 비판하고 학교 밖에서 미술을 만날 수 있는 교육을 위해 공공미술 수업을 활용한 실제 수업 실현 안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해 미술교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청소년들이 이미지 독해 능력·비평적 사고력의 신장, 생산하는 능력뿐 아니라 새로운 미의식과 사회와의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고 나아가 미래의 훌륭한 소비자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미술교육이 통합적 교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교과로 인정받기를 희망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