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다기준의사결정법(CP)을 이용한 도심 친수공간 적지선정 방법개발 / 김성만 인기도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2
청구기호
TD 628 -12-419
형태사항
x, 131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41459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2012.2. 지도교수: 이용운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1. 서론 13

2. 문헌연구 15

가. 친수공간의 정의 및 특성 15

1) 친수공간(Waterfront)의 정의 15

2) 친수공간의 특성 및 기능 15

나. 의사결정방법 18

1) 의사결정의 과정 18

2) 의사결정분석의 원리 20

3) 의사결정문제의 특성 20

4) 의사결정모델의 종류 및 특성 21

다. 다기준의사결정기법 23

1) 다기준의사결정의 정의 23

2) 다기준의사결정의 기본개념 23

3)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의 선택 25

4)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 27

라. 불확실성의 해석방법 33

1) 통계적 추론방법 33

2) 퍼지이론 40

3. 친수공간 적지선정 방법개발 49

가. 친수공간 적지선정 절차 49

나. 평가기준 개발 50

1) 지리·공간적 측면 51

2) 환경적 측면 53

3) 사회적 측면 55

4) 사업추진 측면 57

5) 평가기준 종합 58

다. 평가기준의 정량화 방법 60

라. 가중치 결정방법 개발 61

1) Step 1 : 의사결정문제의 계층화 방법 63

2) Step 2 : 중요도값의 구간 설정방법 64

3) Step 3 : 중요도 확장값 산출방법 65

4) Step 4 : 평가기준별 최종가중치(점값) 도출 방법 65

마. 적지우선순의 결정방법 68

1) 평가기준의 합성과정 69

2) 평가기준의 연산과정 71

4. 적용사례 연구 75

가. 적지선정 후보지 현황 75

1) 광주광역시 저수지 현황 75

2) 적지 선정 후보지 선정 78

나. 평가기준 평가 78

1) 지리·공간적 측면 평가 78

2) 환경적 측면 평가 84

3) 사회적 측면 평가 97

4) 사업추진 측면 평가 99

다. 평가기준별 가중치 산정결과 105

1) 중요도 산정을 위한 설문조사 105

2) 평가기준별 중요도 구간값 산정 107

3) 중요도 구간값 합성 115

4) 평가기준별 가중치 산정결과 120

5. 결론 128

References 130

Abstract 135

부록_친수공간 적지선정을 위한 중요도 설문조사 137

Table 2.1. Objective and facilities of waterfront function 17

Table 2.2. Type and character of decision model 22

Table 2.3. Comparison of characteristic between MODA and MADM 25

Table 2.4. Ratio scale of comparison 29

Table 2.5. Example of pairwise comparison matrix 29

Table 2.6. Average Random Index 30

Table 2.7. Calculation results of consistency and weight 31

Table 2.8. Triangular fuzzy numbers and reciprocal 43

Table 2.9. Importance matrix with triangular fuzzy number 45

Table 2.10. Sum of each row in fuzzy comparison matrix 46

Table 2.11. Value of fuzzy syntehtic extent obtained from Chang method 46

Table 2.12. Final weights obtained from Table 2.11 46

Table 2.13. Value of fuzzy synthetic extent obtained from Wang method 48

Table 2.14. Final weights obtained from Table 2.13 48

Table 3.1.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 of upper items 58

Table 3.2.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 of lower items 59

Table 3.3. Qualitative evaluation criteria 60

Table 3.4. Importance matrix represented by interval value 64

Table 3.5. Sum of each row in importance matrix 65

Table 3.6. Value of interval synthetic extent obtained from Chang method 65

Table 3.7. Comparison of final weights obtained from Chang and Wang methods 66

Table 3.8. Final weights obtained from method developed by this study 68

Table 4.1. Reservoirs located in Gwangju 76

Table 4.2. Management agencies of reservoirs in Gwangju 77

Table 4.3. Specifications and features of reservoirs 83

Table 4.4. Status of land category in reservoir watershed 83

Table 4.5. Results of water quality analysis 85

Table 4.6. Calculation results of final discharge load 89

Table 4.7. Trophic State Index(TSI) and its value 91

Table 4.8. Calculation results of TSI 91

Table 4.9. Management criteria of ecosystem degree on map 94

Table 4.10. Results of water quality analysis in runoff of DanYang dam 101

Table 4.11. Distance between existing and candidate waterfronts 102

Table 4.12. Construction cost of existing waterfront in Gwangju 103

Table 4.13. Construction cost of candidate waterfront in Gwangju 104

Table 4.14. Example of questionnaire form 105

Table 4.15. Age and career for questionnaire panel 106

Table 4.16. Distribution of career for questionnaire panel 107

Table 4.17. Importance interval for upper evaluation criteria 108

Table 4.18. Matrix of upper evaluation criteria by pairwise comparison 108

Table 4.19. Importance interval for geographic and spatial aspect 109

Table 4.20. Matrix of geographic and spatial aspect by pairwise comparison 110

Table 4.21. Importance interval for environmental aspect 110

Table 4.22. Matrix of environmental aspect by pairwise comparison 111

Table 4.23. Importance interval for ease of improving water quality 111

Table 4.24. Matrix of ease of improving water quality by pairwise comparison 111

Table 4.25. Importance interval for ecological excellence 112

Table 4.26. Matrix of ecological excellence by pairwise comparison 112

Table 4.27. Importance interval for social aspect 112

Table 4.28. Matrix of social aspect by pairwise comparison 113

Table 4.29. Importance interval for business aspect 114

Table 4.30. Matrix of business aspect by pairwise comparison 114

Table 4.31. Synthetic results of interval matrix values for upper item 115

Table 4.32. Value of interval synthetic extent for upper item 115

Table 4.33. Synthetic results of the interval comparison matrix for geopraphical and spatial aspect 116

Table 4.34. Value of interval synthetic extent for geographical and spatial aspect 116

Table 4.35. Synthetic results of the interval comparison matrix for the environmental aspects 117

Table 4.36. Value of interval synthetic extent for the environmental aspects 117

Table 4.37. Synthetic results of the interval comparison matrix for ease of improving water quality 117

Table 4.38. Value of interval synthetic extent for ease of improving water quality 118

Table 4.39. Synthetic results of the interval comparison matrix for ecological excellence 118

Table 4.40. Value of interval synthetic extent for ecological excellence 118

Table 4.41. Synthetic results of the interval comparison matrix for social aspect 119

Table 4.42. Value of interval synthetic extent for social aspect 119

Table 4.43. Synthetic results of the interval comparison matrix for business aspect 119

Table 4.44. Value of interval synthetic extent for business aspect 120

Table 4.45. Calculation results of the weights for upper item 120

Table 4.46. Calculation results of the weights for geopraphical and spatial aspect 121

Table 4.47. Calculation results of the weights for environmental aspects 122

Table 4.48. Calculation results of the weights for ease of improving water quality 122

Table 4.49. Calculation results of the weights for ecological excellence 122

Table 4.50. Calculation results of the weights for social aspect 123

Table 4.51. Calculation results of the weights for business aspect 123

Table 4.52. Comparison of culculation results in final weights 125

Table 4.53. Input data of composite program 126

Table 4.54. Comparison of candidate waterfronts in priority 127

Fig. 2.1. Typology of MCDM techniques(modified from Janssen, 1992 26

Fig. 2.2. Confidence of interval estimation 39

Fig. 2.3. Triangular fuzzy numbers 41

Fig. 2.4. Maximum value of fuzzy intersection 44

Fig. 2.5. Case of l₁≥u₂ in M₁ and M₂ 47

Fig. 3.1. Process of selecting optimum waterfront 49

Fig. 3.2. Process of selecting evaluation criteria 50

Fig. 3.3. Hierarchical structure 63

Fig. 3.4. The membership function μM(x) and μG(x)(이미지참조) 67

Fig. 3.5. Example of composite structure 70

Fig. 3.6. Method for converting actual value(Zi) to indicator values(si)(이미지참조) 72

Fig. 3.7. Comparison of distance between ideal point and actual point of candidate 74

Fig. 4.1. Reservoir locations in Gwangju 76

Fig. 4.2. Status of reservoir construction in year 77

Fig. 4.3. Location of candidate reservoirs 78

Fig. 4.4. Geographic detail location of candidate reservoirs 82

Fig. 4.5. Map about ecosystem land-cover around reservoirs 97

Fig. 4.6. Salix chaenomelides in Suwan reservior 98

Fig. 4.7. Dolmen in Sinchang reservoir 98

Fig. 4.8. Neighborhood park in Jeonpyeong reservoir 100

Fig. 4.9. History and culture park in Sinchang reservori 100

Fig. 4.10. Distribution of the groundwater pumping capacity in Gwangju 101

Fig. 4.11. Age and career for questionnaire panel 107

Fig. 4.12. Results of weight calculation by hierarchy extent analysis method 124

초록보기 더보기

 도심 내 친수공간은 사람들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쾌적성을 제공하고 좋은 인성을 함양시킬 뿐만 아니라 마음의 여유와 휴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자연학습장, 만남의 장소, 문화행사장, 생물서식처, 열섬현상 방지, 재해방지 등의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도시에서는 친수공간을 발굴하여 복원사업을 시행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신도시를 개발할 때도 친수공간의 인공적 조성이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도심 내에는 수많은 소규모 저수지, 웅덩이 등이 산재되어 있어 친수공간 복원지역으로 선정하는데 여러 가지 인자들 때문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에 분포되어 있는 친수공간 복원대상의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친수공간의 평가기준과 평가기준별 가중치 산정방법 및 적지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들을 광주광역시에 적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친수공간들의 복원대상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기준으로는 상위항목으로 지리·공간적 측면, 환경적 측면, 사회적 측면, 사업추진 측면으로 구분하고, 각 항에 다시 계열별로 15개의 하위항목으로 세분화하였다. 평가기준들은 친수공간의 특성을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평가자들에 따라 평가기준별 중요도(가중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가중치를 합리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계층확장분석법을 개발하였고, 적용사례 연구를 통해 계층확장분석법이 평가기준별 가중치 산정에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계층확장분석법에 의해 도출된 지리·공간적 측면, 환경적 측면, 사회적 측면, 사업추진 측면의 가중치는 각각 0.282, 0.388, 0.176 및 0.154로 나타나 환경적 측면이 친수공간 적지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 평가기준의 하위항목들에 대한 최종 가중치는 주변 생태자원의 우수성이 친수공간 적지선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주민접근성, 관광휴양, 공원 인접성 등 순으로 나타났고, 저수지 규모가 가장 낮은 중요도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에서 다기준의사결정방법으로 선정·적용한 Composite programming (CP)은 도심에 분포되어 있는 복원대상 친수공간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 광주광역시 도심 내 5개 저수지들을 대상으로 지리·공간, 환경, 사회 및 사업추진 분야를 평가하고, 최적의 적지를 선정하기 위해 Composite programming을 적용한 결과, 친수공간 복원대상 우선순위는 진월제, 신창제, 전평제, 수완제, 남성제 순으로 나타났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