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8

II. Wee Class를 통한 '자기사랑하기' 교육적 의미 13

1. Wee Class와 인성교육의 개념 13

2. '자기사랑하기'의 인성 교육적 가치 15

III. Wee Class를 통한 '자기사랑하기' 활동 계획 20

1. '자기표현하기' 활동 계획 20

가) 나는, 이런 사람입니다 21

나) 나는, 이렇게 살았습니다 22

다) 나는, 이런 사람 닮고 싶습니다 23

2. '소통하기' 활동 계획 25

가) '너'를 이해한다 27

나) 손으로 말해요 28

다) 사랑합니다 29

3. '함께 하기' 활동 계획 30

가) 나, 너, 그리고 우리 30

나) 힘들 때 생각나는 사람 32

다) 몸으로 느껴요 33

4. '미래를 향한' 활동 계획 34

가) 내가, 나에게 묻다 34

나) 내 모습 35

다) 내가, 부모가 된다면 36

IV. Wee Class를 통한 '자기사랑하기' 실제 38

1. '자기표현하기' 활동 38

가) 나는, 이런 사람입니다 39

나) 나는, 이렇게 살았습니다 43

다) 나는, 이런 사람 닮고 싶습니다 46

2. '소통하기' 활동 47

가) '너' 를 이해한다 48

나) 손으로 말해요 51

다) 사랑합니다 52

3. '함께하기' 활동 56

1) 너, 나, 그리고 우리 56

나) 힘들 때 생각나는 사람 58

4) 몸으로 느껴요 61

4. '미래를 향한' 활동 63

가) 내가 '나'에게 묻다 63

나) 내 모습 66

다) 내가 부모가 된다면 67

V. Wee Class를 통한 '자기사랑하기'의 종합적 논의 70

1) '나' 주체성 찾아가기 위한 자기표현 70

2) '너'와 '나'를 연결하는 소통의 다리 72

3) '나' '너' 그리고, '우리'가 함께하는 세상 73

4) '미래를 향한' 나의 꿈 나의 소망 74

VI. 결론 78

참고문헌 81

Abstract 82

표목차

〈표 1〉 나는, 이런 사람입니다 22

〈표 2〉 나는, 이렇게 살았습니다 23

〈표 3〉 나는, 이런 사람을 닮고 싶습니다 24

〈표 4〉 '너'를 이해한다 27

〈표 5〉 손으로 말해요 28

〈표 6〉 사랑합니다 29

〈표 7〉 나, 너, 그리고 우리 31

〈표 8〉 힘들 때 생각나는 사람 32

〈표 9〉 몸으로 느껴요 33

〈표 10〉 내가, 나에게 묻다 35

〈표 11〉 내 모습 36

〈표 12〉 내가, 부모가 된다면 37

〈표 13〉 장, 단점 이용한 자기소개 내용 42

그림목차

〈그림 1〉 Wee Project 위기학생 연계지도 네트워크 15

〈그림 2〉 손 모양을 이용한 자기소개 41

〈그림 3〉 자서전 쓰기 46

〈그림 4〉 내가 닮고 싶은 사람 47

〈그림 5〉 동영상 감상 후 느낌 나누기(1) 48

〈그림 6〉 동영상 감상 후 느낌 나누기(2) 50

〈그림 7〉 POP 제작 활동 51

〈그림 8〉 담임선생님께 내 마음 전하기 54

〈그림 9〉 유가사 및 비슬산 체험 57

〈그림 10〉 비슬산 산행 후 느낌나누기 59

〈그림 11〉 비슬산 숙소에서 60

〈그림 12〉 1박 2일 캠프에서 명상 시간 61

〈그림 13〉 볼링 체험 62

〈그림 14〉 재수의 생각 64

〈그림 15〉 입학 전과 후의 나의 모습 표현 67

〈그림 16〉 부모가 될 나에게 68

초록보기

 '자기사랑'이 부족한 학생들은 일상생활이나 학교생활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인문계 고등학생이라면 누구나 입시 위주의 교육 방식에 염증을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학교생활 부적응 대상자로 일컫는 현실이 안타깝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학생들에게 Wee Class활동을 통해 '자기사랑하기' 의식을 키우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하기 활동'으로 '나'를 인식하게 된다. 둘째 '너와 나 그리고, 우리'가 소통을 이뤄 진실한 마음을 갖게 한다. 셋째 '함께하기' 활동을 통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넷째 긍정적인 생각으로 '미래를 향한' 구체적인 진로설계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활동을 통해 '나' 주체 의식을 키워 보다 적극적인 자기애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질적 연구의 일환인 체험학습을 통해 진정한 '나'를 찾는 과정을 재구성했다. 그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이런 사람입니다, 나는, 이렇게 살았습니다, 나는, 이런 사람 닮고 싶습니다, 의 활동을 통해 '나' 개념이 형성되었다. 둘째 너를 이해한다, 손으로 말해요, 사랑 합니다. 와 같은 활동을 통해 너와 내가 자연스런 소통을 이루어 너를 통해 '나'의 존재를 확인하게 되었다. 셋째 나, 너, 그리고 우리, 힘들 때 생각나는 사람, 몸으로 느껴요. 의 활동을 통해 너와 나의 애착관계가 생성되고 우리라는 연대의식이 생겼다. 넷째 내가, 나에게 묻다, 내 모습, 내가, 부모가 된다면 활동을 통해 '나'의 꿈에 가치를 부여하고 구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성과는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자존감을 향상 시켰다는 것이다. '자기사랑'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Wee Class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실행한다면, 학교에서 일어날 수 있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예방할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보충 기획하여 더 많은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