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10
1.1. 이론적 배경 10
1.2. 질소성분의 배출원 11
1.2.1. 자연적 배출원 11
1.2.2. 인위적 배출원 11
1.3. 국내의 대기오염 배출량 현황 12
1.4. 침착 19
1.4.1. 습식 침착(Wet Deposition) 19
1.4.2. 건식 침착(Dry Deposition) 20
1.5. 시화호 21
1.6. 연구 목적 23
II. 연구 대상 지역 24
2.1. 시화호 유역 25
2.2. 시화인공습지 26
III. 연구 방법 28
3.1. 대기질 수치모형 29
3.1.1. 기상장 수치모델 모델 29
3.1.2. 대기질 수치모형 모델 30
3.1.3. Input date 32
3.1.4. 모델링의 수행 35
3.2. 물질수지 분석 방법 36
3.2.1. 질소 유입 산출 37
3.2.2. 질소 유출 산출 38
3.3. 비점오염량 산정 39
IV. 결과 40
4.1. 주요 통계 자료 및 문헌 40
4.1.1. 안산시 40
4.1.2. 시흥시 41
4.1.3. 화성시 41
4.1.4. 전체 연구대상지역 개요 42
4.2. 기상 수치 모형 결과 45
4.3. 질소 침착량 48
4.3.1. 대기질 수치모형 결과 48
4.3.2. 국외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 51
4.4. 질소 물질수지 결과 55
4.4.1. 질소 유입량 55
4.4.2. 질소 유출량 64
4.4.3. 질소 평형 74
4.5. 갯벌에 의한 질소 제거량 79
4.6. 해수교환을 통한 질소 제거량 83
V. 결론 85
VI. 참고문헌 89
Abstract (Korean) 105
Abstract (English) 107
Figure 1. Trend in domestic emissions of Nitrogen Oxides, VOC, Carbon Dioxide, Sulfer Oxide, PM10, 1999∼2009 yea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4
Figure 2. The composition of air pollution emissions(1999~2009 yrea). 15
Figure 3. Ansan, Siheung and Hwaseong City, the major sources of NOx emission. 17
Figure 4. Domestic major source of nitrogen oxide material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8
Figure 5. The study area. 24
Figure 6. Air Quality Model Diagram. 28
Figure 7. Modeling area. 34
Figure 8.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the study area (2004~2009 year). 44
Figure 9. Land use in the study area(2009year). 44
Figure 10. Wet and Dry deposition data in the study area. 50
Figure 11. Wet and Dry deposition flux correlation with rain-fall data. 50
Figure 12. Evolution of the emissions of CO (top), NOx (mid) and SO2 (bottom), for the EU-27 countries, the USA and East Asia for the 1990-2000 period(Cofala, J., et. al., 2007; Ohara, T., et, al., 2007). 54
Figure 13. Changes in Farm Households Change in Korea(농림수산식품부, 2011). 58
Figure 14. Changes of nitrogen and phosphorus balances of OECD countries(김필주 등, 2008). 59
Figure 15. Plant uptake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rat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임태준 등, 2007). 67
Figure 16. Inflow and outflow of nitrogen from agricultural and stock raising areas. 76
Figure 17. Inflow and outflow of nitrogen in forest areas. 77
Figure 18. Inflow and outflow of nitrogen in urban areas. 77
Figure 19. Sihwa-Wetland location. 81
Figure 20. Nitrogen mass flow 82
Figure 21. Nitrogen mass balance in Sihwa-ho. 8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