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지역 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역 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신예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2.8
청구기호
TD 712 -12-187
형태사항
x, 26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7051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도시설계전공, 2012.8. 지도교수: 구자훈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5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1. 연구의 배경 17

2. 연구의 목적 2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3

1. 연구의 내용 및 관점 2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5

제2장 기존 연구검토와 이론적 고찰 29

제1절 기존 연구검토 및 시사점 29

1. 문화를 활용한 지역만들기 관련 연구 29

2. 지역만들기, 지역문화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 관련 연구 30

3. 지역공동체 역량 관련 연구 33

4. 연구의 착안점 39

제2절 지역공동체 역량의 개념 41

1. 지역공동체(Community)의 개념 및 유형 41

2. 역량의 개념 53

3. 지역공동체 역량의 개념 56

제3절 지역공동체 역량강화의 개념 65

1. 지역공동체 역량강화의 개념적 이해 65

2. 지역공동체 역량강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67

3. 지역공동체 역량강화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 70

제4절 자발적 참여에 의한 지역만들기와 지역문화 활성화 74

1. 주민 주도의 지역 만들기 74

2. 자발적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문화 활성화 81

제3장 분석의 틀 설정 및 연구의 설계 87

제1절 지역공동체 역량과 역량강화의 구성요소 및 관계 87

1. 지역공동체 역량의 구성요소 및 관계 87

2. 지역공동체 역량강화의 구성요소 및 관계 97

3. 지역공동체 역량과 지속적 참여, 참여확대와의 관계 102

제2절 연구의 설계 107

1. 연구모형 및 기본가설의 설정 107

2. 연구의 분석체계 및 방법 109

3. 연구대상의 선정 117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121

1. 지역공동체 역량의 진단항목 설정 124

2. 지역공동체 역량강화의 측정항목 설정 136

3.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한 구성요소 및 항목 검증 139

4.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146

5. 가설적 연구모형의 설정 155

제4장 지역공동체의 역량모델 분석 156

제1절 연구대상의 개요 156

1. 성남시 문화예술 창조도시 정책 156

2.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 : 지역 만들기 공동체 160

3. 사랑방 문화클럽 네트워크 사업 :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163

제2절 지역만들기 공동체의 역량모델 분석 167

1. 설문개요 및 표본의 일반적 특성 167

2. 지역만들기 공동체의 역량 인식실태 169

3. 지역만들기 공동체 역량모델의 신뢰 및 타당성 검증 174

4. 지역만들기 공동체 역량모델의 분석 및 결과 181

제3절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모델 분석 190

1. 설문개요 및 표본의 일반적 특성 190

2.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에 대한 인식실태 192

3. 지역문화활동 공동체 역량모델의 신뢰 및 타당성 검증 197

4. 지역문화활동 공동체 역량모델의 분석 및 결과 204

제4절 지역공동체 역량모델 비교분석 213

1. 지역공동체 형성 및 참여동기에 대한 인식차이 213

2. 지역공동체 역량모델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218

3. 지역만들기를 위한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방안 233

제5장 결론 243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43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246

참고문헌 249

부록 269

부록1. 지역공동체 역량의 영향관계 및 인식실태조사 설문지 269

부록2. 전문가 심층면접 가이드라인 277

부록3. 전문가 심층면접 결과자료 278

ABSTRACT 281

〈표 2-1〉 문화를 활용한 지역 만들기 관련 기존 연구동향 30

〈표 2-2〉 도시재생 측면에서의 주민참여 관련 기존 연구동향 32

〈표 2-3〉 지역 만들기,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 관련 기존 연구동향 33

〈표 2-4〉 주민참여와 사회적 자본 관계 관련 기존 연구동향 34

〈표 2-5〉 주민참여와 사회적 자본/시민역량과의 영향관계 모형 검토 36

〈표 2-6〉 지역공동체 역량 관련 기존 연구동향 37

〈표 2-7〉 지역공동체의 정의 42

〈표 2-8〉 시대변화에 따른 공동체의 의미변화 45

〈표 2-9〉 분야 및 활동방식에 따른 지역공동체 유형 48

〈표 2-10〉 각 지역사회 유형별 사회적 통합형태 49

〈표 2-11〉 본 연구에서의 공동체 유형에 대한 관점 설정 52

〈표 2-12〉 역량에 대한 일반적 개념정의 53

〈표 2-13〉 역량모델의 개념 및 구성요소 54

〈표 2-14〉 핵심역량모델의 구성요소 및 범주 55

〈표 2-15〉 지역공동체 역량의 형성영역에 대한 논의 58

〈표 2-16〉 지역개발, 커뮤니티 개발 관점에서의 지역공동체 역량 정의 59

〈표 2-17〉 보건/복지/사회학 관점에서의 지역공동체 역량 정의 59

〈표 2-18〉 지역공동체 역량의 유사개념과의 비교검토 63

〈표 2-19〉 역량강화의 정의 65

〈표 2-20〉 역량강화의 개념적 대조 67

〈표 2-21〉 사회학습이론에서의 역량강화 효과 69

〈표 3-1〉 도시재생적 관점의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검토 88

〈표 3-2〉 Chaskin(2001)의 지역공동체 역량 개념 및 구성 89

〈표 3-3〉 일반적 관점에서의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검토 91

〈표 3-4〉 참여수준과 권한의 관계 99

〈표 3-5〉 구조방정식 검토 및 선정 112

〈표 3-6〉 지역(마을)만들기 및 지역(문화)활동 사례 비교 120

〈표 3-7〉 도시재생적 관점의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및 진단항목 121

〈표 3-8〉 일반적 관점의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및 진단항목 122

〈표 3-9〉 개인역량 진단항목 및 진단지표의 1차 도출 127

〈표 3-10〉 참여역량 진단항목 및 진단지표의 1차 도출 131

〈표 3-11〉 사회적 관계의 유형 134

〈표 3-12〉 조직-주민관계성 차원의 측정항목 135

〈표 3-13〉 관계역량 진단항목 및 진단지표의 1차 도출 135

〈표 3-14〉 이영아 외(2008)에서의 역량강화 분석항목 137

〈표 3-15〉 지속적 참여의도의 측정항목 1차 도출 137

〈표 3-16〉 지속적 참여의도의 측정항목 1차 도출 138

〈표 3-17〉 전문가 심층면접의 주요 내용 139

〈표 3-18〉 FGI 응답자 현황 140

〈표 3-19〉 구성요소 도출과정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반영사항 140

〈표 3-20〉 구성요소 및 항목설정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반영 141

〈표 3-21〉 FGI 의견 반영 및 최종항목 선정 143

〈표 3-22〉 개인역량의 구성요소 및 진단항목(최종) 148

〈표 3-23〉 참여역량의 구성요소 및 진단항목(최종) 150

〈표 3-24〉 관계역량의 구성요소 및 진단항목 (최종) 152

〈표 3-25〉 지속적 참여의 구성요소 및 측정항목(최종) 153

〈표 3-26〉 참여확대의 구성요소 및 측정항목(최종) 154

〈표 4-1〉 우리 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계획과 주요내용 161

〈표 4-2〉 사랑방 문화클럽 네트워크 구축사업계획과 주요내용 164

〈표 4-3〉 성남시 문화클럽 현황 165

〈표 4-4〉 성남시 문화클럽 유형별 특징 166

〈표 4-5〉 지역 만들기 공동체 표본의 일반특성 168

〈표 4-6〉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인식실태 170

〈표 4-7〉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 진단항목 인식실태 171

〈표 4-8〉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강화 구성요소 인식실태 173

〈표 4-9〉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강화 측정항목 인식실태 173

〈표 4-10〉 1차 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집중타당성 검증결과(지역만들기) 175

〈표 4-11〉 1차 모델의 변수 간 상관관계 및 AVE제곱근 값(지역만들기) 176

〈표 4-12〉 1차 모델의 전체 적합도 검증결과(지역만들기) 177

〈표 4-13〉 2차 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집중타당성 검증결과(지역만들기) 179

〈표 4-14〉 2차 모델의 전체 적합도 검증결과(지역 만들기) 180

〈표 4-15〉 2차 모델의 변수 간 상관관계 및 AVE제곱근 값(지역 만들기) 180

〈표 4-16〉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모델의 경로분석 결과 181

〈표 4-17〉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간 경로계수(1차) 183

〈표 4-18〉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과 지속적 참여, 참여확대의 영향계수(1차) 186

〈표 4-19〉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의 지속적 참여~참여확대 간 영향계수(1차) 189

〈표 4-20〉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표본의 일반특성 191

〈표 4-21〉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인식실태 193

〈표 4-22〉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 진단항목 인식실태 194

〈표 4-23〉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강화 구성요소 인식실태 195

〈표 4-24〉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강화 측정항목 인식실태 196

〈표 4-25〉 1차 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집중타당성 검증결과(지역문화활동) 198

〈표 4-26〉 1차 모델의 변수 간 상관관계 및 AVE제곱근 값(지역문화활동) 199

〈표 4-27〉 1차 모델의 전체 적합도 검증결과(지역문화활동) 200

〈표 4-28〉 2차 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과 집중타당성 검증결과(지역문화활동) 202

〈표 4-29〉 2차 모델의 전체 적합도 검증결과(지역문화활동) 203

〈표 4-30〉 2차 모델의 변수 간 상관관계 및 AVE제곱근 값(지역문화활동) 203

〈표 4-31〉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모델의 경로분석 결과 204

〈표 4-32〉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간 경로계수(1차) 207

〈표 4-33〉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과 지속적 참여, 참여확대의 영향계수(1차) 209

〈표 4-34〉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 1차 요인모델의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 관계 영향계수 212

〈표 4-35〉 지역공동체 역량의 진단항목의 인식차이 분석결과 : 독립표본 t-검증 220

〈표 4-36〉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측정항목의 인식차이 분석결과 : 독립표본 t-검증 222

〈표 4-37〉 참여역량에 대한 개인역량, 관계역량의 영향계수 비교분석 227

〈표 4-38〉 참여역량에 대한 개인역량의 영향계수 비교분석 228

〈표 4-39〉 지속적 참여에 대한 지역공동체 역량의 영향계수 비교분석 230

〈표 4-40〉 참여확대에 대한 지역공동체 역량의 영향계수 비교분석 231

〈표 4-41〉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 간 영향계수 비교분석 232

〈표 4-42〉 공동체별 1차적 역량강화 요인 233

〈표 4-43〉 참여역량 강화의 주요 요인 234

〈표 4-44〉 관계역량 강화의 주요 요인 235

〈표 4-45〉 지속적 참여를 위한 역량강화 요인 236

〈표 4-46〉 참여확대를 위한 역량강화 요인 237

(그림 1-1) 지역 만들기에 있어서의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필요 20

(그림 1-2) 연구의 구성 및 연구방법 27

(그림 2-1) 공간특성, 국토관리활동과 사회적 자본의 구조모형 35

(그림 2-2) 협력적 거버넌스와 사회적 자본의 구조모형 35

(그림 2-3) 지역공동체의 개념적 이해 47

(그림 2-4) 본 연구에서의 지역공동체 구성에 따른 유형 52

(그림 2-5) 중개구조로서의 지역 활동조직=커뮤니티 거버넌스 구조 71

(그림 2-6) 사회적 자본을 통한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73

(그림 2-7) 경제적 자본을 통한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73

(그림 2-8) 지역 만들기의 구조적 개념 75

(그림 2-9) 지역 만들기의 참여의 이행단계 77

(그림 2-10) 문화예술의 사회화에 따른 지역사회 효과 79

(그림 2-11)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 만들기의 유형별 프로세스와 한계 80

(그림 2-12) 지역문화의 생산과 소비체계 82

(그림 3-1) 지역공동체 역량과 역량강화를 위한 관계적 구조 90

(그림 3-2) 본 연구에서의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91

(그림 3-3) 사회적 자본의 형성 92

(그림 3-4) 사회적 자본의 투입과 산출요소 93

(그림 3-5) 기존 연구에서의 사회적 자본 영향구조 개념 94

(그림 3-6)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간 관계설정 97

(그림 3-7) 본 연구에서의 지역공동체 역량의 영향범위설정 98

(그림 3-8) 주민참여의 사다리 100

(그림 3-9) 본 연구에서의 역량강화 수준 및 구성요소 102

(그림 3-10) 행동이론(Theory of Action)의 모형 103

(그림 3-11) 본 연구에서의 영향구조 모형 107

(그림 3-12) 본 연구에서의 분석체계 109

(그림 3-13) 본 연구에서의 영향관계 분석의 흐름 110

(그림 3-14) 구조방정식의 분석방법 111

(그림 3-15) 연구대상의 선정 이슈 119

(그림 3-16) 가설적 연구모형 설정 155

(그림 4-1) 시민이 만드는 문화도시의 정책 추진단계 157

(그림 4-2) 성남시 문화정책 및 사업 개념도 157

(그림 4-3) 성남시 문화비전 포지셔닝 158

(그림 4-4) 성남시 문화프로젝트 네트워크 159

(그림 4-5) 문화프로젝트의 포지셔닝 전략 160

(그림 4-6) 성남시 문화클럽 유형분석 결과 166

(그림 4-7)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의 1차 요인모델 구조 및 경로분석 178

(그림 4-8) 지역 만들기 공동체 역량의 2차 요인모델 구조 및 경로분석 182

(그림 4-9)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의 1차 요인모델 구조 및 경로분석 201

(그림 4-10)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역량의 2차 요인모델 구조 및 경로분석 205

(그림 4-11) 지역공동체의 궁극적 목적 213

(그림 4-12) 지역 활동의 범위 인식 214

(그림 4-13) 참여조직의 활동유형 214

(그림 4-14) 지역 만들기,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조건 215

(그림 4-15) 지역 활동의 비참여 원인 216

(그림 4-16) 지역 활동의 참여 동기 217

(그림 4-17) 참여방법 218

(그림 4-18)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 차이분석 219

(그림 4-19) 지역공동체 역량의 측정항목에 대한 인식 차이분석 219

(그림 4-20)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 차이분석 222

(그림 4-21)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측정항목에 대한 인식 차이분석 223

(그림 4-22)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 간 영향계수 비교분석 224

(그림 4-23) 지역공동체 역량~지속적 참여, 참여확대의 영향계수 비교분석 224

(그림 4-24) 지속적 참여~참여확대의 영향계수 비교분석 225

(그림 4-25) 지역 만들기의 참여프로세스 233

(그림 4-26)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체계 (framework) 242

(그림 4-27)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역량강화 242

초록보기 더보기

지역만들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어 온 물리적 공간계획의 장소적 재생과 더불어 지역주민들의 실질적 삶을 이루는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재생이 필요하다. 이는 지역 만들기의 실질적 주체인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하지만 지역주민은 무한한 자원이 아니며, 지역주민 스스로 지역문화를 만들고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자발적 참여와 주민주도의 지역만들기를 위해 지역공동체 역량이 중요하고, 역량을 향상시키고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 역량의 구성요소로서 개인역량, 참여역량, 관계역량으로 구분하고 역량강화의 단계별 수준으로서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어떤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지역성 기반의 지역만들기 공동체와 자발성 기반의 지역문화활동공동체 간의 역량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 지속적 참여를 위한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어떤 지역이나 장소를 함께 공유하는 공간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감, 소속감을 느끼며 행동이나 목적을 같이하는 집단으로 지역공동체를 개념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공동체 역량을 지역주도의 지역 만들기,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 지역주민들이 지역문제를 스스로 찾아내고, 해결할 수 있는 주체적 의식/행동과 상호작용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지역공동체 역량모델의 분석결과, 지역 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 간에는 역량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지역공동체 구성요소 간 관계에서는 지역만들기 공동체의 참여역량은 개인역량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는 관계역량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만들기 공동체의 경우, 지역에 대한 인식, 행동역량 등의 지역중심적 성격이 참여역량을 높이는 반면,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는 특정목적과 가치를 공유하고자 하는 관계지향적 성격이 참여역량을 높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지역공동체 역량 구성요소와 지속적 참여, 참여확대와의 관계에서는 지역만들기 공동체 경우, 지역에 대한 개인의 다양한 인식과 능력, 그리고 지역 활동으로 형성된 관계형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지는 반면,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는 지역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능력보다는 지역문화 활동으로 형성된 다양한 관계, 참여환경, 참여활동 효과에 대한 기대로 인해 지속적 참여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만들기 공동체는 지역 및 생활에 대한 만족, 자율적 행동능력, 그리고 참여환경에 대한 긍정적 인식, 참여활동의 효과 기대가 높을수록 참여를 확대하고자 하는 의도를 높이는 반면,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는 개인적 인식과 능력에 의해서만 참여확대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와의 관계에서는 지역만들기 공동체의 경우, 지속적 참여의도가 높다하더라도 반드시 참여확대로 이어지지 않고 오히려 지역의 한정하여 참여활동을 이어가려는 경향으로 이해할 수 있고,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경우, 지속적으로 참여하려는 의도가 높은 경우 주변지역과 다른 조직과의 연계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역 만들기를 위한 지역공동체 역량 강화 방안과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체계를 제안하였다. 1) 지역공동체 역량강화의 원칙으로서 지역사회 애착증진, 자발적 문제의식의 성장, 요구수립 및 문제해결 과정인식, 자발적 조직화가 필요하다. 2) 커뮤니티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지역 비전 및 가치의 공유, 자율적 행동역량강화를 지원, 신뢰와 협력에 기반을 둔 집합적 문제해결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3) 지역 만들기에 대한 공공의 행·재정적 지원에 있어 매개조직으로서 지역공동체 형성 또는 활동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문화 활동이 가지는 자율적 참여활동과 사회공헌활동으로의 진화를 고려하여, 지역문화 형성을 통한 개인, 참여, 관계역량의 강화,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를 유도해야 한다. 4) 지역공동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매개조직으로서 지역주민들과 함께 지역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 플랫폼으로서 공간적 인프라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5) 지역 만들기에 있어 자발적, 자율적 참여, 나아가 지속적 참여, 참여확대로의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비참여~참여(주민참가단계), 지속적 참여(주민기획 및 주도단계), 참여확대(지역네트워크단계)의 단계별 역량강화 계획 및 모델구축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25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1),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아카넷 미소장
2 (The) Effects of placeness of collaborative virtual workplace on socio-spatial behaviors 소장
3 (2008), 현대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형성 전략, 「한국사회와공동체」, 다산출판사. 미소장
4 (1996), 「사회구조와 행위」, 나남출판 미소장
5 (2003), 「사회연결망이론」, 박영사 미소장
6 (2006), 「시민이 참가하는 마치즈쿠리: 전략편」, (진영환외 역),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7 (2006), “시민이 참가하는 마치즈쿠리-참가, 참획, 주도”, 「시민이 참가하는 마치즈쿠리: 전략편」,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8 (2006),「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 집문당. 미소장
9 (2004),「시민들이 참여하는 마을 만들기」, 목원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0 (2006),「사이버공동체발전론」, 집문당. 미소장
11 (2007), “지역공동체와 젠더 차이”, 「시민들의 사회참여와 시민공동체」, 한국학 중앙연구원, 백산서당. 미소장
12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 자본적 속성에 관한 연구 : 사회 자본에 대한 개념적 탐색을 중심으로」, 미디어경제와 문화, 커뮤니케이션 북스. 미소장
13 (2000),「지역사회학」,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4 (2003), 「도시・지역・환경」, 도시출판한울 미소장
15 커뮤니티디자인센터(2009), 커뮤니티를 디자인하다, 나무도시. 미소장
16 지역사회 애착도가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장
17 Study on Participation Capacity, Proces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Citizens` Active Policy Involvement 소장
18 (2004), “주거환경정비계획에서 주민참여방식의 역할과 개선방안 연구 : 2004년 서울시 주거환경정비계획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9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 활성화 방안 소장
20 도심활성화에서 신예술가집단의 역할 : 전주한옥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21 (2008), “주민참여 도시계획이 사회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지역문화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광주비엔날레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23 도시계획 의사결정과정의 거버넌스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 순천만 보전사례의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24 (2010), “예술창작촌의 장소형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5 내생적 발전(Endogenous Development) 개념 적용에 따른 문화도시의 지속가능성 연구 :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를 중심으로 소장
26 주거지 정비사업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휴먼타운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소장
27 중소형 공공 문화시설의 지역 네트워크 연구 : 부산광역시 중구 지역 네트워크 모델 연구 소장
28 후기 산업 사회의 도시 재생과 주민 참여에 관한 연구 : 일본 토요나카시(豊中市)의 '마을 만들기(まさづくり)'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29 도시계획의 패러다임 전환과 의사소통이론 소장
30 The Evolution of " Matzizukuri " and the Public Participation in the Urbanization of Japanese Sociery 소장
31 A study on mobilization of civil participation to build social capital of community 소장
32 지역공동체 형성에 대한 연구 : '금샘사랑방 문화클럽'과 '남산동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소장
33 커뮤니티의 상호활동적 특성을 고려한 주거환경개선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 중소도시 군산, 마산을 중심으로 소장
34 지역시민사회의 역량이 지방정부의 정책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장
35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주민운동조직의 권능강화(empowerment)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주민운동조직을 사례로 소장
36 커뮤니티 아트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소장
37 주민참여형 주거지 정비사업에서 주민의 사회적 관계변화 영향요인 분석 : 서울휴먼타운 시범사업 계획수립과정을 중심으로 소장
38 임파워먼트를 위한 지역사회 조직 사례연구 : 광명YMCA 생활협동운동을 중심으로 소장
39 주민참여를 통한 문화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 소장
40 마을 만들기 사업 구성요소로서의 새로운 예술공동체 모델 연구 소장
41 일상문화활동과 문화예술매개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 소장
42 (2006),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중심으로”,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3 (2005), “한국의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내포문화권을 중심으로”,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4 마을실천계획을 통한 지역사회 역량형성에 관한 연구 : 철암동 지역재활성화과정을 사례로 소장
45 지역 문화공간으로서의 예술촌 연구 : 다자와코예술촌(田澤湖藝術村)과 민들레연극마을 사례 중심으로 소장
46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 연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소장
47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한·중 비교연구 : 서울 문래동예술촌과 북경 798대산자예술구를 중심으로 소장
48 한국사회의'시민됨'형성과정 : 자발 결사체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소장
49 아파트 단지 내 사이버 공동체 콘텐츠 유형화와 거주자 평가 소장
50 후기 근대 지역공동체의 성찰적 동학 소장
51 도시계획과정에서의 주민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 하남시 도시계획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52 지역주민 관계성이 지자체 활동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집단효능감(Collective Efficacy)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소장
53 소통과 협력을 통한 역사환경 보전 계획과정 연구 : 서울 인사동과 북촌 계획 사례 소장
54 (2002), “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 거버넌스 체계에서 합의형성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5 주민조직 리더십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사동, 부평 문화의 거리, 건대앞 노유 로데오거리 중심으로 소장
56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네이버 미소장
57 지역사회조직화(Community Organizing)의 실천사례에 관한 연구 : 관악사회복지의 네트워크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소장
58 마을만들기에서 지역문화자원 활용에 관한 고찰 소장
59 지역 사회자본과 축제파트너십, 축제정책네트워크, 축제거버넌스 관계 연구 소장
60 지역사회 변화전략으로써의 자원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 사회자본(Social Capital) 관점 적용 소장
61 (2003), “패러다임 변화와 공동체의 통합개념 구축”, 「한국농촌사회 」, 13권2호, pp.7-40. 미소장
62 A Study on the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and Approaches' Direction of Community Capacity for Utilizing as the Community Welfare's Asset-The Case of Je-Ju-Do 소장
63 농촌마을공동체의 역량강화 사례연구 소장
64 동네관련 사회자본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장
65 Influential Factors on Neighborhood Organization Participation and Its Psychological Effect 소장
66 A Study on the Neighborhood Effect on Community Social Capital 소장
67 왜? 우리시대 레지던시 창작공간이 인기 있을까 네이버 미소장
68 조직과 공중간의 관계성을 이루는 요인 및 이의 고객 만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쇼핑몰을 중심으로 소장
69 (2003), “일상적 삶터로서의 지역공동체 : 관계와 연대를 형성하는 장으로서의 도시사회”, 「사회조사연구」 제18집.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미소장
70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주민역량강화 효과성 분석 : 푸른 경기 21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소장
71 문래창작촌의 장소성과 창조네트워크 특성 소장
72 (2008), “성남시의 사랑방 문화클럽 - 시민이 만드는 문화도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지 1권 1호. 미소장
73 축제개최지 지역주민의 참여행동 연구 소장
74 대인신뢰에 대한 가치관과 단체참여의 영향 : 어떤 가치관과 단체참여가 사회적 자본을 배태시키나? 소장
75 (2007), “주민참여형 지역발전과 주민 역량강화”, 「지역과 농업」 2호 미소장
76 Articles : Toward Developing Social Capital Indicators 소장
77 The Logic of Connecting Local Autonomy System with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Accumulating Social Capital 소장
78 Collaborative Governance in Local Cultural Service -The Case of Birmingham City Council, England- 소장
79 (2002), “지역주민의 시민의식과 정치참여에 대한 경험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0 (2000), “도시공동체 운동의 현황과 전망”, 「도시연구」6권, 한국도시연구소, pp.51-81. 미소장
81 (2007), “주민참여에 의한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사업에서 참여주체의 관계구도와 역할에 관한 연구 –안동 군자마을을 중심으로”,... 미소장
82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를 위한 추진주체의 관계구도 특성 연구 :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사업을 대상으로 소장
83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nd Community Health Nursing 소장
84 협력적 계획을 통한 도시계획 합의 과정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소장
85 살기 좋은 국토 공간 만들기를 위한 주민참여와 협력 방안 : 마을과 도시 만들기를 중심으로 소장
86 근대사회이론에서 공동체 의미에 대한 비판적 연구 소장
87 Resolution of Interest Conflict on Urban Development through Resident-Participation 소장
88 민주주의,사회적 신뢰,사회적 자본 소장
89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소장
90 Civil Society and Civic Capital: Market-Relationship Model 네이버 미소장
91 기획특집 :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 지역만들기에 있어 민간 파트너십 네이버 미소장
92 도시재생 참여 주체로서 사회적 기업의 가능성 소장
93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 through AHP Analysis on the Urban Renaissance Program 소장
94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의 사업주제 및 추진주체 분석 소장
95 풀뿌리 거버넌스와 주민 참여적 지역 만들기 소장
96 The Network Analysis for Community Voluntary Organizations and Its Implcation for Community Capacity Building Toward Health Promotion 소장
97 Revitalizing Urban Space and Cultivating Its Creativity by Culture and Arts: A Case Study of Seoul Art Spaces Geumcheon, Mullae, and Seogyo 소장
98 (2003), “도시공동체론 : 지역사회에의 도전”, 한국도시연구소, pp.83-115. 미소장
99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the Recovery of Publicness 소장
100 Si Kahn의 『지역복지 실천 전략』에 대해 : 「지역복지 실천 전략」, Si Kahn 著 ; 이문국·이인재 共譯 <書評> 소장
101 사회자본이 거버넌스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무원과 시민단체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소장
102 A Preliminary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ing Programs in the Community Based Arts Education Policies 소장
103 문화예술시설을 통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예술창작스튜디오 중심으로 소장
104 Community and Empowerment 소장
105 A Study on Preferences for Apartment Interiors, Exterior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for a Family 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Focused on Apartment Dwellers in Daejeon City 소장
106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공동체 복원 방안 소장
107 Urban regeneration and roles of social enterprise 소장
108 주민참여형 주거지 정비수법 개발 네이버 미소장
109 (2000),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정비 연구」, 국토연구원. 미소장
110 Community making model initiated by Local people 네이버 미소장
111 (2009), 「국토관리 분야의 사회적 자본 확충방안」, 국토연구원. 미소장
112 (2008),「예술을 활용한 지역 만들기방안」,서울시정개발연구원. 미소장
113 (2011),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클러스터 활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미소장
114 (2005),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추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미소장
115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공동체 역량 강화 네이버 미소장
116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10), 지역사회 건강증진 역량강화를 위한 주민 및 조직네트워크 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 미소장
117 (2003),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미소장
118 성남문화재단 (2005), 「문화예술창조도시 성남 만들기 기본계획 연구」 미소장
119 성남문화재단 (2006), 「사랑방 문화클럽 실태 및 욕구조사」 미소장
120 성남문화재단 (2008), 「성남문화재단 5대 정책 연계발전방안 연구」 미소장
121 성남문화재단 (2009), 「성남문화재단 2단계 5개년 발전계획 연구」 미소장
122 성남문화재단 (2010), 「문화도시 포지셔닝 전략수립 및 실행프로그램 개발」 미소장
123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I) - 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네이버 미소장
124 서울 도시 사회의 질(Social Quality) 연구 네이버 미소장
125 활력 도시사회를 위한 시민 역량 제고(Citizen Empowerment) 정책 연구 네이버 미소장
126 (2007),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Ⅱ) 시민이 참여하는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 사례편”, 국토연구원. 미소장
127 (2011), 「지역자산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미소장
128 (2008), 「시민참여형 도시정비를 위한 시민역량 강화방안」, 국토연구원. 미소장
129 한국도시연구소 (2000), 「현장에서 배우는 주민조직방법론」 미소장
13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문화클럽 조성 및 활성화 방안」 미소장
13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공동체 활동 관련 사례분석 및 지원방안」 미소장
132 어디서나 살기좋은 국토만들기 네이버 미소장
133 (2006),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비전과 과제”, 국가균형발전 위원회,「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 한국 사회의 질적 발전을 위한 구상」,... 미소장
134 (2008), 「도시 속 공동체 형성 포럼 자료집」, 성미산마을 내부자료 미소장
135 (1999), 「도시공동체 복원을 위한 아파트 주민운동」, 「문화, 환경 그리고도시 : 새 밀레니엄을 위한 도시담론과 정책」, 한국도시연구소 연례... 미소장
136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NJ: Prentice-Hall, Inc. 미소장
137 (1979), Organizaions and environment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미소장
138 (1994), Reflexive Modernization (성찰적 근대화, 1998, 임형진, 정일준 역), 한울 미소장
139 (2000), Community and neighborhood organization, Handbook of community psychology 미소장
140 (1973), The sociology of community, Scott, Foresman (Glenview, Ill) 미소장
141 (1984), Out of Line of a Theoty of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2 (1986), The forms of Capital, John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 미소장
143 (1998a),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 (Ed.), Modern Methods for... 미소장
144 (1992),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Massachusetts : The MIT Press. 미소장
145 (1990), Foundation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6 (1993), Communities within Cities, London Belhaven Press. 미소장
147 (1989), Psychological and community issues, The Planning and Evaluation of Hallmark Events. 미소장
148 (1984). Building theory in public relations: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Paper presented to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미소장
149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미소장
150 (1999), The deliberative practitioner : Encouraging participatory planning process, Cambrige, MA : MIT. 미소장
151 (1973), Retracking America : A Theory of Transactive Planning, Anchor Press. 미소장
152 Problem-Solving Methodology Design on the Run 네이버 미소장
153 (1995), Trust, The Social Virtue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미소장
154 (2004), State-Building : Governance and World Order in the 21st Century, THACA. New York : Cornell University Press. 미소장
155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포스트모더니티, 2001, 이윤희, 이현희 역), 민영사. 미소장
156 (1997), The good governance imperative, in Grindle, M (eds) Getting good government, Capacity building in the public sectors of... 미소장
157 (1987),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1 Boston : Beacon Press. 미소장
158 (1997), Collaborative Planning, UBC Press. 미소장
159 (2001), Community Organizing and Development, Merrill Publishing Company. 미소장
160 (1994), Co-ordination Growth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through Consensus Building 미소장
161 Democracy and the Environment: Problems and Prospects Edited by William M. Lafferty and James Meadowcroft 네이버 미소장
162 (1990), Political Network : The Structural Perspective,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63 Structure-based drug design of antirhinoviral compounds. 네이버 미소장
164 (2000). A longitudinal study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dimensions: Defining the role of communication in the practice of... 미소장
165 (2002), Social capital :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66 (2006), Artist's Centers : Evolution and Impact on Careers, Neighborhoods and Economics, University of Minnesota. 미소장
167 (1994), Organizing for Power and empowerment,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168 (1977). The social bond. New York: Knopf. 미소장
169 (1987), Psychometric Theory, McGraw Hill, New York 미소장
170 (2003), 협력적 계획 : 분절된 사회의 협력과 거버넌스(권원용, 서순탁 역),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171 (1991), Communes and the green vision : counterculture, lifestyle and the New Age, Green Print. 미소장
172 Introduction 네이버 미소장
173 Boson-Fermion model of superconductivity 네이버 미소장
174 (1993), Making Democracy Work, New Jersey, Princeton Univ. 미소장
175 (1994), The Collapse &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미소장
176 (2000), Bowling Alone :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 Touchstone. 미소장
177 (1958), Case histories in community organizations, New york : Harper & Brothers Publishers. 미소장
178 (1993).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민병모 외 역(2003).... 미소장
179 (1997), Building Community Strengths : A Resource Book on Capacity Building, London : Community Development Foundation. 미소장
180 (1982), Community, Anarchy and Liberty (2006, 송재우 역), 이학사 미소장
181 Who Participates, Who Does Not, and Why? An Analysis of Voluntary Neighborhood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네이버 미소장
182 (1977), Social change and human purpose toward understanding and action, Chicago : Rand McNally Publishing Company. 미소장
183 (1977), The neighborhood organizer's handbook. Norte Dame, Ind. :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미소장
184 (1996), Unhealthy societies : the afflications of inequality, London : Routledge and Kegan Paul. 미소장
185 (2000), “Empowerment Theory”, in J. Rappaport & E. Seidman (eds), Handbook of community Psychology. 미소장
186 ABCD Institute (1995), Discovering Community Power A Guide to Mobilizing Local Assets and Your Organizations capacity,... 미소장
187 (2000), Assessing Community Capacity for Change, Alberta : David Thompson Health Region and Four Worlds Center for Development... 미소장
188 (1998), Promoting health by building community capacity :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grantmakers. Denver, CO : The Colorado... 미소장
189 (2001), Measuring Capacity Building CAPACITY, MEASURE Evaluation. 미소장
190 (1993), Building Communities from the inside out : a path toward finding and mobilizing a community’s asset, The Asset-Based... 미소장
191 (1996), Mapping Community Capacity, Institute for Public Research, Northwestern University. 미소장
192 (1992). Community-Based Development and Local Schools: A Promising Partnership. ABCD Institutes. 미소장
193 (2011), A Neighborhood Planning Process : That is Created and Implemented by Local Residents, ABCD Institutes. 미소장
194 (2009), Community Capacities and Community Necessities, the “From Clients to Citizens Forum,” Coady International Institute, St.... 미소장
195 OECD (2002).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Strategy Paper. 미소장
196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미소장
197 OECD (2005).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미소장
198 (2002), Building Community Capacity : How different groups contribute, Effective Communities Project, adapted from Building... 미소장
199 (2002),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 paper presented at the Australi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Education Conference. 미소장
200 A Framework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Organizations 네이버 미소장
201 New trends in urban policies in Europe: evidence from the Netherlands and Denmark 네이버 미소장
202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네이버 미소장
203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204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네이버 미소장
205 (1991). Social cognitive theory of moral thought and action. In W. M. Kurtines & J. L. Gewirtz(Eds), Handbook of moral behavior... 미소장
206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 Wood, R. E. (1989). Effect of... 미소장
207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Governance 네이버 미소장
208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네이버 미소장
209 Sense of community through Brunswik's lens: A first look 네이버 미소장
210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네이버 미소장
211 Outcomes of Collaborative Water Policy Making: Applying Complexity Thinking to Evaluation 네이버 미소장
212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네이버 미소장
213 The Causal Texture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s 네이버 미소장
214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 Comment 네이버 미소장
215 Community capacity-building: Something old, something new . . .? 네이버 미소장
216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네이버 미소장
217 Identifying and defining the dimensions of community capacity to provide a basis for measurement. 네이버 미소장
218 Understanding Empowerment Practice: Building on Practitioner-Based Knowledge 네이버 미소장
219 Toward an Interactional Conception of Community 네이버 미소장
220 (1997), “The new urbanism and the communitarian Trap”, Harvard Design Magazine, no.1, pp.1-3. 미소장
221 Definitions of community : Areas of Agreement 네이버 미소장
222 Measuring Social Capital in Five Communities 네이버 미소장
223 Assets‐based community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224 (1992), “Institutional Learning” in Lundvall, B-Ǻ(ed.),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Pinter Press, pp.23∼44. 미소장
225 A Multilevel Approach to Civic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226 Partnership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based organisations: exploring the scope for synergy 네이버 미소장
227 Evaluating community capacity: Visual re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네이버 미소장
228 (1998a). Relationship management in public relations : Dimensions of a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Public Relations Review,... 미소장
229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consumer satisfaction: The role of relationships in the satisfaction mix 네이버 미소장
230 Engaging Communities in Area-based Regeneration : The Role of Participatory Evaluation 네이버 미소장
23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in governance and decision making 네이버 미소장
232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네이버 미소장
233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네이버 미소장
234 Organizational Configurations: Cohesion, Change, and Prediction 네이버 미소장
235 Social Capital and Democracy 네이버 미소장
236 Trust,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mocracy 네이버 미소장
237 Consensus-building across Difficult Divisions: New approaches to collaborative strategy making 네이버 미소장
238 Perceptions of Self and Collective Efficacy in Community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239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네이버 미소장
240 Research Strategies for Consumer Empowerment of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네이버 미소장
24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네이버 미소장
242 Building “Community” in Mixed-Income Developments 네이버 미소장
243 (2003), “Fostering Neighborhood Democracy : Legitimacy and Accountability within Lossley Coupled Systems”, Nonprofit and... 미소장
244 (1999), "View from the City : Local Government Perspectives on Neighborhood-based Governance in community-building initiatives",... 미소장
245 The Issue of Governance in Neighborhood-Based Initiatives 네이버 미소장
246 Social Capital and New Urbanism: Leading a Civic Horse to Water? 네이버 미소장
247 Powerful Ideas About Empowerment 네이버 미소장
248 (2007), "Cultural Clusters : The Implications of Cultural Assets Agglomeration for neighborhood revitalization", Journal of Planning... 미소장
249 Conflicting Approaches to the Study of Social Capital 네이버 미소장
250 (2000), "Social Capitla : a Review and Critique , In Schuller, Tom, (eds), Social Capital : Critical Perspectives, Oxford:Oxford... 미소장
251 PLS path modeling 네이버 미소장
252 (1995),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s an Illustration.",... 미소장
253 Self-Efficacy Toward Service, Civic Participation and the Business Stud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네이버 미소장
254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네이버 미소장
255 Citizen participation, perceived contro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