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 요약
목차
I. 서론 9
1. 거문고의 위상 9
2. 연구 배경 및 목적 12
3. 연구 범위 및 방법 15
II. 거문고의 명칭 유래 17
1. 현학래무설(玄鶴來舞說) 17
2. 감고설(이미지참조) 22
III. 거문고의 형태와 사상적 배경 25
IV. 거문고의 현명(絃名)과 조현(調絃) 30
1. 거문고의 현명과 의미 30
2. 거문고의 조현적 특징 39
V. 거문고의 재질과 유음적 음향 50
VI. 유음지악(遺音之樂)의 실례 66
1. 전통 악곡 66
1) 풍류방 음악 66
2) 가곡 74
2. 한국 현대 악곡 75
1) 이성천의 「독주곡 34번」 75
2) 이영조의 「류II」 진양조 76
3) 이만방의 창작곡 77
3. 서양의 현대 악곡-베베른의 작품 79
VII. 오불탄(五不彈)의 악도(樂道) 82
VIII. 거문고 산조의 도기(道器) 86
1. 거문고의 속악(俗樂) 수용 86
2. 산조의 음악적 혈통 88
3. 산조 음악의 정화지애(淨化之哀) 96
IX. 유어악(游於樂)한 인물들의 악도(樂道) 103
1. 왕산악-창금지도(創琴之道) 103
2. 세종대왕-여민락지도(與民樂之道) 105
3. 윤선도-애금지도(哀琴之道) 110
X. 현대 문학 작품 속의 거문고 도기(道器) 114
1. 시 작품-이성선 시 「거문고」, 「琴」 114
2. 소설 작품-유익서의 단편 소설 「飄風」 122
3. 동화 작품-문숙현의 장편 동화 『검고소리』 126
XI. 거문고의 악도(樂道) 133
XII. 결론 139
참고문헌 144
Abstract 151
〈사진〉 인도의 전통 발현악기 '비나' 28
〈악보1〉 '양청도드리' 거문고 악보 33
〈악보2〉 서양 현악기의 조현법 39
〈악보3〉 정악 거문고의 조현법 41
〈악보4〉 금의 조현법 41
〈악보5〉 거문고 유현의 괘법 46
〈악보6〉 거문고와 호른의 음역 62
〈악보7〉 거문고회상 「상영산」 가락 67
〈악보8〉 거문고회상 「상영산」 합주 오선보 69
〈악보9〉 남창가곡 「우조 초삭대엽」 거문고가락 74
〈악보10〉 이성천의 「독주곡 34번」 76
〈악보11〉 이영조의 「류II」 진양조 77
〈악보12〉 이만방의 「우리가 부르는 노래」 제1곡 III. 섹션(section) 78
〈악보13〉 베베른의 「피아노 변주곡」 제3악장 79
거문고는 조선시대에 선비들의 교양 필수 악기였다. 당시, 거문고 연주의 목적은 음악 그 자체를 즐기려는 것도 있었지만, 보다 근본적인 목적은 심신수양이었다. 즉 거문고 음악은 감성보다는 본성에 맞춘 음악이었다. 그래서 거문고를 잘 탈 수 있는 능력은 기예가 아니라 인품이라고 했다.
거문고는 감성보다는 본성을 추구하는 음악 연주를 목적으로 했던 악기였으므로, 이러한 거문고의 악도(樂道)에 맞게 악기(樂器)도 그렇게 설계되고 제작되었다. 요컨대, 악도(樂道)와 악기(樂器) 두 가지 모두를 겸비한 악기가 바로 거문고인데,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도선기후적(道先器後的)인 악기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거문고는 단순히 음악적 기능만 고려하여 제작된 여타의 악기와는 아주 다르다.
거문고는 다양한 형태로 악도(樂道)를 표현해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유가(儒家)의 덕음(德音) 사상이 가장 핵심적이다. 덕음 사상은 유음(遺音)이라는 방법으로 실현되었다. 그래서 거문고는 악기 그 자체도 유음적으로 제작되었는데, 유음이란 다 표현하지 않고 여지를 남겨둔 절제된 음, 또는 그러한 음악을 말한다. 그림으로 말하면, 문인화나 선화(禪畵)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거문고의 앞판 재질이 소리를 잘 흡수하는 오동나무이며, 거문고의 줄이 굵고 지속도가 짧은 것도 바로 이러한 유음을 효과적으로 잘 표현해내기 위해서였다.
거문고는 심신수양을 목적으로 하는 선비 악기였지만,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풍류 음악과 산조 음악을 수용함으로써 중인 계층과 서민 계층에게도 각광을 받는 악기가 된다. 거문고의 음악적 표현 영역과 수용 계층의 영역이 더 넓어진 것이다.
그런데 거문고는 미분음적(微分音的)인 요소와 타악기적인 요소를 갖춘 악기로서 서양의 현대 음악과 소통·교류할 수 있는 음악적 요소가 많은 악기이다. 특히 서양 현대 음악의 특징 중의 하나인 '단순성 추구'는 거문고의 유음 사상과 매우 유사하다. 그래서 거문고는 단지 전통 국악기로서만이 아니라 미래의 악기로서도 많은 잠재력을 가진 악기라고 할 수가 있다.
그 동안 거문고 관련 우수한 논문들이 꾸준히 발표되어왔다. 그런데, 거문고의 도(道)와 기(器)를 모두 아우르는 논문은 다소 부족했던 것 같다. 거문고의 도(道)와 기(器) 중에서 어느 한 쪽 면만 고찰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도(道) 중심의 연구는 거문고의 음악적 실체를, 기(器) 중심의 연구는 거문고의 철학적 본질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본 논문은 바로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거문고의 도(道)와 기(器) 양면 모두를 고찰함으로써 거문고 그 자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본 논문의 실제적인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유음에 대한 의미 천착을 통해 음악적 가치관 전반에 대한 철학적 점검의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論語』, 『孟子』,『中庸』,『呂氏春秋』,『禮記』,『莊子』,『周易』 | 미소장 |
2 | 皆川達夫, 세광음악출판사 편집국 역,『바로크 음악』, 세광음악출판사, 1986. | 미소장 |
3 | 『한민족음악론』, 학문사, 2000. | 미소장 |
4 | 『신완역 周易』, 明文堂, 2007. | 미소장 |
5 | 『呂氏春秋 제1권 十二紀』, 民音社, 1995. | 미소장 |
6 | 『율려와 동양사상』, 예문서원, 2004. | 미소장 |
7 | 『音樂美學』, 世光出版社, 1982. | 미소장 |
8 | 『大學․中庸』, 惠園出版社, 1992. | 미소장 |
9 | 『홍난파 평전』, 남양, 2009. | 미소장 |
10 | 『나는 불교를 이렇게 본다』,통나무, 1989. | 미소장 |
11 | 『아름다움과 추함』, 통나무, 1990. | 미소장 |
12 | 『氣哲學散調』, 통나무, 1992. | 미소장 |
13 | 『도올논어[1]』, 통나무, 2000. | 미소장 |
14 | 『거문고 탱고』, 민속원, 2007. | 미소장 |
15 | 『서양음악문화사 강의』, 도서출판 예종, 2005. | 미소장 |
16 | 『전통음악개론』, 도서출판 어울림, 2000. | 미소장 |
17 | 『한국의 전통음악』, 三省言語硏究院, 1986. | 미소장 |
18 | 『음악의 기초이론』, 수문당, 2001. | 미소장 |
19 | 『獨白과 對話』, 民衆書館, 1970. | 미소장 |
20 | 『和聲學』, 民衆書館, 1975. | 미소장 |
21 | 『관현악법』, 세광출판사, 1981. | 미소장 |
22 | 『화성학』, 세광음악출판사, 1989. | 미소장 |
23 | 『육경과 공자인학』, 예문서원, 2003. | 미소장 |
24 | 『孔子의 詩學』, 강원대학교출판부, 2011. | 미소장 |
25 | 『한국민족음악 현단계』, 세광음악출판사, 1989. | 미소장 |
26 | 『한국근대음악사1』, 한길사, 1995. | 미소장 |
27 | 『한국음악론』, 한국학술정보, 2003. | 미소장 |
28 | 『노동은의 두 번째 음악상자』, 한국학술정보, 2004. | 미소장 |
29 | 『民族音樂論』, 한길사, 1991. | 미소장 |
30 | D. J. Grout, 한국음악교재연구회 역,『서양음악사 상․하』, 세광음악출판사, 1991. | 미소장 |
31 | 『現代音樂의 理解』, 松山出版社, 1980. | 미소장 |
32 | 『새로운 음악』, 도서출판 작은우리, 1991. | 미소장 |
33 | 『동아시아 미학』, 동아시아, 2010. | 미소장 |
34 | 『검고소리』, 푸른숲 주니어, 2010. | 미소장 |
35 | 『동아시아와 서양음악의 수용』, 音樂世界, 2008. | 미소장 |
36 | 『음악심리학의 이해』, 음악춘추사, 2004. | 미소장 |
37 | 『미술관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미술문화, 2010. | 미소장 |
38 | 『왕양명의 마음의 예술, 음악 그리고 음악교육론』, 민속원, 2007. | 미소장 |
39 | 『유학자의 마음으로 부르는 노래』, 바른숲, 2011. | 미소장 |
40 | 『음악미학』, 學文社, 1985. | 미소장 |
41 | 『한국가요사』, 현암사, 1992. | 미소장 |
42 | 『인간과 음악』,이론과 실천, 1988. | 미소장 |
43 | 『한국 전통음악의 선율구조』, 大光文化社, 1999. | 미소장 |
44 | 『전통음악의 랑그와 빠홀』, 통나무, 2003. | 미소장 |
45 | 『전통음악의 보편성과 당위성』, 지식산업사, 2005. | 미소장 |
46 | 『전통음악의 비판적 수용과 한국음악』, 보고사, 2006. | 미소장 |
47 | 『국악용어 해설집』, 보고사, 2008. | 미소장 |
48 | 『음악과 이론1』, 심설당, 1985. | 미소장 |
49 | 『음악과 현상』, 문학과지성사, 1991. | 미소장 |
50 | 『음악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2000. | 미소장 |
51 | 『음악을 본다』,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 미소장 |
52 | 『慵齋叢話』민족추진회편, 솔출판사, 1997. | 미소장 |
53 | 韓國古代音樂史硏究 | 소장 |
54 | 『韓國音樂通史, 一潮閣, 1993. | 미소장 |
55 | 『국악의 향연 제1권』, 중앙일보사, 1988. | 미소장 |
56 | 『악기장』, 민속원, 2006. | 미소장 |
57 | 『시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9. | 미소장 |
58 | 『중국고대음악사고 하(2)』, 소명출판, 2007. | 미소장 |
59 | 『中國古代樂論』, 太學社, 1995. | 미소장 |
60 | 『傳習錄』, 청계, 2007. | 미소장 |
61 | 『오리엔탈리즘의 해체와 우리 문화 바로 읽기』, 소나무, 2004. | 미소장 |
62 |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소나무, 2005. | 미소장 |
63 | 『윤이상 경계선상의 음악』, 한길사, 2005. | 미소장 |
64 | 『音樂의 方法』, 民音社, 1982. | 미소장 |
65 | 『음악적 모국어를 위하여』, 玄音社, 1985. | 미소장 |
66 | 『열린 음악의 세계』, 玄音社, 1987. | 미소장 |
67 | 『한국음악학』, 民音社, 1990. | 미소장 |
68 | 『민족음악의 지평』, 한길사, 1986. | 미소장 |
69 | 『한국음악의 논리와 윤리』, 세광음악출판사, 1987. | 미소장 |
70 | 『나의 음악을 지켜보는 얼굴들』, 민족음악연구회, 2005. | 미소장 |
71 | 『작곡가 이건용의 현대음악 강의』, 한길사, 2011. | 미소장 |
72 | 『우리 음악 어디 있나』, 북성재, 2011. | 미소장 |
73 | 『韓國民族樂舞와 禮樂思想』, 集文堂, 1997. | 미소장 |
74 | 『한국 민족예악과 시가문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1. | 미소장 |
75 | 『韓文化의 源流』, 제이앤씨, 2009. | 미소장 |
76 | 『음악 심리학』, 심설당, 1994. | 미소장 |
77 | 『음악 마인드 과학』, 音樂世界, 2002. | 미소장 |
78 | 『음악 음향학』, 심설당, 2003. | 미소장 |
79 | 『서양음악사』, 正音社, 1982. | 미소장 |
80 | 『이성선 시전집』, 시와시학사, 2005. | 미소장 |
81 | 『한국음악의 내면화된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민속원, 2005. | 미소장 |
82 | 『한국 대중가요사』, 시공사, 2001. | 미소장 |
83 | 『碧梧金鶴圖』, 東文選, 1992. | 미소장 |
84 | 『음악의 사회사』, 전예원, 1986. | 미소장 |
85 | 『잊혀진 거문고 산조의 명인들』, 민속원, 2008. | 미소장 |
86 | 『이성선 전집 2』,서정시학, 2011. | 미소장 |
87 | 『국역악학궤범Ⅰ』,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 미소장 |
88 | 『국역악학궤범Ⅱ』,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 미소장 |
89 | 『韓國音樂論集』, 세광음악출판사, 1988. | 미소장 |
90 | 『한국음악이론』, 민속원, 2005. | 미소장 |
91 | 『한국 대중음악사』, 리즈앤 북, 2003. | 미소장 |
92 | 『이성선 전집 1』, 서정시학, 2003. | 미소장 |
93 | 『O.K 國樂(Ⅱ)』, 작은우리, 1994. | 미소장 |
94 | 『음악문헌학』, 아카넷, 2003. | 미소장 |
95 | 『신완역 論語』, 명문당, 2005. | 미소장 |
96 | 『韓國文學史, 同和文化社, 1999. | 미소장 |
97 | 『增補 韓國音樂史』, 世光音樂出版社, 1986. | 미소장 |
98 | 『最新 韓國音樂總論』, 世光音樂出版社, 1988. | 미소장 |
99 | 『國樂作曲入門』, 현대음악출판사, 1988. | 미소장 |
100 | 『새로운 한국음악사』, 현대음악출판사, 2000. | 미소장 |
101 | 『실크로드, 길 위의 노래』, 소나무, 2003. | 미소장 |
102 | 『한국음악 장단의 역사와 논리』, 중앙대학교출판부, 2005. | 미소장 |
103 | 『아시아 음악의 어제와 오늘』, 아시아음악학회, 2008. | 미소장 |
104 | 『東洋音樂』, 삼호뮤직, 2007. | 미소장 |
105 | 『근대성의 침략과 20세기 한국의 음악』, 북코리아, 2005. | 미소장 |
106 | 『전통의 제자리 찾기와 방황』, 북코리아, 2008. | 미소장 |
107 | 『조선시대 음악담론』, 민속원, 2008. | 미소장 |
108 | 『동양의 음악사상 樂記』, 민속원, 2005. | 미소장 |
109 | 『슬픔 뒤에 오는 것들』, 초록물고기, 2010. | 미소장 |
110 | 『韓國美의 照明』, 열화당, 2004. | 미소장 |
111 | 『方外之士』, 정신세계원, 2005. | 미소장 |
112 | 『8체질 의학의 원리』, 통나무, 2007. | 미소장 |
113 | 『한국전통음악의 미학사상』, 집문당, 2003. | 미소장 |
114 | 『現代音樂史』, 삼호출판사, 1993. | 미소장 |
115 | 『아버지의 선물』, 중앙 books, 2009. | 미소장 |
116 | 『우리국악 100년』, 현암사, 2003. | 미소장 |
117 | 『중국 도가의 음악사상』, 서광사, 1997. | 미소장 |
118 | 『한국의 음악사상』, 민속원, 2002. | 미소장 |
119 | 『악기로 본 삼국시대 음악 문화』, 책세상, 2005. | 미소장 |
120 | 『한국 고대 음악사상』, 예문서원, 2007. | 미소장 |
121 | 『예기․악기』, 책세상, 2007. | 미소장 |
122 | 『莊子의 예술 정신』,서광사, 2008. | 미소장 |
123 | 『고려시대 음악사상』, 소명출판, 2009. | 미소장 |
124 | 『아악혁명과 문화영웅 세종』, 소나무, 2010. | 미소장 |
125 | 『音樂漫筆』, 音樂藝術社, 1976. | 미소장 |
126 | 『미학적 음악론』, 正音文化社, 1986. | 미소장 |
127 | 『음악미학』, 音樂世界, 2006. | 미소장 |
128 | 『음악은이 1․2』, 세광음악출판사, 1991. | 미소장 |
129 | 『노자 도덕경』, 범우사, 2011. | 미소장 |
130 | 『깊은 밤, 그 가야금소리』, 풀빛, 1994. | 미소장 |
131 | 『西洋音樂史』, 수문당, 1979. | 미소장 |
132 | 『History of Music』, Harper & Row Publishers Inc.. New York, 1973. | 미소장 |
133 | 조선시대 '금명'의 미학적 경계 연구 | 소장 |
134 |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과 현대성에 관한 소고」,『음악논단 제15집』,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01. | 미소장 |
135 | 「존 케이지 음악에 있어서 주역(周易)」,『서양음악학 제12-2호』, 한국서양음악학회, 2001. | 미소장 |
136 | 「한국 거문고 음악사상 고찰」,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08. | 미소장 |
137 | 근현대 한국음악가의 음악사적 업적 조명 | 소장 |
138 | 조성의 시간 구조 : 음악 심리학적 고찰 | 소장 |
139 | 중국철학의 본체론 | 소장 |
140 | 『禮記』「樂記」의 `樂施篇' 음악학적 해석 | 소장 |
141 | 「대사와 운 시리즈에 나타난 한국적 색채」,『월간음악 통권 103권』, 월간음악사, 1979. | 미소장 |
142 | 현악기의 소리전달 방법 연구 : 거문고의 주파수 대역과 마이킹(Miking) 중심으로 | 소장 |
143 | 「당대 중국 고대음악 미학사상 연구 현황」,『음악과 민족 24호』, 민족음악학회, 2002. | 미소장 |
144 | 거문고 전통교육 방법의 연구 ![]() |
미소장 |
145 | 마이크로폰 시스템에 따른 거문고의 음색 변화 : 스튜디오에서의 마이크로폰의 다양한 지향성 패턴 및 스테레오 마이킹 테크닉에 따른 거문고의 음색 특성 연구 | 소장 |
146 | 수신을 위한 차와 거문고음악의 역할에 관한 비교연구 | 소장 |
147 | 음악철학의 이해 | 소장 |
148 | 거문고 연주의 음색분석과 미디재현에 관한 연구 | 소장 |
149 | 거문고의 악도(樂道) | 소장 |
150 | 전통 음악의 새로운 인식 ![]() |
미소장 |
151 | 조선시대 변례에 대한 연구 : 상복 변례와 그 예률 해석방법의 변화를 중심으로 | 소장 |
152 | 이만방의 <우리가 함께 부르는 노래> (2006) 연구 | 소장 |
153 | 「『고산유고』를 통해본 윤선도의 거문고 인식」,『인문과학 제44집』, 성균관대 인문사회연구소, 2009. | 미소장 |
154 | 「거문고 음악의 정신성에 대한 재음미」,『동아시아의 현악기』, 국립국악원․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부설 동양음악연구소, 1996. | 미소장 |
155 | 거문고 창작음악의 역사적 전개와 미학적 특징 | 소장 |
156 | 고구려 문화전통과 거문고 | 소장 |
157 | 「세계화 시대와 거문고 음악」,『문학사상 통권 376호』, 문학사상사, 2004. | 미소장 |
158 | 조선시대 거문고 수양정신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 소장 |
159 | 『거문고 교본』, 은하출판사, 2003. | 미소장 |
160 | 『공동번역 성서』, 대한성서공회, 보진재, 1990. | 미소장 |
161 | 『뉴에이스 漢韓辭典』, 金星敎科書, 1994. | 미소장 |
162 | 『동아일보』(2005. 5. 13.) | 미소장 |
163 | 『東亞 漢韓大辭典』, 東亞出版社, 1995. | 미소장 |
164 | 『正樂 거문고譜』, 은하출판사, 2001. | 미소장 |
165 | 『월간문학 통권 218호』, 월간문학사, 1987. | 미소장 |
166 | 『음악대사전』, 미도문화사, 1977. | 미소장 |
167 | 『國樂大事典』, 世光音樂出版社, 198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