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I. 서론 14

1. 연구의의 및 목적 14

2. 연구내용 및 방법 19

가. 연구내용 19

나. 연구방법 21

3. 연구동향 25

가. 사구의 형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26

나. 사구의 분류에 관한 연구 28

다. 사구퇴적물과 기후변동에 관한 연구 30

라. 하천 및 호수변 사구에 관한 연구 31

마. 두만강 하류 퇴적지형에 관한 연구 32

II. 두만강 유역의 지형과 환경 35

1. 연구지역 위치 및 지형환경 35

2. 두만강 유역분지의 자연환경 39

가. 두만강 유역분지 개관 39

나. 토사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2

3. 소결 69

III. 사구의 분포 및 분류 70

1. 사구의 분포 70

가. 회룡봉 사구 72

나. 경신-원정 사구 74

다. 두만강변 사구 77

라. 방천-노동자 사구 80

2. 사구의 분류 83

가. 사구의 분류 83

나. 지역별 사구 유형 90

3. 소결 95

IV. 노두 기술 및 사구퇴적물 분석 96

1. 노두기술 97

가. 구사평 노두 98

나. 사타자 노두 99

다. 방천 노두 100

2. 입도 분석 103

가. 입도 특성 104

나. 퇴적환경 분석 112

3. 모래입자 특성 분석 116

가. 구사평 노두 116

나. 방천 노두 119

다. 사타자 노두 122

라. 모래입자 특성 비교 123

4. XRD분석 124

가. 사타자 노두 125

나. 구사평 노두 126

다. 방천 노두 130

라. 분석결과 133

5. 소결 135

V. 사구의 시계열적 변화 및 공간적 변화 138

1. 사구의 시계열적 변화 및 공간적 변화 패턴 138

가. 회룡봉 사구 시공간적 변화 138

나. 경신-원정 사구 시공간적 변화 143

다. 방천-노동자 사구 시공간적 변화 145

2. 이동사구의 시계열적 변화 및 공간적 변화 패턴 147

3. 인간간섭에 의한 사구의 변화 151

가. 사구-모래톱 시스템의 단절 151

나. 인간간섭에 의한 사구의 정착 152

다. 개발로 인한 사구의 변화 153

라. 사구 보존에 관해 본 연구의 관점 154

4. 소결 155

VI. 결론 156

참고문헌 159

ABSTRACT 169

표목차

〈표 1〉 동옥상(2006)의 해안사구 분류 29

〈표 2〉 이삼 외(1997)의 하곡 풍적지형 분류 30

〈표 3〉 훈춘지역 월별 풍속 39

〈표 4〉 두만강 평균유량과 연경유량(年俓流量) 변화 42

〈표 5〉 흥기하 유역분지 암석별 경사도 55

〈표 6〉 두만강 중·상류 유역분지 암석별 경사도 56

〈표 7〉 해란강 유역분지 암석별 경사도 56

〈표 8〉 부르하통하 유역분지 암석별 경사도 57

〈표 9〉 가야하 유역분지 암석별 경사도 57

〈표 10〉 밀강 유역분지 암석별 경사도 58

〈표 11〉 훈춘하 유역분지 암석별 경사도 58

〈표 12〉 북한 두만강 유역분지 암석별 경사도 59

〈표 13〉 홍기하 유역분지 강수와 기온 월 변화 63

〈표 14〉 해란강 유역분지 강수와 기온 월 변화 63

〈표 15〉 부르하통하 유역분지 강수와 기온 월 변화 64

〈표 16〉 훈춘하 유역분지 강수와 기온 월 변화 64

〈표 17〉 가야하 유역분지 강수와 기온 월 변화 65

〈표 18〉 각 유역분지 기온 비교 65

〈표 19〉 각 지류하천의 입도특성 67

〈표 20〉 두만강 본류 입도특성 68

〈표 21〉 두만강 하안사구 분류1 86

〈표 22〉 두만강 하안사구 분류2 87

〈표 23〉 두만강 하안사구 분류3 88

〈표 24〉 두만강 하안사구 분류4 89

〈표 25〉 입도분포 측정 계산식 및 입도 등급분류, 분급의 설정 105

〈표 26〉 구사평 노두 입도분석 결과 107

〈표 27〉 구사평 사구 거리별 입도분석 결과 108

〈표 28〉 방천 노두 입도분석 결과 109

〈표 29〉 두만강변 사구 입도특성 110

〈표 30〉 사타자 사구 입도 특성 111

〈표 31〉 퇴적환경에 사용하는 판별 공식 112

〈표 32〉 Sahu 공식에 의한 주요 지류하천 퇴적환경 판별결과 113

〈표 33〉 Sahu 공식으로 판별된 구사평 노두 퇴적환경 114

〈표 34〉 Sahu 공식으로 판별된 방천 노두 퇴적환경 115

〈표 35〉 구사평 노두 광물 조성 117

〈표 36〉 방천 노두 광물 조성 119

〈표 37〉 사타자 노두 XRD분석 결과 125

〈표 38〉 구사평 노두 XRD 분석결과 128

〈표 39〉 방천 노두 XRD분석 결과 132

〈표 40〉 회룡봉 지역 시기별 면적변화 140

〈표 41〉 경신-원정지역 시기별 면적변화 143

〈표 42〉 방천-노동자지역 시기별 변화면적 145

〈표 43〉 2004-2009년 이동사구 면적변화 147

그림목차

〈그림 1〉 하안사구 지형이 발달하는 범위 모식도 19

〈그림 2〉 하천변 사구발달에 관한 본 연구의 관점 20

〈그림 3〉 연구의 흐름 22

〈그림 4〉 내륙사구와 해안사구의 형성과정 34

〈그림 5〉 위성상진에서 본 연구지역 위치 35

〈그림 6〉 연구지역 지형 37

〈그럼 7〉 연구지역 지질 분포도 38

〈그림 8〉 두만강 유역분지 개관 40

〈그림 9〉 두만강 하상 모습(2009년 8월 촬영) 41

〈그림 10〉 두만강 유역분지 지질도 48

〈그림 11〉 두만강 유역분지 암석분포 비례 50

〈그림 12〉 화강암 풍화 모습 51

〈그림 13〉 부르하통하 유역 용정조 노두 52

〈그림 14〉 해란강 유역 용정조 노두 53

〈그림 15〉 훈춘하 유역 훈춘조 노두 54

〈그림 16〉 두만강 유역분지 식생 분포도 (중국 쪽) 60

〈그림 17〉 식생별 분포 비례 61

〈그림 18〉 유역분지별 기타로 분류된 식생면적 62

〈그림 19〉 주요 지류하천에서 공급되는 퇴적물의 입도특성 67

〈그림 20〉 2009년 사구의 분포 71

〈그림 21〉 회룡봉 사구지역 지형 73

〈그림 22〉 2009년 회룡봉 사구분포 및 토지이용 73

〈그림 23〉 변형된 사구 모습 74

〈그림 24〉 경신-원정 사구지역 지형 75

〈그림 25〉 2009년 경신-원정 사구지역 사구 분포 및 토지이용 75

〈그림 26〉 구사평 사구단면 모식도 76

〈그림 27〉 두만강변 사구지역 지형 77

〈그림 28〉 2009년 두만강변 사구분포 및 토지이용 78

〈그림 29〉 두만강변 사구 단면 모식도1 79

〈그림 30〉 두만강변 사구 단면 모식도2 79

〈그림 31〉 방천 사구지역 지형경관 80

〈그림 32〉 2009년 방천-노동자지구 사구분포 및 토지이용 81

〈그림 33〉 방천 사구 단면 모식도 81

〈그림 34〉 북한 노동자지구 사구 모습 82

〈그림 35〉 사구발달 프로세스 84

〈그림 36〉 회룡봉지역 사구 유형 91

〈그림 37〉 경신-원정 사구 유형 및 겨울철 하상 모습 92

〈그림 38〉 두만강변 사구 유형 93

〈그림 39〉 방천-노동자지구 사구유형 94

〈그림 40〉 노두관찰 및 샘플 채취 지점 98

〈그림 41〉 구사평 사구 노두 99

〈그림 42〉 사타자 사구 노두 100

〈그림 43〉 방천 사구 노두 101

〈그림 44〉 방천 사구 노두의 결빙 모습 101

〈그림 45〉 방천 사구 노두의 층서 모습 102

〈그림 46〉 방천 사구의 상부층 103

〈그림 47〉 구사평 사구 노두 입도조성 106

〈그림 48〉 구사평 사구 거리별 입도조성 107

〈그림 49〉 방천 사구 입도조성 109

〈그림 50〉 두만강변 사구 입도조성 110

〈그림 51〉 사타자 사구 입도조성 111

〈그림 52〉 Friedeman 분급과 왜도로 판별된 지류하천 퇴적환경 113

〈그림 53〉 Friedeman 분급과 왜도로 판별된 구사평 노두 퇴적환경 114

〈그림 54〉 Friedeman 분급과 왜도로 판별된 방천 노두 퇴적환경 115

〈그림 55〉 구사평 노두 모래 표면 형태 및 특성 118

〈그림 56〉 방천 노두 모래 표면 형태 및 특성 120

〈그림 57〉 방천 노두 모래 표면특성 121

〈그림 58〉 사타자 노두 모래 표면형태 및 특성 122

〈그림 59〉 연구지역 광물특성 비교 123

〈그림 60〉 사타자 노두 XRD분석 그래프 125

〈그림 61〉 구사평 노두 XRD분석 그래프(GW13-17) 126

〈그림 62〉 구사평 노두 XRD분석 그래프(GW9-12) 127

〈그림 63〉 구사평 노두 XRD분석 그래프(GW5-8) 127

〈그림 64〉 구사평 노두 XRD분석 그래프(GW1-4) 128

〈그림 65〉 방천 노두 XRD분석 그래프(BC13-16) 130

〈그림 66〉 방천 노두 XRD분석 그래프(BC9-12) 130

〈그림 67〉 방천 노두 XRD분석 그래프(BC5-8) 131

〈그림 68〉 방천 노두 XRD분석 그래프(BC1-4*) 131

〈그림 69〉 겨울철 모래이동 모습 139

〈그림 70〉 회룡봉 사구지형의 시공간적 변화(1976년-2001년) 141

〈그림 71〉 회룡봉 사구지형의 시공간적 변화(2004년-2009년) 142

〈그림 72〉 경신-원정 사구지형의 시공간적 변화(1976년-2009년) 144

〈그림 73〉 방천-노동자 사구지형의 시공간적 변화(1976년-2009년) 146

〈그림 74〉 사구가 습지를 잠식하는 모습(방천촌 인근) 148

〈그림 75〉 2004-2009년 경신-원정지역 이동사구 변화 148

〈그림 76〉 2004년-2009년 회룡봉지역 이동사구 변화 149

〈그림 77〉 두만강변 변화하고 있는 이동사구 150

〈그림 78〉 인간간섭에 의한 모래공급의 단절된 모습 152

〈그림 79〉 사구의 확장을 방지하기 위한 식생의 정착 153

〈그림 80〉 관광지로 개발되는 사구모습 153

초록보기

 두만강 하류에는 하천과 바람의 작용에 기인한 사구, 습지, 구하도, 모래톱, 하중도 등 다양한 지형경관이 나타난다. 이 중에서도 대표적인 지형경관은 하안사구이다. 하안사구가 분포하는 지역은 세계적으로도 제한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학술적 연구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이 지역은 3국의 접경지로서 제약이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인간의 간섭을 적게 받아 지형경관이 잘 보존된 지역이다. 하지만, 최근에 두만강 하류 하안사구는 기후요인과 인간의 간섭에 의해 변형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하안사구는 지형학 및 환경지리적 측면에서 연구가치가 높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만강 하류에 분포하는 하안사구의 지형환경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두만강 하류 지역 사구 퇴적지형의 분포를 파악하고, 퇴적환경을 밝혀 사구 공급물의 원천되는 유역분지의 풍화환경을 살펴보고, 사구의 형성과정과 형태를 기반으로 하안사구의 분류를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구의 시공간적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사구 관리 방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에서 위성영상분석과 수치고도모델을 제작하여 지형을 분석하였고, 2008년에서 2012년을 걸쳐 현장답사를 하고, 단면관찰과 기술을 진행하는 동시에 샘플을 채취하여 입도분석, 실체현미경촬영, XRD 등 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만강 유역분지 중국 쪽에서 모래공급원은 주로 3지역에 집중되었다. 첫 번째 지역은 부르하통하 유역에서 용정조에 의해 조립질의 모래를 많이 공급하고 있다. 두 번째 지역은 해란강 유역에서도 용정조에 의해 조립질 모래를 공급하고 있다. 세 번째 지역은 훈춘하 유역에서 훈춘조와 화강암에서 많은 토사를 공급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미립질 모래를 공급하고 있다.

둘째, 사구의 발달 방향은 겨울철 탁월풍의 영향으로 북서-남동 방향으로 나타났다. 사구가 발달한 인근 하상에서 모래톱이나 하중도가 잘 발달되어 있다. 모래톱이 잘 발달된 지역에서는 사구의 정착도가 약하고 현재도 계절을 달리하면서 사구가 발달하고 있지만, 하중도가 잘 발달된 지역에서는 모래 공급이 줄어들어 사구는 안정상태로 변하고 있다.

셋째, 사구 유형을 보면 주로 포물선 사구가 주를 이루고 지역에 따라 종사구와 바르한 사구 및 돔형 사구도 발달되어 있다. 사구가 발달하는 유형은 지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물선 사구는 주로 면적이 넓은 범람원에서 발달하고 바르한 사구는 하천변 수변식생이 정착되어 있는 곳에서 하천을 따라 좁고 길게 발달하고 있다. 종사구는 포물선 사구가 변형된 유형도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사면을 따라 발달한 유형도 있었다. 돔형사구는 현재까지 다풍향의 작용에서 발달된다는 연구와 달리 특이한 지형에서도 발달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단면관찰, 입도분석, 실체현미경 관찰 및 XRD분석을 통하여 경신-원정 사구와 사타자 사구는 풍성사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사구의 발달은 하천의 모래톱에서 물질이 공급되고 바람에 의해 운반되어 하천변에 재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구가 형성된 시간이 오래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방천사구는 이동사구와 정착사구로 나뉘어 설명할 수 있다. 이동성이 있는 사구는 경신-원정이나 사타자사구와 유사하게 바람에 의해 하상퇴적물이 재운반되어 발달되었다. 방천단면이 위치한 정착 사구는 3,000년 전후에 해수면이 일시적으로 높았던 시기에 하천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해수의 영향을 받아 방천지역에 퇴적되어 형성되었다.

다섯째, 사구의 변화는 하상에 퇴적된 모래톱의 면적과 상관성이 높다. 모래톱이 잘 발달한 지역에서 사구가 변화하는 정도가 크고, 모래톱이 잘 발달되지 못한 지역은 사구 변화 면적이 작다. 이 외에 수변식생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변식생이 잘 발달된 지역에서는 모래의 공급이 차단되어 이동이 완만하거나 전혀 이동되지 않는다. 사구는 현재도 이동성이 강하여 면적이 증가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 호안시설의 건설, 토사채취, 관광지 개발 등으로 인해 사구의 성장이 줄어들고 변형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두만강 변 사구는 경관이 아름답고, 현재 많이 변형되고 있다. 이 지역이 하천과 해안에 위치한 만큼 그 분포가 제한되어 있어 지형학적이나 환경지리적으로 연구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또한, 이 지역은 오랫동안 인간의 간섭을 적게 받아 자연적인 모습이 탁월하게 발달하였기에 자연적인 모습대로 보존하는 것이 알맞다. 하지만, 이 지역이 국경지역인 만큼 중국, 북한 및 러시아 3국을 걸쳐 국제협력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충청남도의 해안사구 소장
2 The Origin of Coastal Dunesand in the Chungcheongnam-do 소장
3 The Interactions between Beach and Coastal Dune in Chungcheong Province, Central West Korea 네이버 미소장
4 Articles : Beach and Sanddune Development along the Coastline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소장
5 주기적 지형 측량을 통한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 변화 : 충남 보령시 소황사구를 사례로 소장
6 1988, 제주 동부 우도의 해빈퇴적물에 관한 연구, 제주대해양학보, 12, 43-53. 미소장
7 2007, 토양지리학,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8 1987, 자연지리학, 법문사. 미소장
9 2003, 한국지리, 법문사. 미소장
10 1999, 대관령 일대의 지형, 토양환경,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 Landform Classification Using Geomorphometric Analysis 소장
12 1982, 광물학원론, 우성문화사. 미소장
13 한반도 중남부 화강암과 편마암의 풍화 특색 소장
14 해안 지역의 환경 변화와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안면도 사빈과 사구를 중심으로 소장
15 해안사구의 바람과 비사에 관한 연구 : 서해안 신두리를 사례로 소장
16 겨울철 모래이동과 전사구의 지형변화 : 신두리 해안사구 지대를 사례로 소장
17 동해안 사구 소장
18 제주도 협재지역 사구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소장
19 해안사구의 편년에 관한 연구 소장
20 Development of Coastal Sanddunes at Kimnyong-Wolchung Beach in Jejudo 소장
21 Original Articles : Luminescence Dating Results from Kimnyong-Wolchung Coastal Sand-dune and Their Implications 소장
22 1992, 점토광물학, 춘광출판사. 미소장
23 2001, 서해안 신두리 해안사구의 지형변화와 퇴적물 수지, 설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4 해안사구에서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 소장
25 The Geomorphology and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of Sagye Coastal Dune, Jeju Island, Korea 소장
26 신두리 해안사구의 미지형별 식생의 대상구조와 다양성변화 : 천연기념물 지정지를 중심으로 소장
27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round Tuman River in China 소장
28 두만강 하류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 러시아 핫산지역과 녹둔도를 중심으로 소장
29 Variations of Selected Major and Trace Elements in the Late Pleistocene of Cheollipo Sand-dune, West Coast, Korea; Preliminary Study 소장
30 한반도 남해안의 해안지형 특색 및 발달과정 소장
31 花崗巖 風化層의 粘土組成과 風化環境 소장
32 錦江과 萬頃江 역과 모래의 비교연구 소장
33 제주도 협재 지역에 분포하는 해안사구의 구성성분과 형성시기 : 홀로세 후기의 해수면 변화에 대한 고찰 소장
34 2007, 퇴적암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35 2009, 홀로신 중기 이후 해안사구지대의 형성동인-서해안 해안사구지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소장
36 해안사구의 경관단위에 따른 식생관리방안에 관한 연구:신두 해안사구지대를 사례로 네이버 미소장
37 황룡강 표층퇴적물의 퇴적환경 소장
38 Regional Structure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Najin-Seonbong Economic and Trade Zone 소장
39 Estimation of Soil Loss Due to Cropland Increase in Hoeryeung Northeast Korea 소장
40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Sand dune at the Lower Reach of Duman River, North Korea 소장
41 2009, 두만강 하류 사구퇴적물의 형태적 특징,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미소장
42 Storm-induced beach-profile erosion as erosion angle 소장
43 인간 간섭에 의한 해안 환경 변화 연구 : 강릉시 사빈 해안을 사례로 소장
44 1995, 퇴적학, 우성. 미소장
45 우리나라 河口沖積層의 層相構造 소장
46 사력퇴를 통해서 본 한국 산지 하천의 지형 특색 : 남한강·금강·낙동강·섬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소장
4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geomorphic process of sand dunes at the Lower reach of the Duman river, Korea and China 소장
48 Luminescence Dating of Coastal Dune Sequences on Wonsan Island and its Implications 소장
49 2009, 홀로세의 해안사구 형성과 해수면 변화: 동해안과 서해안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0 동해안 동호리 해안사구의 비사특성에 관한 연구 소장
51 제주도 김녕-월정 해안사구 지역의 환경 변화 연구 소장
52 신두리 해안사구지역 일대의 관속식물상 및 식물군집구조 소장
53 The sedimentology and Luminescence chronology of a coastal dune sequence at Unyo Beach, T`aean-Gun 소장
54 2004, 신두리 지역의 전사구에 대한 OSL 연대 측정 및 지형 발달, 한국지형학회지, 39(2), 269-282. 미소장
55 濟州島 沿岸 海濱과 砂丘에 관한 연구 소장
56 A geomorphological study on beach and sand dune in Jeju island 네이버 미소장
57 1996, 閩江口海岸沙丘의 形成 및 變化, 研究論文, 228-234. 미소장
58 1991, 環渤海沿岸沼澤化, 鹽積化 및 沙漠化의 變化와 全球變化의 關係, 第4紀硏究, 2, 113-122. 미소장
59 2004, 浸積學 및 古地理敎程, 地質出版社. 미소장
60 2008, 蘇北盆地白堊紀沙漠石英顆粒表面特徵 및 環境意義, 特種油氣藏,15(5), 13-17. 미소장
61 1987, 我國南北方海岸風成砂丘石英顆粒表面結構의 對比硏究,海洋科學, 5, 20-22. 미소장
62 1988, 我國北方砂漠地區砂丘石英砂의 表面特徵 및 浸積環境의 關係, 乾旱區資源 및 環境, 2(2), 25-35. 미소장
63 2000, 中國溫帶海岸砂丘分類系統初步探究, 中國沙漠, 20(2), 159-165. 미소장
64 2002, 海岸現代風成砂粒度參數特徵의 硏究-中國溫帶海岸을 事例, 沉積學報,20(4), 656-662. 미소장
65 2006, 中國海岸風沙地貌의 類型 및 分布規律, 海洋地質과 第4紀地質, 26(4),99-104. 미소장
66 2010, 新疆其木干斷面中新世-上新世浸積物粘土鑛物特徵 및 古氣候指示意義, 生態學雜誌, 29(5), 923-932. 미소장
67 2009, 浸積岩과 浸積相, 石油工業出版社. 미소장
68 2007, 長江水下三角洲表層浸積物粘土鑛物分布 및 影響因素, 海洋科學進展, 25(4), 419-427. 미소장
69 1998, 黃河源風沙沈積 및 意義, 浸積學報, 16(1),40-44. 미소장
70 1997, 黃渤海海岸風沙地貌類型 및 分布規律과發育模式, 海洋과 湖沼, 28(1), 56-65. 미소장
71 1983, 欒河口北岸海岸砂丘의 形成時代, 海洋湖沼通信, 3, 29-32. 미소장
72 1985, 延邊自然地理, 延邊人民出版社. 미소장
73 2007, 安徽龍河口水庫流域浸積物中粘土鑛物分析 및 環境意義 巖石鑛物學雜誌, 26(1), 96-100. 미소장
74 1998, 騰格里沙漠東南緣格狀砂丘粒度特徵 및 成因探討, 地理硏究, 17(2),178-184. 미소장
75 2006, 長江中流砂山의 粒度特徵및 古氣候環境意義,地質科技情報, 25(1), 35-40. 미소장
76 琿春市地方志編纂委員會, 2000, 琿春市志. 미소장
77 1997, 我國不同海區沈積物石英顆粒表面의 微結構, 海洋科學, 2, 43-47. 미소장
78 2007, 臨夏盆地晩更新世浸積物粘土鑛物의 特徵 및 古氣候指示, 現代地質, 21(2), 406-414. 미소장
79 2001, 塔里木盆地西南部早白堊世風成砂丘古風向測量 및 古風帶恢復, 浸積 및 特提斯地質, 29(4), 1-4. 미소장
80 2009, 內蒙古呼論湖砂丘帶形成原因分析, 內蒙古氣象,3, 30-31. 미소장
81 1998, 渾善達克沙地의 形成時代와 成因初步研究, 研究論文, 16-21. 미소장
82 1997, 雅魯藏布江河谷風沙地貌分類및 發育問題, 中國沙漠, 17(4),342-350. 미소장
83 2009, 近40ka來海南島海岸沙地氣候 및 環境演變, 地理硏究,28(5), 1235-1242. 미소장
84 2008, 華北-東北南部地區中生代晩期粘土鑛物 과 氣候, 地質學報, 82(5), 683-690. 미소장
85 1987, 灤河以北海岸風成沙沉積의 初步硏究, 中國沙漠, 7(2),12-21. 미소장
86 1991, 從石英砂粒表面結構特徵探討吉林省西部沙地砂丘의 成因, 東北師大學報自然科學版, 1, 113-118. 미소장
87 1998, 塔克拉瑪幹沙漠腹地縱向沙壟表面沙物質粒度特征, 幹旱區資源與環境, 12(1), 21-28. 미소장
88 2000, 國外沙丘研究綜述, 泥沙研究, 5, 73-81. 미소장
89 1982, 臺灣海峽西岸歷史年代風沙의 初探, 臺灣海峽, 1(2), 76-84. 미소장
90 2006, 福建長樂東部海岸沙丘發育成因 및 特征, 福建地質, 4, 185-191. 미소장
91 2002, 圖們江口附近砂丘沙의 結構 및 碎屑成分特徵, 吉林大學碩士學位論文. 미소장
92 2004, 圖們江下游砂丘粒度分布 및 石英表面結構, 浸積學報, 22(2), 261-266. 미소장
93 1999, 禹門口黃河東岸砂丘初步硏究, 中國沙漠, 19(2), 184-186. 미소장
94 1984, 論老地層石英顆粒表面特徵分析古環境의 可能性, 浸積學報, 2(2), 99-103. 미소장
95 2004-2006, 圖們江流域多語種綜合信息管理系統, 國家電子産業信息基金, 結題報告書. 미소장
96 2002, 圖們江图口附近砂丘의 成因, 海洋地質動態, 18(6), 6-10. 미소장
97 2004, 秦皇島市海岸風成沙丘의 研究, 中國海洋大學學報34(4) 617-624. 미소장
98 2006, 昌黎海岸沙丘의 發育條件及動態變化, 德州學院學報,22(1), 82-84. 미소장
99 2008, 海岸沙丘의 浸積構造 및 形成原因의 探討-秦皇島市海岸風成砂丘를 事例로, 海洋地質動態 24(1), 9-11. 미소장
100 1992, 東北平原西部沙地古土壤 및 全新世環境變遷, 第四紀硏究, 3, 224-232. 미소장
101 1994, 線形砂丘의 風沙浸積特徵 및 內部構造, 中國沙漠, 14(3), 25-30. 미소장
102 2001, 岱海堆積物粒度特徵및 古環境意義, 海洋地質과 第四紀地質, 21(1),93-96. 미소장
103 2000, 靑海湖西岸風成砂丘特徵 및 成因, 中國沙漠,20(4), 443-446. 미소장
104 2009, 靑藏高原北緣古今紀石英砂表面特徵 및 古環境意義, 浸積學報, 27(1), 94-103. 미소장
105 1987, 海岸砂丘成因의 探求, 中國沙漠, 7(3), 30-40. 미소장
106 2005, 長江三角洲平原粘土鑛物分布特徵 및 環境意義,華東師範大學學報, 1, 92-98. 미소장
107 1990, 中國海岸風沙硏究의 進展과 問題, 地理科學, 10(3), 230-236. 미소장
108 1995a, 華南沿海全新世海岸砂丘硏究, 中國科學(B), 25(2),211-218. 미소장
109 1995b, 華南海岸風沙地貌硏究, 科學出版社. 미소장
110 1995c, 我國海岸砂丘石英砂表面結構特徵再探, 科學通報, 40(17), 1602-1604. 미소장
111 1965, 寧夏河東沙區砂丘沙의 來源, 地理學報, 31(2), 142-156. 미소장
112 2006, 河北七裏海外海岸沙丘群成因新探, 海洋科學進展, 24(3), 349-354. 미소장
113 延邊州地方誌編纂委員會, 1985, 延邊朝鮮族自治州地名誌. 미소장
114 2003, 距今30ka前後我國西北沙漠地區古環境, 第四紀硏究, 23(1),25-30. 미소장
115 1995, 中國海岸風成沙ESR測年의 硏究, 海洋 및 湖沼, 26(5),487-493. 미소장
116 1997, 黃河中遊晚第三紀 및 第四紀古氣候關系初探, 西北大學學報, 27(6),517-520 미소장
117 2000, 珠江口北岸SX97孔7ka B.P. 以來의 鑛物分析, 熱帶地理,20(3), 222-227. 미소장
118 1987, 和田河中下流沙漠地貌, 干旱區硏究, 1, 9-22. 미소장
119 1986, 濕潤 및 半濕潤 地帶의 土地風沙化問題, 中國沙漠, 6(4), 5-16. 미소장
120 中國古今地名辭典編纂委員會, 2005, 中國古今地名大辭典, 上海辭書出版社. 미소장
121 1994, 埼玉平野の河畔砂丘, J. College Liberal. Arts Suitama. univ. 29. 121-134. 미소장
122 2002, 鳥取砂丘における砂移动と气象因子の关系, 日砂丘誌, 49(1),11-20. 미소장
123 2000, 鳥取砂丘における風環境と砂丘砂の粒度分布の关系, 日砂丘誌, 47(1), 12-19. 미소장
124 2004, 滋賀縣犬上川河口部の凹地を埋積した土砂の堆積過程, 地形, 25(2), 161-174. 미소장
125 1954, Experiments on a gravity-free dispersion of large solid spheres in a Newtonian fluid ender shear, Proc. R. Soc. Lond, 225, 49-63. 미소장
126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네이버 미소장
127 1988, Coastal Environments, Academic Press. 미소장
128 1958, Coastal sand dunes of Oregon and Washington, Geol. Soc. of Amer. Men, 72, 169. 미소장
129 1978, Principles of Sedimentology, Wiley, NY. 미소장
130 96-hour continuous infusion of cis-platinum, 5-fluorouracil and bleomycin in recurrent or metastatic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unexpected anemia 네이버 미소장
131 Experimental Abrasion 4: Eolian Action 네이버 미소장
132 1990, Dune forming factors in a geographical context, In: Bakker, TH.W., Jungerius, P.D, and Klijin, J.A, Dunes of the European Costs; Geomorphology-Hydrology-Soils, Catena supplement, 18, 1-13. 미소장
133 1956, The orientation of dunes in relation to winds, Geogr.J, 122, pp, 176-189. 미소장
134 2002, Proceeding of ICAR5/GCTE-SEM Joint Conference, International Center for Arid and Semiarid Lands Studies, Texas Tech University, Lubbock, Texas, USA Publication 02-2, 449. 미소장
135 1994, Aeolian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in Pye, K(ed),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al Processes, Blakwell Scientific Pub., Oxford, 293-350. 미소장
136 Deterministic uncertainty and complex pedogenesis in some Pleistocene dune soils 네이버 미소장
137 A New Roundness Scale for Sedimentary Particles 네이버 미소장
138 A chronosequence of rapid leaching of mixed podzol soil materials following sand mining 네이버 미소장
139 Negatively skewed aeolian sands from a humid tropical coastal Dunefield, Northern Australia 네이버 미소장
140 2009, Aeolian sand and sand dunes, Springer Verlag. 미소장
141 Grain Size Analysis of Sediments from the Northern Andaman Sea: Comparison of Laser Diffraction and Sieve-Pipette Techniques 네이버 미소장
142 1982, Wave, beach and dune interaction in southern Australia Marine Geology, 48, 259-284. 미소장
143 1967, Processes of coastal development, Oliver&Body. 미소장
144 1969, The coastline of England and Wales,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미소장
145 http://www1.gsi.go.jp/geowww/oto_reading/kahansakyu.html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