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구조 / 김병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8
청구기호
TD 745.4 -12-138
형태사항
18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5850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시각디자인전공, 2012.8. 지도교수: 안상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간추린 글

목차

1. 머리글 10

1.1. 연구 배경과 목적 11

1.2. 연구 성격과 방법 13

1.3. 용어 정의 17

2. 글자와 글,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성질 19

2.1. 글자의 개념과 성질 20

2.1.1. 글자의 개념 20

2.1.2. 글자의 성질 25

2.1.3. 글자의 형태·소리·의미 차원 31

2.2. 글의 기본 모형과 내부 구조 34

2.2.1. 글의 기본 모형 34

2.2.2. 글줄의 시간 37

2.3.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구조 46

2.3.1.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유연함 46

2.3.2.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깊이 52

2.3.3. 타이포그래피 시공간에서 해석자의 위치 62

3. 타이포그래피의 형태적 안정화와 소리·위계의 표현 65

3.1. 형태적 조율과 안정화 66

3.1.1. 형태의 울림 66

3.1.2. 형태적 조율 73

3.1.3. 안정된 타이포그래피의 기본 모형 82

3.2.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말소리의 표현 85

3.2.1. 소리의 성질 85

3.2.2. 글자 형태를 통한 말소리 표현 89

3.2.3. 글자 배치를 통한 말소리 표현 96

3.2.4. 사이공간을 통한 말소리의 표현 101

3.3.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의미 위계의 표현 106

3.3.1. 의미 위계 106

3.3.2. 글자 형태를 통한 위계의 표현 109

3.3.3. 낱말의 위치를 통한 위계의 표현 116

3.3.4. 사이공간의 크기를 통한 위계의 표현 124

4. 타이포그래피의 공간 구조와 글 해석의 변화 132

4.1.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3차원적 해석 133

4.1.1. 글자 크기 133

4.1.2. 글자 색깔 138

4.1.3. 글자 굵기 141

4.1.4. 배열 143

4.1.5. 사이공간 148

4.2. 중층적 결합과 재조율 151

4.2.1. 중층적 결합체로서 타이포그래피 151

4.2.2. 3차원 구조의 불안정 153

4.2.3.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재안정화 154

4.3. 타이포그래피의 3차원적 구조에 따른 글 해석의 변화 162

4.3.1. 글 해석의 다층화 162

4.3.2. 글 해석의 다차원화 165

5. 맺음글 167

참고문헌 173

Abstract 181

그림 1. 토머스 일리요트. 『The Broke named the Gouernour』의 표지. 1534 22

그림 2. 파울 클레가 헤르만 루프에게 보낸 편지 26

그림 3. 파울 클레가 헤르만 루프에게 보낸 편지의 인쇄본 26

그림 4. 글자의 형태·소리·의미 차원 33

그림 5. 글 기본형1 34

그림 6. 글의 기본형 2 35

그림 7. 로제타석 탁본 36

그림 8. 시간의 공간화 37

그림 9. 최초의 달력 38

그림 10. 글줄의 시간 39

그림 11. 글줄 사이의 연속적 시간 40

그림 12. 시선의 이동 (성기원, 2004) 40

그림 13. 글줄 사이의 연속적 시간에 따른 배열 40

그림 14. 글줄 사이의 불연속적 시간 41

그림 15. 글줄 사이의 불연속적 시간에 따른 배열 41

그림 16. 높은 해상도로 본 글줄의 시간 42

그림 17. 글줄 시간의 진행 방향 43

그림 18. 부스트로피돈 글자 43

그림 19. 단 사이의 시간 44

그림 20. 쪽 배열을 따라 확장되는 타이포그래피 공간 44

그림 21. 스기우라 고헤이. 책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에 대한 분석 45

그림 22. 순수의식…우주적인 무. 18세기 인도 47

그림 23. 네 변의 울림 48

그림 24. 루돌프 아른하임이 분석한 공간의 울림 49

그림 25. 입자에 의한 공간의 울림 50

그림 26. 울림과 공간의 깊이 50

그림 27. 유연한 타이포그래피 공간 51

그림 28. 피트 몬드리안. 검은 선의 구성 II. 1930 52

그림 29. 아른하임의 공간 지각 분석. 1954 53

그림 30. 타이포그래피 공간에서 깊이 인식의 단서 55

그림 31. 글자 크기와 깊이의 관계 55

그림 32. 에밀 루더. 재즈. 56

그림 33. 조지 허버트. 부활절 날개. 1633 57

그림 34. 타이포그래피 공간 인식의 유형 57

그림 35. 이상. “삼차각설계도: 선에 관한 각서 1 59

그림 36. “삼차각설계도: 선에 관한 각서 1”에 대한 안상수의 분석. 1995 60

그림 37. “삼차각설계도: 선에 관한 각서 1”에 대한 김민수의 분석. 1998 (연구자 그림) 60

그림 38. 유연한 타이포그래피 공간 61

그림 39. 시간의 양끝에 있는 해석자와 타이포그래퍼 62

그림 40.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양끝에 있는 해석자와 타이포그래퍼 63

그림 41. 물 위의 울림 66

그림 42. 울림의 기본 모형 67

그림 43. 브라이언 그린. 질량에 의한 시공간의 휘어짐 69

그림 44. 글자의 무게에 의한 울림 70

그림 45. 김진평. 표면장력을 적용한 한글 70

그림 46. 글자의 형태적 결합 구조 71

그림 47. 낱자들이 조합된 낱내글자 울림의 구조 72

그림 48. 글자에 따른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불균형 73

그림 49. 쓰기/읽기의 방향에 따른 울림의 왜곡 74

그림 50. 사물의 힘과 울림 74

그림 51. 글자 사이의 당김 75

그림 52. 글자 사이의 밀어냄 76

그림 53. 글자꼴에 따른 울림의 방향성 76

그림 54. 글자꼴에 따른 울림의 방향성 분석: ㅣ와 ㅏ 비교 77

그림 55. 쓰기/읽기의 방향에 따른 울림의 방향별 강도 78

그림 56. 글줄 사이의 울림 78

그림 57. 글자꼴에 따른 울림의 차이: SM신신명조와 안상수체 비교 79

그림 58. 울림의 합으로서 글줄 79

그림 59. 글줄 사이의 울림 80

그림 60. 단락/절/장 사이의 울림 80

그림 61. 책 내부의 울림 81

그림 62. 안정된 타이포그래피 기본 모형 82

그림 63. 말레비치. 절대주의 사각형 83

그림 64. 소리의 확산과 약화 86

그림 65. 소리 크기 86

그림 66. 소리의 음높이 87

그림 67. 파형과 음색 88

그림 68. 글자 크기와 소리 크기의 관계 90

그림 69. 글자 크기와 음량 90

그림 70. 글자 굵기와 소리의 세기 91

그림 71. 필리포 마리네티. 〈장 툼 툼〉. 1914 92

그림 72. 마생. 〈대머리 여가수〉. 1964 93

그림 73. 정지용. 〈카페 ―·프란스〉. 1926 94

그림 74. 정지용. 〈파충류동물〉. 1926 95

그림 75. 글자 배체와 음높이 1 96

그림 76. 글자 배체와 음높이 2 96

그림 77. 안상수. 〈강태환 재즈 포스터〉. 97

그림 78. 마쌩. 〈대머리 여가수〉를 위한 스케치. 1965 98

그림 79. W. 칸딘스키. 점으로 표현한 베토벤의 교향곡 99

그림 80. 바바라 케인. 〈Jean Cocteau: Die geliebte Stimme〉. 1982 100

그림 81. 곰링어. 〈침묵〉. 1954 101

그림 82. 사이 공간과 장단 102

그림 83. 사이 공간과 장단 102

그림 84. 만 레이. 〈음향시〉. 1924 103

그림 85. 임화. 〈지구와 박테리아〉. 1924 104

그림 86. 반 다이크. 글의 거시 구조 106

그림 87. 글자 크기와 위계 1 109

그림 88. 글자 형태를 판단하는 맥락 2 109

그림 89. 훈민정음 해례본. 1446 110

그림 90. 디터 페세케. 〈Point of Access〉. 2004 111

그림 91. 앨런 키칭. 〈타이포그래피 워크숍〉. 1995 112

그림 92. 글자 굵기와 의미 위계 1 113

그림 93. 글자 굵기와 의미 위계 2 113

그림 94. Peter Karow. Demonstration. 1992 113

그림 95. 얀 치홀트. 「신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안내서」. 1928 114

그림 96. 글자색과 위계 115

그림 97. 높이와 위계 116

그림 98. 람세스 2세가 히타이트 전쟁을 논의하는 모습 117

그림 99. 베히스툰 비문. 1728 118

그림 100. 「분무원종공신록권」. 1728 119

그림 101. 「성격직회」. 1892 120

그림 102. 람세스 2세의 프라이노멘 121

그림 103. 「일리아스」 희랍어 복원판. 1824 122

그림 104. 글자 사이와 낱말의 위계 1 124

그림 105. 「조선왕조실록」의 첫 쪽. 1391 125

그림 106. 「예수셩교젼서」. 1887 126

그림 107. 글자 사이와 낱말의 위계 1 127

그림 108. 글자 사이와 낱말의 위계 2 128

그림 109. 「구약개역」. 1938 129

그림 110. 투탕카멘의 카르투시(투탕카멘의 무덤 상감 상자의 윗부분) 130

그림 111. 「독립신문」 창간호. 1896년 4월 7일 131

그림 112. 글자 크기에 대한 분석1 133

그림 113. 글자 크기에 대한 분석 2 134

그림 114. 글자 크기에 대한 분석 2 135

그림 115. 글자 크기 3 135

그림 116. Hans Fabigan. AGI exhibition in Vienna. 1966 136

그림 117. 허브 루발린. 〈잡지 U&lc 표지〉 136

그림 118. 글자 형태에 대한 분석3 137

그림 119. 배병우. 〈소나무〉 연작 138

그림 120. 글자 진하기에 대한 분석 1 138

그림 121. 글자 진하기에 대한 분석 2 139

그림 122. 글자 진하기에 대한 분석 3 139

그림 123. 헬무트 슈미트. 〈전자 음악 앨범의 표지〉. 1968 140

그림 124. 아드리안 프루티거. 유니버스 글자 가족 141

그림 125. 글자 굵기에 대한 분석 1 142

그림 126. 글자 굵기에 대한 분석 2 142

그림 127. 글자 배열에 대한 분석 1 143

그림 128. 글자 배열에 대한 분석 2 143

그림 129. 글자 배열에 대한 분석 13 144

그림 130. 수직적 위계 구조 144

그림 131. 하늘, 인간의 글, 땅 145

그림 132. 3차원의 위계 구조 146

그림 133. Muriel Cooper. 〈Information Landscapes〉. 1994 147

그림 134. 질량에 의한 공간의 왜곡으로 본 사이공간의 변화 148

그림 135. 질량에 의한 공간의 왜곡으로 본 사이공간의 변화 149

그림 136. 글자 형태에 대한 분석3 150

그림 137. 글자 형태에 대한 해석 151

그림 138. 태양계의 안정된 행성의 운행(NASA) 154

그림 139. 조화로운 화성의 예 155

그림 140. 불안정환 화성의 예 155

그림 141. 데카르트. “세계 혹은 빛에 관한 논문”에 실린 〈세계기계〉. 17세기 157

그림 142. 칸딘스키. 몇 개의 원. 1926 158

그림 143. 칸딘스키. 중심으로 쏠리는 차가운 긴장(긴장감의 응집) 159

그림 144. 칸딘스키. 긴장감의 해소 159

그림 145. 얀 치홀트. 『십죽재화보』의 속표지. 1970 160

그림 146. 얀 치홀트. 『신 타이포그래피』. 1928 / 『타이포그라픽 디자인』. 1935 161

그림 147. 얀 치홀트의 『신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안내서』(1928)에 대한 분석 162

그림 148. 마주하는 타이포그래퍼와 감상자 사이의 타이포그래피 공간 163

초록보기 더보기

1.

연구자는 다음 세 가지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소리나 위계와 타이포그래피적 표현의 관계를 설명하려면 타이포그래피 공간은 어떠한 좌표계(座標系, coordinates system)를 가진다고 보아야 하는가.

둘째, 글자나 그보다 큰 언어 단위 사이에서 공간을 매계로 힘의 전달을 설명하려면 타이포그래피 공간을 어떠한 구조를 가진다고 보아야 하는가.

셋째, 다양한 타이포그래피적 표현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구조가 궁금했다.

곧, 타이포그래피 공간 내부의 역학 관계과 청각성과 상징성을 설명할 수 있는 공간의 모형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동기였고 목적이었다. 연구 범위는 입체물로 제작된 타이포그래피 작품은 배제하였다.

2

우선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특성은 글자와 글의 성질에 비롯되기 때문에, 타이포그래피적 관점에서 본 글자와 글의 성질에 대해 논의하였다.

글자의 성질로는 가시성·평면성·전면성·조합성·폐쇄성·청각성·공공성 등이 있었다. 글의 성질로는 의미성·응집성·선형성·의미론적 자율성 등이 있었다. 글자와 글의 성질에 대한 논의에서 글자를 형태·소리·의미 차원에서 볼 수 있으며 각 차원은 통합되어 있지만, 어떤 차원을 강조 또는 약화할 수 있음을 논구하였다.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성질은 글자와 글의 성질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대표적인 성질로는 글줄을 따라 진행되는 시간성, 글자가 놓임으로써 여백이 비어있는 공간이 아니라 침묵 또는 소리가 된다는 청각성, 그리고 글자의 배치에 의해 공간이 위계를 드러낸다는 상징성이 있었다.

3

앞에서 논의한 글자와 글의 성질을 바탕으로, 타이포그래피의 중립적 표현과 청각적 표현, 상징적 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소리나 의미를 배제하고 형태적으로 글자나 이상의 언어 단위 사이의 조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타이포그래퍼가 어떠한 시각적 강조나 약화를 하지 않고, 해석자의 결정을 기다리는 중립적인 상태를 유지하지만, 최소한 읽을 수 있도록 글자와 글자, 글자와 공간의 조율에 대해 논의하였다.

소리의 타이포그래피적 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리를 구성하는 음량·음높이·장단 등이 타이포그래피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위계의 타이포그래피적 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수직적 위계 감각, 넓음에서 좁음으로 내려가는 수평적 위계 감각, 크다에서 작다로 내려오는 입체적 위계 감각이 타이포그래피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4

실질적인 결론 장이라고 할 수 있는 4장에서 연구자는 앞에서 살펴본 다양한 타이포그래피 표현들을 수용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구조에 대해 논구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타이포그래피 공간 앞에는 해석자, 뒤에는 저자/타이포그래퍼가 위치하며 글은 그 사이에 떠 있다고, 3차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3차원적인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각 축(軸, axis)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타이포그래피적 표현도 달라진다.

타이포그래피 공간은 다차원적이다. 하나의 타이포그래피 공간에는 축의 성질이 다른 여러 개의 공간이 공존한다. 하나의 타이포그래피 공간 안에 여러 개의 좌표계가 있는 것이다.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구조는 휘어지는 여러 층위로 이루어진, 중층 구조로 인식될 수 있다. 글자의 형태적, 청각적, 의미적 힘은 각 층위를 휘어지게 할 수 있고, 이 휘어짐은 인접하는 글자를 밀어내고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5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글자와 글자 사이의 힘의 전달과 타이포그래피에서 인식할 수 있는 청각적 정보와 위계 정보를 설명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공간의 모형을 만들었다. 나아가 글자나 낱말 등의 소리나 위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록 글은 3차원적이게 됨을 논구하였다.

물론 타이포그래피에서 힘이 공간적으로만 표현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적 표현 대신 밑줄과 같은 그래픽적 표현이나 구두점과 같은 언어적 표현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자나 타이포그래퍼가 원하는 청각적·상징적 감각이 타이포그래피 공간이나 그래픽적 표시, 글말 등으로 얼마든지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만든 가상의 공간 모형이 앞으로 다른 연구자들이 타이포그래피를 해석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