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0. 서론 13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4
1.1.1. 도시의 장소적 정체성 부각 14
1.1.2. 정보미디어와의 결합을 통한 도시환경의 변화 15
1.1.3. 도시 공간의 장소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새로운 공간적 접근 방식의 필요성 15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6
1.3. 연구 흐름도 18
1.4. 용어의 정의 19
1.4.1. 정보플랫폼 (Information-Platform) 19
1.4.2. 집단적 미디어 (Massive Media) 19
1.4.3. 사회적 미디어 (Social Media) 19
2.0. 미디어에 의한도시공간의 정보플랫폼화 20
2.1. 미디어의 진화와 확장 21
2.1.1. 미디어의 개념 및 특성 21
2.1.2. 미디어의 발전과 확산 27
2.2. 정보와 도시 공간 30
2.2.1. 정보의 사회성 30
2.2.2. 공간과 미디어의 융합현상 35
2.3. 정보플랫폼으로서의 도시 공간 41
2.3.1. 정보와 도시구조 41
2.3.2. 플랫폼의 개념적 정의 43
2.3.3. 정보플랫폼 도시 공간의 개념 및 역할 44
2.4. 소결 46
3.0. 정보플랫폼화에 의한도시공간의 장소적 특성 48
3.1. 현대 도시 공간의 장소상실에 관한 논의 49
3.2. 도시 공간의 장소적 의미 변화 51
3.2.1. 장소의 개념적 정의 51
3.2.2. 장소성 형성 요소 분석 53
3.2.3. 기존 장소성 형성 요소의 한계 60
3.3. 정보플랫폼 도시 공간의 장소적 특성 도출 61
3.3.1. 물리적 영역 : 초시공간성 (Hyper spacio-temporality) 61
3.3.2. 활동적 영역 : 모빌리티 (Mobility) 66
3.3.3. 의미적 영역 : 다의성 (Polysemy) 71
3.4. 소결 76
4.0. 정보플랫폼 도시 공간의장소적 특성 사례 분석 78
4.1. 사례 연구 79
4.1.1. 계획의 목표 79
4.1.2. 대상의 선정 및 분석틀 제시 79
4.1.3. 사례 분석 83
4.2. 종합 분석 및 소결 98
5.0. 결론 및 제언 101
5.1. 연구의 결론 102
5.2. 제언 104
참고문헌 106
ABSTRACT 110
〈그림 1.1〉 연구 흐름도 18
〈그림 2.1〉 라파엘리가 제시한 상호작용의 세 가지 환경 24
〈그림 2.2〉 사용자 경험의 구성 요소 26
〈그림 2.3〉 Housingmaps 27
〈그림 2.4〉 다음 아고라 서비스 31
〈그림 2.5〉 촛불 집회 31
〈그림 2.6〉 Flickr 서비스 메인 화면 31
〈그림 2.7〉 Flickr 서비스 검색 화면 31
〈그림 2.8〉 소셜미디어의 특성 33
〈그림 2.9〉 Facebook 33
〈그림 2.10〉 Twitter 33
〈그림 2.11〉 Aperture 35
〈그림 2.12〉 증강현실 서비스 38
〈그림 2.13〉 QR코드를 활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38
〈그림 2.14〉 도시 공간과 건축의 상호작용 41
〈그림 2.15〉 인과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사회, 도시 42
〈그림 2.16〉 정보플랫폼 도시 공간의 역할 44
〈그림 2.17〉 정보플랫폼 도시 공간의 형성 과정 종합 정리 46
〈그림 3.1〉 도시 공간에 산재되어있는 장소성 50
〈그림 3.2〉 장소의 개념적 접근 52
〈그림 3.3〉 공간과 장소의 차이점 52
〈그림 3.4〉 메이가 제시한 장소의 네 가지 개념 53
〈그림 3.5〉 랠프의 장소성 형성 요소 54
〈그림 3.6〉 루커만의 장소성 형성 요소 54
〈그림 3.7〉 장소이론의 장소성 형성 요소 및 구조 56
〈그림 3.8〉 과거와 현재의 물리적 요소 변화 57
〈그림 3.9〉 과거와 현재의 활동적 요소 변화 58
〈그림 3.10〉 과거와 현재의 의미적 요소 변화 59
〈그림 3.11〉 장소성 형성 요소별 대안 및 키워드 도출 60
〈그림 3.12〉 정보플랫폼화에 의한 장소성 형성 요소의 변화 60
〈그림 3.13〉 정보, 시간, 공간의 혼성 62
〈그림 3.14〉 증강현실 서비스 1 62
〈그림 3.15〉 증강현실 서비스 2 62
〈그림 3.16〉 Cluster 64
〈그림 3.17〉 Ouroboros 64
〈그림 3.18〉 Target Breezeway 65
〈그림 3.19〉 Dunne 4.0 65
〈그림 3.20〉 Chelsea Art Museum 67
〈그림 3.21〉 Interactive Wall 68
〈그림 3.22〉 Nosy Installation 68
〈그림 3.23〉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70
〈그림 3.24〉 Author Wall 70
〈그림 3.25〉 REMOTEHOME 72
〈그림 3.26〉 NEC Ecotonoha 73
〈그림 3.27〉 D Tower 74
〈그림 3.28〉 Sky-ear 74
〈그림 3.29〉 Manhattan Story 75
〈그림 3.30〉 정보플랫폼 도시 공간의 장소성 형성 요소별 특성 정리 76
〈그림 4.1〉 장소성 형성 요소를 통한 사례 선정의 기준 제시: 물리적 구축 환경 중심 사례, 활동 중심 사례, 의미화 중심 사례 80
〈그림 5.1〉 미디어와 장소성의 관계 104
미디어 기술의 진화와 확산은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영역을 확장함은 물론 개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새로운 유형의 커뮤니티 구성원으로서의 사회적 소속감을 증진시키는 촉매로 작용했다. 더욱이 3차원 공간과 2차원 미디어의 완벽한 융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도시의 장소적 의미 역시 도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정보를 집적, 매개하는 정보플랫폼으로서의 도시공간으로 변화 및 확장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대 도시공간과 미디어의 결합현상과 함께 제기되는 논의 중 하나가 공간의 '장소성 상실'에 관한 문제이다. 미디어의 진화가 거듭될수록 실재 물리공간의 장소적 의미와 주체성은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장소성 상실의 핵심 개념이다. 하지만 장소성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진화해온 공간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서부터 그 의미를 잡아야 함을 잊지 않아야 한다. 미디어가 공간에 그리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던 시대의 장소와 미디어가 공간에 도입된 이후의 장소는 분명 다른 관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 장소성의 특성이 오늘날의 공간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며, 정보플랫폼으로서의 도시공간에 의해 장소성이 어떻게 변화 및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여 기존의 장소적 의미를 수용하면서도 정보미디어 환경 안에서의 공간 패러다임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장소적 특성을 확립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장소 이론의 장소성 형성 요소인 물리적, 활동적, 의미적 요소의 한계를 분석하고, 도시공간의 정보플랫폼화에 의해 변화된 초시공간성(Hyper spacio-temporality), 모빌리티(Mobility), 다의성(Polysemy)의 세 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키워드가 지니고 있는 장소적 특성을 추출한 다음, 정보플랫폼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도시공간의 사례 분석을 통해 장소적 특성이 구현되는 정도와 방향을 정리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정보플랫폼화에 의한 현대 도시공간의 장소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미디어는 인간의 생활영역 전반과 가치관을 형성 하는 사회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공간과의 융합현상을 통해 도시가 가진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매개하는 정보플랫폼으로서의 공간을 구현하고 있다.
둘째, 선행된 장소성의 물리적, 활동적, 의미적 요소는 미디어와 결합된 공간 패러다임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장소적 의미를 요구하게 되었다. 정보플랫폼 도시공간의 장소성은 혼성성과 확장성, 위치성을 가지는 '초시공간성', 능동성과 상호작용성, 동시성의 성향을 지니는 '모빌리티',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의미 그리고 각각의 의미들이 산재되어있는 '다의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 세 요소는 기존의 전통적 장소성을 수용하면서도 앞으로의 도시공간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장소적 특성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셋째, 사례 연구를 분석한 결과, 도시가 가진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의미를 함께 표현하는 장소의 다의성은 초시공간성과 모빌리티의 표현 정도에 비해 비교적 약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현대 도시공간의 장소성이 가시성에 치중되어 표현되는 데에 그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시는 장소의 물리적 환경과 인간 행위 뿐 아니라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이루어진 공적, 사적 공간의 다의적 가치와 함께 고려되어야만 진정한 의미화 작용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원의 의미화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한 도시 장소성 표현의 새로운 공간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와 정보 그리고 인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플랫폼으로서의 도시 공간이 가진 새로운 장소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도시 공간의 정체성을 수립하는데 있어 보다 창의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