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高麗 石塔 硏究 / 홍대한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D 900 -12-31
형태사항
xi, 364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3826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고고미술사전공, 2012.2. 지도교수: 박경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序論 15

1. 硏究目的 15

2. 硏究史 檢討 17

2.1. 高句麗系 石塔 18

2.2. 百濟系 石塔 20

2.3. 新羅系 및 高麗式 石塔 23

2.4. 特殊樣式 石塔 25

2.5. 造塔信仰과 建立背景 31

3. 硏究方法 35

II. 高麗時代 造塔信仰 37

1. 造塔信仰의 導入과 石塔建立 37

1.1. 『造塔功德經』과 功德信仰 37

1.2. 統一新羅 佛塔建立과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역할 40

2. 『寶篋印陀羅尼經』의 傳來와 造塔觀의 變化 50

3. 石塔 建立에 反影된 裨補風水 64

3.1. 造塔 要素로서 道詵의 風水地理說과 裨補思想 64

3.2. 圖讖信仰과 裨補寺塔說 73

3.3. 高麗時代 裨補寺塔 建立 82

III. 建立目的과 營造集團 分析 101

1. 建立目的 101

1.1. 石塔 造成記錄 分析 102

1.2. 石塔 造成記를 통한 建立目的 分析 146

2. 後援勢力 151

2.1. 香徒 154

2.2. 僧侶 157

2.3. 地方勢力 158

2.4. 佛弟子 159

2.5. 王室發願 160

2.6. 附元勢力 161

3. 造塔工匠의 役割과 運營 166

3.1. 高麗時代 工匠 運營 167

3.2. 造塔 工匠의 性格과 役割 187

IV. 類型分析과 建立時期 196

1. 類型 196

1.1. 繼承樣式 204

1.2. 高麗樣式 240

2. 建立時期 檢討 278

2.1. 時代區分의 考慮 事項 278

V. 特徵과 意義 299

1. 構造 特徵 299

1.1. 積層式 塔身 構成 299

1.2. 탑신받침의 성격과 분류 303

1.3. 塔前 供養像의 擴散 308

2. 樣式 特性 323

2.1. 基壇部 323

2.2. 初層 塔身의 變化 331

2.3. 屋蓋石의 特徵 333

2.4. 莊嚴彫飾의 特徵 334

2.5. 겹 隅柱의 특징 339

3. 分布 特徵 341

VI. 結論 344

참고문헌 348

부록 365

1. 고려 석탑의 사리장엄 현황 366

2. 고려 석탑 지정문화재 목록 369

Abstract 376

표1: 특수양식 석탑의 유형 26

표2: 『무구정경』을 소의경전으로 건립된 8세기 신라석탑 33

표3: 『無垢淨經』의 6종 陀羅尼 性格 41

표4: 소형탑이 출토된 고려시대 석탑 목록 46

표5: 현존 『寶篋印陀羅尼經』 현황 50

표6: 太祖代 개경 인근 창건사찰 79

표7: 광종~예종 시기 개경 인근 창건사찰 83

표8: 고려시대 석탑조성기 목록 101

표9: 삼국~통일신라, 고려 전·후기 금석문의 향도기록 103

표10: 形止記 구성 132

표11: 조성기록을 남긴 석탑의 시기별 건립 목적-국태민안의 성격 146

표12: 고려 명문석탑 건립의 후원세력 153

표13: 신라말~고려 초 石造物 工匠의 名稱 用例 188

표14: 고려시대 석탑공장 기록 191

표15: 고려시대 國工이 참여한 부도 건립 194

표16: 고려석탑의 유형분류 사례 196

표17: 리창언의 고려 석탑 유형 분류 202

표18: 고려 석탑 유형분류 203

표19: 고구려계 석탑의 세부 특징 225

표20: 백제계 석탑의 특징 226

표21: 백제계 석탑의 유형과 제작시기 228

표22: 백제계 석탑의 세부 유형과 특징 229

표23: 고려식 석탑의 시기별 특징 241

표24: 국내 사자석탑의 유형 253

표25: 고려시대 사자석탑의 형식 254

표26: 고려시대 사자석탑 255

표27: 高麗時代 靑石製 塔碑 258

표28: 청석탑 제작 기록 259

표29: 고려 청석탑의 유형 260

표30: 고려시대 청석탑 목록 262

표31: 고려 역대국왕의 경천사 방문기록 266

표32: 고려석탑 1기양식의 편년 281

표33: 통일신라 석탑의 비례 283

표34: 고려 석탑 기단과 초층탑신의 비례 284

표35: 고려석탑 2기양식의 편년 291

표36: 고려석탑 3기양식의 편년 295

표37: 고려석탑 4기양식의 편년 298

표38: 적층방식 석탑의 조성 사례 300

표39: 고려시대 석탑 별석형 탑신받침 형식 305

표40: 고려시대 석탑의 탑신 받침형식 306

표41: 고려석탑의 탑신 받침 형식분류 308

표42: 고려 석탑의 기단 유형 326

표43: 고려시대 석탑의 장엄조식 현황 337

도판1: 황복사 삼층석탑 40

도판2: 황복사 삼층석탑 출토 사리기 40

도판3: 불일사지 오층석탑 49

도판4: 불일사지 오층석탑 출토 소탑 49

도판5: 고려 穆宗 10년(1007) 간행 『寶篋印陀羅尼經』 51

도판6: 뇌봉탑 출토 금속제 보협인탑 59

도판7: 뇌봉탑 출토 금속제 보협인탑 실측도 59

도판8: 南安石塔(宋代) 61

도판9: 仙游 天中万壽塔 61

도판10: 鼓山 涌泉寺石塔 61

도판11: 정도사지 오층석탑 상륜부 61

도판12: 청양 삼층석탑 상륜부 61

도판13: 泉州 開元寺 柳三娘塔 구조도 62

도판14: 대평리사지 출토 보협인석탑 62

도판15: 福岡 誓願寺 阿育王塔의 屋蓋部 龍文 63

도판16: 상원사 영산전 석탑 기단부 龍文 63

도판17: 경주 용장사지 삼층석탑 90

도판18: 경주 오야리 모전석탑 90

도판19: 안양사지 전경 97

도판20: 안양사지 7층전탑 벽돌 유구 97

도판21: 湖南 鳳凰古城 7층전탑 98

도판22: 湖南 鳳凰古城 7층전탑 위치도 98

도판23: 신륵사 다층전탑 99

도판24: 신륵사 다층전탑 초화문 벽돌 세부 99

도판25: 안성 미륵당 5층석탑(매산리석탑) 105

도판26: 永泰二年銘塔誌 106

도판27: 永泰二年銘塔誌 및 사리기 106

도판28: 개심사지 오층석탑 109

도판29: 개심사지 오층석탑 기단부 부조상 109

도판30: 統和 23년(1005)명 탑지석 115

도판31: 正德 3년(1508)명 탑지석 115

도판32: 고흥 상림리 삼층석탑 117

도판33: 고흥 상림리 삼층석탑 기단 면석 명문탑본 117

도판34: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120

도판35: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기단부 120

도판36: 보현사 구층석탑 121

도판37: 보현사 구층석탑 상층기단 중석 121

도판38: 芝峴里 三層石塔 124

도판39: 초층 탑신 명문 124

도판40: 성풍사지 오층석탑 127

도판41: 성풍사지 오층석탑 기단부 127

도판42: 정도사지 오층석탑 129

도판43: 정도사지 오층석탑 기단 면석 조성기 129

도판44: 淨兜寺址 五層石塔 造成形止記 132

도판45: 흥국사 석탑 134

도판46: 흥국사 석탑 조성기 134

도판47: 사자빈신사지 사사자삼층석탑 135

도판48: 사자빈신사지 사사자삼층석탑 조성기 135

도판49: 神光寺 五層石塔 141

도판50: 석굴암 삼층석탑 205

도판51: 도피안사 삼층석탑 205

도판52: 천관사 석탑재 205

도판53: 정릉사지 팔각 목탑지 205

도판54: 토성리사지 목탑지 세부도 205

도판55: 상오리사지 팔각 목탑지 205

도판56: 청암리사지 팔각목탑지 남쪽 기단부 205

도판57: 경주 나정 팔각건물지 206

도판58: 망덕사지 목탑지 초석 206

도판59: 감산사 석조보살입상 209

도판60: 석굴암 전실 입구 팔각기둥 209

도판61: 쌍영총 팔각기둥 210

도판62: 안악3호분 팔각석주 210

도판63: 무용총 팔각천장 210

도판64: 영묘사지 서탑지 평면 모식도 211

도판65: 영묘사지 동탑지 기초부 211

도판66: 崇妙保聖搰堅牢塔 -五代閩永隆三年(941) 213

도판67: 仙游 九座寺塔(宋) 213

도판68: 福淸 五龍塔(宋·元) 213

도판69: 栗里寺址 八角五層石塔 215

도판70: 永明寺 八角五層石塔 215

도판71: 廣法寺 八角五層石塔 215

도판72: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화문장식 풍경공 216

도판73: 성주 동방사지 칠층석탑 화문장식 풍경공 216

도판74: 弘福寺 六角七層石塔 217

도판75: 元廣寺址 六角七層石塔 217

도판76: 慈惠寺 六角石燈 220

도판77: 正陽寺 六角石燈 220

도판78: 군산 발산리 六角浮屠 220

도판79: 金山寺 六角多層石塔 220

도판80: 월정사 팔각9층석탑 221

도판81: 월정사 팔각9층석탑 기단과 탑신 221

도판82: 월정사 팔각9층석탑 상륜부 221

도판83: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지하유구(남쪽) 222

도판84: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지하유구(서쪽) 222

도판85: 보현사 팔각13층석탑 224

도판86: 보현사 팔각13층석탑 정면도 224

도판87: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224

도판88: 백제계 석탑 분포현황 227

도판89: 비인 오층석탑 기단부 230

도판90: 청량사지 오층석탑 기단부 230

도판91: 장하리 삼층석탑 기단부 230

도판92: 은선리 삼층석탑 기단부 231

도판93: 귀신사 삼층석탑 기단부 231

도판94: 탑동 삼층석탑 기단부 231

도판95: 장하리 삼층석탑 기단부 상면 231

도판96: 장하리 삼층석탑 기단부 상면 석재결구 홈 231

도판97: 천흥사지 오층석탑 235

도판98: 천흥사지 오층석탑 235

도판99: 천흥사지 오층석탑 235

도판100: 춘궁동 삼층석탑 기단 236

도판101: 춘궁동 오층석탑 기단 236

도판102: 보천사지 삼층석탑 238

도판103: 보천사지 삼층석탑 탑신부 238

도판104: 보천사지 삼층석탑 갑석 및 탑신받침 238

도판105: 보원사지 오층석탑 239

도판106: 보원사지 오층석탑 기단부 239

도판105: 현화사 칠층석탑 243

도판106: 현화사 칠층석탑 초층탑신 부조상 243

도판107: 불국사 석축기단 244

도판108: 현화사 칠층석탑 기단 244

도판109: 홍제동 오층석탑 246

도판110: 홍제동 오층석탑 탑신과 별석 받침 246

도판111: 신복사 삼층석탑 기단부 귀꽃 248

도판112: 해평동 석조여래좌상 248

도판113: 흥국사 삼층석탑 기단부 안상 248

도판114: 신복사 삼층석탑 정면도 249

도판115: 낙산사 칠층석탑 정면도 249

도판116: 미륵리사지 오층석탑 250

도판117: 봉업사지 오층석탑 250

도판118: 보현사 구층석탑 250

도판119: 지보사 삼층석탑 하층 기단부 252

도판120: 보원사지 오층석탑 하층 기단부 252

도판121: 한반도의 지질구조도 (옥천변성대의 지질구조) 257

도판122: 청석탑 분포도 257

도판126: 公州 水源寺塔址 출토 靑石小塔 259

도판123: 북경 묘응사 백탑 268

도판124: 경천사 십층석탑 기단부 268

도판125: 中國 北京 妙應寺 白塔 기단 268

도판126: 경천사지 십층석탑 기단 268

도판127: 마곡사 오층석탑 기단 268

도판128: 경천사 십층석탑 탑신 도상 269

도판129: 목구조식 표현(용마루) 269

도판130: 경천사 십층석탑 3층 옥개석 270

도판131: 원각사지 십층석탑 10층 옥개석 270

도판132: 고려불화에 보이는 박공면 앞에 각이 꺽인 지붕 270

도판133: 수종사탑 박공 상륜부 270

도판134: 1920년대 마곡사(朝鮮古蹟圖譜) 272

도판135: 마곡사 오층석탑 청동제 상륜부 272

도판136: 기단 서측 입면 273

도판137: 상대중석 평면 273

도판138: 하대중석 평면 273

도판139: 마곡사 오층석탑 탑신석 사방불) 274

도판140: 마곡사 오층석탑 노반석 평면 274

도판141: 마곡사 오층석탑 노반석 입면 274

도판142: 中國 北京 妙應寺 白塔 275

도판143: 麻谷寺 오층석탑 상륜부 275

도판144: 麻谷寺 오층석탑 상륜부 275

도판145: 청동라마탑 평면 276

도판146: 청동라마탑 기단 문양 276

도판147: 청동라마탑 탑신 장식 276

도판148: 마곡사 은입사향완 276

도판149: 咸平宮主銘 은입사향완 276

도판150: 통도사 성보박물관 청동은입사향완 276

도판151: 곽영대소장 청동은입사향완 (1346년) 276

도판152: 금골산 오층석탑 296

도판153: 제주 불탑사 오층석탑 296

도판154: 안성 죽림리 삼층석탑 299

도판155: 칠장사 삼층석탑 299

도판156: 봉업사지 오층석탑 299

도판157: 조탑동 오층전탑 301

도판158: 선산죽장동 오층석탑 301

도판159: 선산 낙산동 삼층석탑 301

도판160: 함안 장춘사 오층석탑 301

도판161: 公林寺 오층석탑 302

도판162: 부인사 석등 302

도판163: 서안 박태후 탑 304

도판164: 산서성 불궁사 석가탑 304

도판165: 실상사 백장암 석탑 304

도판166: 신복사지 삼층석탑 309

도판167: 신복사지 삼층석탑 공양상 309

도판179: 개태사지 공양상(조선고적도보) 314

도판180: 현 개태사지 공양상 314

도판168: 금장암지 사사자석탑 317

도판169: 금장암지 사사자석탑 앞 공양상 317

도판170: 대흥사 북미륵암동삼층석탑 327

도판171: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327

도판172: 법계사 삼층석탑 327

도판173: 봉정암 삼층석탑 328

도판174: 대산사 삼층석탑 328

도판175: 남하리 삼층석탑 328

도판176: 신륵사 동대 다층전탑 329

도판177: 안동 막곡동 삼층석탑 329

도판178: 여주 계신리 마애불 329

도판179: 경주 백률사 마애탑 329

도판180: 하동 금오산 마애탑과 마애불 329

도판181: 옥천 용암사 삼층석탑 330

도판182: 청량사지 5, 7층석탑(남매탑) 330

도판180: 실상사 백장암 석탑 331

도판181: 山西省 應縣木塔(1056) 331

도판182: 山西省 天寧寺 凌霄塔(宋) 331

도판183: 자혜사 오층석탑 기단안상 337

도판184: 정도사지 오층석탑 기단 안상 337

도판185: 강서사 칠층석탑 기단 안상 337

도판186: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 기단 겹우주 340

도판187: 양산 통도사 극락보전 기단 겹우주 340

도판188: 9세기 후기 석탑분포도 343

도판189: 고려석탑 분포도 343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고려 석탑이 지니는 불교 조형미술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고려 석탑의 건립 배경에는 당대의 정치 환경으로부터 기인한 시대적 상황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고려 석탑이 통일신라 못지않게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조영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新 王朝 건국의 역량과 발전된 종교, 사상적 토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고려는 통일신라가 존속하는 가운데 후삼국시대라는 혼란기를 거쳐 건국되었는데 역사적으로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단계로, 불교의 대중화・유학에 기반 한 통치제도 도입・風水地理와 裨補寺塔之說 및 재래 신앙이 융합되는 복합 사상의 시대로 규정지을 수 있다.

고려 석탑에 대한 그간의 평가는 후삼국의 삼국회귀 정서와 연결 지어 지방양식의 대두와 통일신라석탑 양식의 쇠퇴라는 단편적인 평가에 머물러 왔다. 그러나 이 시기에 건립된 석탑을 검토해 본 결과 이러한 견해는 고려 석탑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기에 나타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필자는 2010년 12월 현재 국보・보물・도 유형문화재와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석탑 중 후삼국과 고려시대에 건립으로 추정되는 293기와 북한 소재 석탑 중 도록을 통해 세부양식 파악이 가능한 25기 등 총 318기를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립사례는 물론 양식적으로 통일신라 석탑 못지않은 조형미를 창출해낸 시기였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고려 석탑은 단순히'못 생겼다'는 통념 – 통일신라석탑의 양식적 퇴조 - 과는 달리 사상의 다원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양식의 창출과 발전이 이룩된 시기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방체제가 정비되고 고려 통치제도의 특징인 귀족사회가 성립되는 10세기 말을 기점으로 鄭仲夫의 亂이 발생하는 12세기 후반까지 다수의 석탑이 건립되는데, 통일신라 석탑과 구분되는 고려 석탑양식의 완성기간이라고 규정지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造塔經典으로서 󰡔무구정경󰡕과 󰡔보협인다라니경󰡕 그리고 風水地理와 裨補思想이 고려시대 석탑건립의 원동력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풍수지리는 선종과 함께 호족세력과 결부되어 사회 전환의 추진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데, 고려 석탑의 전국적인 확산을 가져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제Ⅲ장에서는 16점의 석탑 조성기록 분석을 통해 건립 목적과 후원세력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왕과 귀족이 중요한 후원세력으로 활동하고 있는 신라 이래의 전통이 유지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鄕吏・僧侶・香徒・民과 같은 다양한 계층이 건탑 세력으로 새롭게 참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계층의 참여는 고려 석탑양식의 다양성과도 직결되는 현상으로 󰡔보협인다라니경󰡕이 제시한 공덕추구를 통해 현세의 고난을 극복하려던 고려인들의 불탑관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제Ⅳ장에서는 고려 석탑을 고구려계・백제계・신라계・고려식 일반형과 특수형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 후, 조성 기록을 가지고 있는 석탑의 양식을 기준으로 뚜렷한 양식 변화에 따라 4기로 나누어 제작시기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1기에는 신라 정형양식 석탑의 계승과 함께 건국 초의 역량이 반영된 대형탑과 고구려계 다각다층석탑이 등장하고 있으며, 2기에는 기단의 축소에 따른 단층기단의 확대와 세장한 조형미 및 사자탑과 운주사 다층석탑과 같은 특수양식 석탑의 출현과 겹 우주와 별석받침을 이용한 공간감 부여, 3기에는 장엄의 소멸과 다양한 옥개석 양식의 출현 그리고 다각석탑을 대신해 방형의 대좌형 기단이 유행, 4기는 무신집권기와 원간섭기를 거치면서 석탑건립의 감소 양상과 함께 기단을 생략하거나 2m 이내의 소형화된 석탑이 건립되며, 경천사 십층석탑과 마곡사 오층석탑과 같은 외래요소를 반영한 석탑이 등장한다.

제Ⅴ장에서는 고려 석탑의 특징과 의의를 고찰했는데, 석탑 각 구성요소(초층 탑신, 옥개석, 별석받침, 장엄조식)의 변화와 양식 그리고 분포상황을 종합해 다양한 석탑을 건립하게 된 원인이 현실의 고통으로부터 탈피하고자 했던 고려인들의 종교적 염원이 표출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신라 석탑과는 구분되는 고려 석탑만의 조형특징을 규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고려 석탑은 결코 신라 석탑에 비해 양식상 후퇴의 산물이 아닌, 고려 사회의 역사적 상황이 반영된 결과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려 조형미술에 대한 이해는 그 시대의 역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인의 기준으로 연구되어야, 미술작품을 통한 역사복원이라는 미술사학 본래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