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5

1. 연구 목적 5

2. 선행 연구 검토 6

1) 옌롄커에 대한 연구 6

2) 이문구에 대한 연구 8

3. 연구 방법과 범위 12

II. 본론 14

1. 중국 농민과 『나와 아버지』 14

1) 시대적 배경과 작가 14

2) 『나와 아버지』의 주제의식 및 형식적 특징 23

2. 한국 농민과 『관촌수필』 37

1) 시대적 배경과 작가 37

2) 『관촌수필』의 주제의식 및 형식적 특징 42

3. 옌롄커와 이문구의 작품 대비 46

III. 결론 52

참고문헌 54

국문초록 59

Abstract 61

초록보기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할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유가(儒家)문화를 공유해왔다. 고대부터 양국의 문화교류가 빈번하였고 근대에는 중·한 양국의 문학작품이 일본의 영향을 함께 받았다. 현재 두 나라는 사회제도의 차이 때문에 문학작품에서 공통점 못지않은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중국사회의 개혁개방은 대량의 해외 문학작품들이 중국으로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1992년 중·한 국교 정상화 이후 한국의 문학작품도 중국에 도입되었다. 이문구(李文求)의 작품도 그 중 하나다. 80년대와 90년대는 중국의 농촌이 급격하게 도시화되는 시기이므로 농촌을 주제로 창작에 임한 소설가들이 많이 나타났다. 옌롄커(閻連科)도 바로 이중의 한 명이다. 옌롄커와 이문구는 같은 연대의 작가가 아니지만, 그들은 자신이 살고 있었던 시대의 농촌 대변혁을 기록한 증인들이다. 그러므로 농촌사회와 문화에 거점을 둔 이들 두 작가 사이에는 유사한 점이 아주 많이 발견된다.

중국과 한국의 과거 천백 년의 발전 역사는 그 양상에 있어서 비슷한 맥락에 위치해 있다. 유가(儒家)문화의 영향을 깊이 받은 두 나라는 봉건사회를 거쳐 파란만장했던 근대의 중일, 한일전쟁을 통해 새로운 문화와 사회제도를 확립시켜 나갔다. 70년대, 한국 농촌의 도시화가 진행되기 전까지 한국과 중국은 모두 농업을 위주로 한 나라라는 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농업 문명과 비교하여 도시 문명은 매우 큰 침투력과 유혹을 지니고 있으며, 농업 문명은 도시에서 유입된 자본에 위축되고 뒷걸음질 치며 결국 무너지고 말았다. 농업 문명과 공업 문명이 부딪치고 결합하여 발생한 문화충돌은 농촌주제 소설 중에서 도시 이미지를 묘사하는 또 하나 중요한 내용이 되었다. 본문은 주로 각국을 대표하는 이 두 명의 작가와 그들의 작품을 비교 분석하는 젓을 통해 중국과 한국의 상이한 사회 발전 과정 속에 작가 및 문학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어떻게 생성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개혁개방이 이루어진 80년대 이후에 태어난 중국의 세대와 한국의 젊은 세대들이 두 나라의 발전과정이 어떻게 농촌문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