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二聖山成 出土 新羅土器 硏究 / 심수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8
청구기호
TM 306 -12-31
형태사항
12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27066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 고고미술전공, 2012.8. 지도교수: 안신원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11

I. 서론 13

1. 머리말 13

2. 연구사 검토 14

1) 통일신라토기 편년 및 단계설정 14

2) 한강유역 신라 토기 연구 16

3) 이성산성 성격 및 구조 연구 19

4) 이성산성 축성주체 및 한강유역 이성산성의 위치 20

5) 문제제기 25

3. 연구목적 및 방법 26

II. 이성산성 개요 29

1. 이성산성 유구 개요 31

1) 성벽 및 문지 31

2) 집수시설 32

3) 건물지 33

4) 기타 36

2. 이성산성 출토 유물 개요 37

1) 이성산성 출토 기와 개요 38

2) 이성산성 출토 목간 연구 38

III. 이성산성 출토 토기 형식분류 40

1. 고배(高杯) 42

1-1. 유개고배(有蓋高杯) 44

1-2. 무개고배(無蓋高杯) 49

2. 대부완(臺附椀) 53

1) 속성분류 54

2) 속성 간 상관관계 검토 59

3) 형식설정 62

3. 완(椀) 65

1) 속성분류 66

2) 속성 간 상관관계 검토 68

3) 형식설정 70

4. 개(蓋) 73

1-1. 개(蓋) 73

1-2. 이형개(異形蓋) 87

5. 시루 89

6. 병류 90

1) 호형병 90

2) 장동병 91

3) 대부장경병 91

4) 편병 91

5) 편구병 91

6) 줄무늬병·덧띠무늬병 92

7. 호류 92

1) 대부배 92

2) 대부직구호 93

3) 광구단경호 93

IV. 이성산성 출토 토기 편년 및 변천과정 94

1. 이성산성 저수지 출토 토기 고찰 94

1) 고배 94

2) 대부완 95

3) 완 97

4) 개 97

5) 기타 99

2. 이성산성 주요 건물지 토기 출토 토기 고찰 101

3. 이성산성 출토 토기의 편년 및 변천과정 104

V. 출토 토기 비교를 통한 한강유역 신라산성의 변천 단계 108

1. 한강유역 신라산성 유적별 출토 토기 고찰 108

1) 설성산성 108

2) 설봉산성 109

3) 할미산성 111

4) 호암산성 112

5) 아차산성 113

6) 대모산성 114

7) 반월산성 115

8) 자미산성 116

9) 수안산성 117

10) 행주산성 118

11) 죽주산성 119

12) 호로고루 119

13) 화성 당성 120

14) 파사성 121

15) 남한산성 122

2. 한강유역 신라산성의 변천 단계 123

I 단계 :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 (6세기 중엽 ~ 7세기 중엽) 123

II 단계 : 대당전투 및 발해건국 (7세기 중엽 ~ 8세기 중엽) 124

III 단계 : 한산주 항만 및 포구 중심 군진 설치 (8세기 중엽 ~ 10세기 초) 125

VI. 결론 127

참고문헌 129

ABSTRACT 135

표 1. 연구자별 통일신라 토기 변천 단계 설정안 16

표 2. 한강유역 신라토기 연구자별 변천 단계 설정안 19

표 3. 이성산성 발굴 조사 결과 30

표 4. 이성산성 출토 토기 현황 41

표 5. 고배류 구경분포도 42

표 6. 고배류 전체높이 분포도 43

표 7. 고배류 대각높이 분포도 43

표 8. 유개고배 대각비(대각높이/전체높이)와 투공 상관관계 44

표 9. 유개고배 구연부 형식 분류 45

표 10. 대각단부 형식 분류 45

표 11. 유개고배 대각비와 기형의 상관관계 46

표 12. 유개고배 대각비와 구연부 속성 상관관계 46

표 13. 유개고배 대각비와 대각단부 속성 상관관계 47

표 14. 유개고배 속성조합 48

표 15. 유개고배 형식분류안 49

표 16. 무개고배 대각비(대각높이/전체높이)와 투공 상관관계 50

표 17. 무개고배 구연부 형식 분류 50

표 18. 무개고배 대각비와 기형의 상관관계 51

표 19. 무개고배 대각비와 구연부 상관관계 51

표 20. 무개고배 대각비와 대각단부 상관관계 52

표 21. 무개고배 속성조합 52

표 22. 무개고배 형식분류안 53

표 23. 고배 및 대부완 대각비 분포도 54

표 24. 대부완 구경 분포도 54

표 25. 대부완 전체높이 분포도 55

표 26. 대부완 대각높이 분포도 55

표 27. 대부완 동체 형식 분류 56

표 28. 대부완 구연부 형식 분류 56

표 29. 대각단부 형식 분류 56

표 30. 대부완 인화문 종류 58

표 31. 대부완 문양종류별 출토 비율 58

표 32. 대부완 문양 속성과 형식 속성 상관관계 59

표 33. 대부완 문양과 동체 형식 상관관계 60

표 34. 대부완 문양과 구연부 속성 상관관계 60

표 35. 대부완 문양과 대각단부 속성 상관관계 61

표 36. 대부완 문양과 침선 유무 상관관계 61

표 37. 대부완 속성 조합 63

표 38. 대부완 속성 조합 분포도 64

표 39. 대부완 형식분류안 65

표 40. 완 구경 분포도 66

표 41. 완 높이 분포도 66

표 42. 완 기고비(높이/구경) 분도포 67

표 43. 완 동체형태에 따른 분류 67

표 44. 완 구연부 형식 분류 68

표 45. 완 I·II형 분포 양상 68

표 46. 완 I·II형 기고비 분포 양상 69

표 47. 완 동체와 구연부 속성 분포 양상 69

표 48. 완 동체·구연부 속성 상관관계 70

표 49. 완 속성 조합 71

표 50. 완 속성 조합 분포도 72

표 51. 완 형식분류안 72

표 52. 반구형·凸자형 개 구경분포도 73

표 53. 반구형·철자형 개 높이 분포도 74

표 54. 반구형·철자형 개 높이비(높이/구경) 분포도 74

표 55. 개 단면형태에 따른 분류 75

표 56. 개 드림부 형식 분류 기준 76

표 57. 꼭지 형식 분류 기준 76

표 58. 굽형꼭지와 단추형꼭지 꼭지지름비(꼭지지름/구경) 분포도 77

표 59. 굽형꼭지와 단추형꼭지 꼭지높이비(꼭지높이/전체높이) 분포도 77

표 60. 개 인화문 종류 78

표 61. 개의 단면 및 드림부 분포 양상 78

표 62. 개 단면형태 분포도 79

표 63. 개 드림부 속성별 분포도 79

표 64. 개 꼭지와 단면형태 속성 분포 양상 80

표 65. 개 꼭지와 단면형태 상관관계 80

표 66. 개 단면형태에 따른 인화문 시문 속성 분포 양상 81

표 67. 개 단면형태와 인화문 상관관계 81

표 68. 인화문 종류 분포도 82

표 69. 개 속성조합 85

표 70. 개 속성조합 분포도 86

표 71. 개 형식분류안 87

표 72. 이형개 접시형 구경 분포도 88

표 73. 이형개 접시형 높이 분포도 88

표 74. 시루 형식 속성 분류 89

표 75. 이성산성 저수지 출토 시루 비교 90

표 76. 이성산성 출토 고배 속성별 변화 양상 95

표 77. 이성산성 출토 대부완 속성별 변화 양상 96

표 78. 1차·2차 저수지 출토 완 높이 분포도 97

표 79. 이성산성 출토 완 속성별 변화 양상 97

표 80. 이성산성 출토 개 속성별 변화 양상 98

표 81. 이성산성 저수지 출토 신라토기 비교표 100

표 82. 이성산성 주요 건물지 101

표 83. 이성산성 출토 신라토기 단계별 특징 106

표 84. 이성산성 출토 신라토기 단계모식도 107

표 85. 설성산성 출토 신라토기 109

표 86. 설봉산성 출토 신라토기 111

표 87. 할미산성 출토 신라토기 112

표 88. 호암산성 출토 신라토기 113

표 89. 아차산성 출토 신라토기 114

표 90. 대모산성 출토 신라토기 115

표 91. 반월산성 출토 신라토기 116

표 92. 자미산성 출토 토기 117

표 93. 수안산성 출토 토기 118

표 94. 행주산성 출토 토기 119

표 95. 죽주산성 출토 토기 119

표 96. 호로고루 출토 신라토기 120

표 97. 화성 당성 출토 토기 121

표 98. 파사성 출토 토기 121

표 99. 남한산성 출토 토기 122

표 100. 한강유역 신라산성 축성 및 사용시기 비교표 126

도판 1. 기존 백제 토기로 분류된 사례 22

도판 2. 기존 고구려 토기로 분류된 사례 23

도판 3. 이성산성 유구 배치도 30

도판 4. 점열문 시문기법 구분 57

초록보기 더보기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이성산성(二聖山城)은 통일신라시기 한강유역의 정치·경제·문화적 중심지로 삼국시대 중요한 산성으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기존 이성산성에 대한 연구들은 축조세력 및 시기에 대한 검토가 대부분이며, 이중 초축세력을 둘러싼 연구 시각 중 잘못된 토기 분석으로 인하여 이성산성의 축조세력을 백제 또는 고구려로 보는 견해도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이성산성 11차 동안 출토된 토기에 대한 속성 분석과 형식분류를 시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성산성 출토 신라토기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성산성의 토기 변천 단계는 한강유역 신라산성의 역사적 특징에 따른 변화 양상과 연계하여 총 3단계로 구분 가능하며, I단계는 신라가 한강유역에 처음 진출하는 시기로 6세기 중엽부터 7세기 초에 해당한다. 이 시기 이성 산성은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 관련하여 6세기 중엽에 초축되어 7세기 중엽 2차 개축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이 단계의 주요 유구는 1차 저수지 및 C지구 1·2호 장방형 건물지, 1차 성벽이 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이성산성 신라토기는 투공이 된 유개고배·무개고배, 반구형 동체의 卜자형 개, 외반구연 완이 주요 기종으로 사용된다. 이 단계 고배는 점차 단각화되고 무투공화 되며 1단계에서 고배, 卜자형 개는 점차 소멸하고, 대부완 및 入자형 개로 대체되며 2단계 이후에는 완전히 소멸하게 된다. 이시기 인화문이 도입되기 이전단계인 그린문양이 확인되며, 1차 저수지에서 수적형문이 시문된 대부완이 출토되었다. 1차 저수지 출토 무진년(戊辰年-608년)명 목간을 볼 때 7세기 초반 인화문이 도입되기 시작되는 것으로 보인다.

II단계에 들어서 한강유역 신라산성은 대당전투에 대비하여 대대적인 개축이 시작되며, 이성산성은 한강유역의 군사적인 방어기능과 더불어 행정치소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2차 저수지, 2차 성벽, 다각형 건물지 등 개축이 발생하게 되며, 군사적인 성격에서 행정치소의 성격으로 변화하며 건물지 및 출토유물 양상도 변화하게 된다. 이 단계 토기의 특징은 본격적인 인화문의 유행이다. 2단계에서는 점차 소멸하는 고배 및 반구형 개 기종을 대체하여 대부완과 凸자형개가 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인화문은 초기에는 구연부 하단 일부 구간에 단일 연속문이나 점열문 등이 시문되다가 토기 전면에 종열점열문 등이 연속 시문되거나 다변화문이나 마제형문 등의 문양과 점열문이 복합 시문되는 형태로 등장한다. 완의 경우 급격히 외반하고 낮은 기고의 기형에서 점차 약하게 외반하는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III단계는 8세기중엽부터 10세기 초까지이며, 이 단계에 들어서면 인화문이 쇠퇴하고 다양한 기형의 병·호류가 등장하게 된다. 대부완은 인화문이 소멸되며 S자형으로 외반하는 기형으로 변화하고, 개는 안턱이 점차 소멸하는 형태로 기형이 변화하게 된다. 9세기 표지 유물인 줄무늬병·덧띠무늬병·편구병·편병 등 다양한 병이 유행하는데, 대부완과 개의 경우 이시기 인화문 소멸하였지만 병에서는 인화문이 화려하게 시문된 사례들이 확인됨에 따라 인화문의 소멸은 기종에 따라 그 시기적 차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강유역 일대는 8세기 말부터는 중앙의 통제력 약화와 잦은 자연재해로 혼란에 빠지게 되며, 곳곳의 반란으로 9세기 후반에도 혼란은 지속되게 된다. 이성산성은 9세기 중엽쯤 그 기능을 잃기 시작하였으며, 10세기 초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