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7

3. 연구의 가설 17

4. 용어 정의 17

II. 이론적 배경 21

1. 노인 21

2. 노인의 신체활동과 한국무용 21

2.1. 노인의 신체활동 21

2.2. 노인과 한국무용 23

3. 노인의 기능체력 25

3.1. 근력 26

3.2. 유연성 27

3.3. 민첩성과 동적 평형성 27

3.4. 전신 지구력 28

4. 대사증후군 29

4.1. 대사증후군의 개요 29

4.2. 대사증후군의 위험 인자들의 특성 34

5. 노인과 대사증후군 41

III. 연구 방법 43

1. 연구 대상 43

2. 실험 방법 45

3. 실험 설계 46

4. 실험 절차 47

5. 한국 무용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51

6. 통계 분석 54

IV. 연구 결과 55

1. 신체구성(Body composition)의 변화 55

1.1. 체중(weight)의 변화 56

1.2.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의 변화 57

2. 기능 체력(Functional fitness test)의 변화 58

2.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30-Second Chair Stand)의 변화 59

2.2. 덤벨 들기(30-second Arm Curl)의 변화 60

2.3.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Chair Sit-and-Reach)의 변화 61

2.4. 등 뒤에서 손잡기(Back Scratch)의 변화 62

2.5. 2분 제자리 걷기(2-Minute Step Test)의 변화 63

2.6. 244㎝ 왕복 걷기(244cm-Foot Up-and-Go)의 변화 64

3. 대사증후군 위험인자(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의 변화 65

3.1. 공복시 혈당(fasting glucose)의 변화 66

3.2. 중성지방(Triglycerides)의 변화 67

3.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변화 68

3.4.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변화 69

3.5.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의 변화 70

3.6. 인슐린(fasting insulin)의 변화 71

3.7. HOMA-IR의 변화 72

3.8.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의 변화 73

3.9.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의 변화 74

3.10. 이완기 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의 변화 75

V. 논의 76

참고문헌 88

Abstract 113

표목차

〈표 1〉 SFT의 체력변수별 관련 기능 및 검사항목 25

〈표 2〉 World Health Organization definition 31

〈표 3〉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definition 31

〈표 4〉 The new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efinition 32

〈표 5〉 Ethic specific values for waist circumference 33

〈표 6〉 한국인의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33

〈표 7〉 성인의 혈압 분류 39

〈표 8〉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 43

〈표 9〉 측정 도구 및 용도 45

〈표 10〉 혈중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 공식 50

〈표 11〉 혈중 초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 공식 50

〈표 12〉 혈중 HOMA-IR 공식 51

〈표 13〉 한국무용 프로그램 53

〈표 14〉 12주간 한국무용 참여에 따른 신체구성의 변화 55

〈표 15〉 12주간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기능 체력 요인의 변화 58

〈표 16〉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변화 65

그림목차

〈그림 1〉 실험 설계 46

〈그림 2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체중의 변화 56

〈그림 2b〉 그룹 간의 체중의 변화 56

〈그림 3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변화 57

〈그림 3b〉 그룹 간의 체질량 지수의 변화 57

〈그림 4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의 변화 59

〈그림 4b〉 그룹 간의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의 변화 59

〈그림 5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덤벨 들기의 변화 60

〈그림 5b〉 그룹 간의 덤벨 들기의 변화 60

〈그림 6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의 변화 61

〈그림 6b〉 그룹 간의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의 변화 61

〈그림 7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등 뒤에서 손잡기의 변화 62

〈그림 7b〉 그룹 간의 등 뒤에서 손잡기의 변화 62

〈그림 8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2분 제자리 걷기의 변화 63

〈그림 8b〉 그룹 간의 2분 제자리 걷기의 변화 63

〈그림 9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244㎝ 왕복 걷기의 변화 64

〈그림 9b〉 그룹 간의 244㎝ 왕복 걷기 64

〈그림 10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공복시 혈당의 변화 66

〈그림 10b〉 그룹 간의 공복시 혈당의 변화 66

〈그림 11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중성지방의 변화 67

〈그림 11b〉 그룹 간의 중성지방의 변화 67

〈그림 12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HDL-C의 변화 68

〈그림 12b〉 그룹 간의 HDL-C의 변화 68

〈그림 13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LDL-C의 변화 69

〈그림 13b〉 그룹 간의 LDL-C의 변화 69

〈그림 14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TC의 변화 70

〈그림 14b〉 그룹 간의 총콜레스테롤의 변화 70

〈그림 15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인슐린의 변화 71

〈그림 15b〉 그룹 간의 인슐린의 변화 71

〈그림 16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HOMA-IR의 변화 72

〈그림 16b〉 그룹 간의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72

〈그림 17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허리둘레의 변화 73

〈그림 17b〉 그룹 간의 허리둘레의 변화 73

〈그림 18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수축기 혈압의 변화 74

〈그림 18b〉 그룹 간의 수축기 혈압의 변화 74

〈그림 19a〉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이완기 혈압의 변화 75

〈그림 19b〉 그룹 간의 이완기의 변화 75

초록보기

한국무용은 전반적인 건강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동형태이다. 그러나 한국무용 참여에 따른 신체적 기능과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12주간 한국무용 참여가 기능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노인의 건강 증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복지관을 방문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히고, 신체활동이 가능하면서, 현재 약물치료를 받지 않는 자로 총 33명으로 선정하였다. 총 33명의 대상자들은 일상생활 그룹(NL) 14명, 한국무용 참여그룹(TKD) 19명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그러나 3개월간의 실험 기간 도중 한국무용 프로그램의 흥미를 잃거나, 사후검사의 거부로 인하여 중도탈락하여 일상생활 그룹(NL) 12명, 한국무용 그룹(TKD) 11명으로 총 23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 되었다.

12주간 한국무용 참여 전·후 신체구성(체중, 신장, BMI)과 기능체력(전신지구력, 근력, 유연성, 민첩성과 평형성) 수준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체력검사인 노인기능체력검사(SFT)로 6가지(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 덤벨들기, 2분 제자리 걷기, 등 뒤에서 손잡기, 244cm 왕복 걷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대사증후군 위험인자(fasting glucose, TG, WC, BP, HDL-C, LDL-C, TC, Insulin, HOMA-IR) 검사는 N사에 의뢰하여 수준변화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 항목들은 한국무용 참여 사전·사후로 총 2회 동일한 항목으로 각 그룹 내(Independent t-test)와 그룹 간(Paired t-test)을 비교분석하였다. 한국무용 프로그램 운동 강도는 HRR의 40%-60%의 저·중강도로 설정하였고, 운동시간은 3회/주, 60분/회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여성 노인의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한국무용 참여 그룹(TKD)에서 기능체력수준의 변화는 상·하체 근력, 상·하체 유연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12주간 여성 노인의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한국무용 참여 그룹(TKD)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수준의 변화는 Triglyceride(T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Total cholesterol(TC), Waist circumference(WC)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반면, 일상생활 그룹(NL)에서 Systolic blood pressure(SBP)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노인의 한국무용 참여가 신체구성과 기능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시사하며, 차후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인정받을 수 있는 이론적 체계구축을 갖추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지연 및 예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