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Ⅰ. 서론 10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0
B. 논문의 구성 1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4
A. 다문화 가정의 개념 14
B. 읽기 자료의 유형과 주제 15
1. 읽기 자료 선정의 기준 15
2. 읽기 자료의 유형 17
3. 읽기 자료의 주제 21
C. 선행연구 고찰 23
1.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 23
2.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25
D. 연구 문제 26
Ⅲ. 연구방법 27
A. 연구 설계 27
B. 조사 대상 27
C. 조사 도구 29
1. 학습자용 설문지 구성 29
2. 지도 교사용 설문지 구성 30
D. 연구 절차 31
1. 예비 조사 31
2. 본 조사 32
E. 자료 분석 방법 32
1. 연구 문제에 대한 자료 분석 32
2. 설문지 채점 방법 33
F. 분석 결과 및 논의 33
1. 타당도와 신뢰도 33
2. 학습자 설문 결과 34
3. 지도 교사 설문 결과 41
4. 집단별 인식 차 47
Ⅳ. 읽기 자료 분석 49
1. 교재 선정 이유 및 분석 기준 49
1.1. 교재 선정 이유 49
1.2. 읽기 자료 분석 기준 51
1. 전체적인 구성 53
1.1. 외적구성 53
1.2. 내적 구성 56
2. 읽기자료의 유형 분석 60
3. 읽기자료의 주제 분석 61
Ⅴ. 연구의 결과 및 논의 63
A. 개발의 원리 63
B. 읽기 자료 개발 매체 64
1. 교과서 64
2. 인터넷 글 64
3. 아동 도서 65
4. 신문 65
5. 기타 자료 66
Ⅵ. 결론 및 제언 67
참고문헌 70
부록 72
〈부록 1〉 읽기 자료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설문지 72
〈부록 2〉 읽기 자료 개발을 위한 교사 요구조사 설문지 76
ABSTRACT 80
〈그림 1〉 요구분석의 연구 흐름도 27
〈그림 2〉 집단별 읽기태도, 읽기 및 읽기 활동의 어려움, 읽기 자료 요구 비교 48
국내 여성 이민자와 외국인 노동자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한국은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렇게 다문화가정의 수가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그들의 부모가 외국인이기 때문에 국내 일반 가정 자녀들과 비교해 한국어 능력 향상이 느리고 부족한 점이 많으며 특히 구어적 능력 보다는 문어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일반 가정 자녀들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능력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은 구어와 문어의 균형을 이루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읽기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이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뿐만 아니라 학습할 때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얻고 활용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다양한 유형의 읽기 자료를 접해보고 이를 실생활과 그들의 교과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해 개발된 교재에 충분한 읽기 자료가 포함되지 않다는 점을 문제로 제기하고, 학습자와 교사의 요구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읽기 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I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읽기 교육의 특성을 학습자로서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특성, 읽기 자료의 유형과 내용 등을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의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담당 교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의 읽기태도, 읽기 자료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IV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교재인 「한국어가 좋아요 1, 2」 교재 내 읽기 텍스트의 유형과 주제를 분석하였다.
V장에서는 III장에서 실시한 요구조사의 결과와 IV장에서의 교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 자료 개발의 원리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실생활에 자주 접하는 실제적인 텍스트를 사용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국내 학교생활과 나아가 한국사회에서 적응하여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주제와 내용으로 읽기 자료를 구성해야한다. 셋째, 학습자가 아동이기 때문에 읽기 자료는 다양한 삽화와 실질적인 도표 등을 포함해야 한다. 넷째, 듣기, 말하기, 쓰기로 연계되어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익힐 수 있는 유형의 읽기 자료를 개발한다. 다섯째, 다문화적 가치가 존중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실제적인 읽기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매체로는 초등학교 교과서, 인터넷, 아동 도서, 신문 등을 제시하여 그 효용성과 사용상의 유의점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읽기 교육의 중요성과 읽기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밝히고, 교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읽기 자료를 개발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실제적인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