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 여가활동 분석 / 조재현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338.4791 -13-132
형태사항
viii, 8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0955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여가관광개발학과, 2013.2. 지도교수: 고동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문제 제기 12

제2절 연구의 목적 14

제3절 연구의 범위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6

제1절 청소년 여가 활동의 특성 16

1. 청소년 여가 활동의 기능과 중요성 16

2. 청소년 여가 활동의 유형 18

제2절 문화자본에 의한 사회계층 형성 23

1. 자본의 개념 및 형태 23

2. 문화자본과 구별짓기 26

제3절 여가활동과 문화자본의 관계 29

1. 문화자본에 따른 여가활동의 차이 29

2. 문화자본에 따른 청소년 여가활동의 차이 32

제3장 연구방법 35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자료 35

1. 연구모형 설정 35

2. 연구자료 36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분석방법 43

1. 변수의 정의 43

2. 분석 방법 53

제4장 결과 및 고찰 54

제1절 청소년 여가 활동 특성 54

1. 청소년 여가 활동 및 시간적 특성 54

2. 청소년 여가 활동 및 시간의 변화 추이 56

제2절 지위집단 간 청소년 여가활동의 차이 58

1. 평일 여가활동의 차이 58

2. 휴일 여가활동의 차이 64

제3절 지위집단 간 청소년 여가시간의 차이 69

1. 평일 여가시간의 차이 69

2. 휴일 여가시간의 차이 73

제4절 지위집단 간 청소년 여가만족의 차이 77

제5장 결론 80

제1절 연구결과 요약 80

제2절 함의 및 한계 83

참고문헌 85

설문지 91

Abstract 95

〈표 2-1〉 선행연구의 청소년 여가활동 유형 분류 20

〈표 3-1〉 12개 시도별 표집 학교 수 37

〈표 3-2〉 연구 자료의 내용 39

〈표 3-3〉 연구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1

〈표 3-4〉 문화자본 측정관련 선행연구 44

〈표 3-5〉 계층의 구분관련 선행연구 45

〈표 3-6〉 문화자본에 따른 집단 분류 48

〈표 3-7〉 경제자본 측정관련 선행연구 49

〈표 3-8〉 경제자본에 따른 집단 분류 49

〈표 3-9〉 문화·경제자본에 따른 지위집단의 조작적 정의 50

〈표 3-10〉 여가활동 유형의 조작적 정의 52

〈표 4-1〉 청소년 여가활동 및 시간의 변화 추이 57

〈표 4-2〉 2003년(중학교 2학년)의 집단 간 평일여가활동 차이 60

〈표 4-3〉 2004년(중학교 3학년)의 집단 간 평일여가활동 차이 60

〈표 4-4〉 2005년(고등학교 1학년)의 집단 간 평일여가활동 차이 61

〈표 4-5〉 2006년(고등학교 2학년)의 집단 간 평일여가활동 차이 61

〈표 4-6〉 2007년(고등학교 3학년)의 집단 간 평일여가활동 차이 62

〈표 4-7〉 2008년(20세)의 집단 간 평일여가활동 차이 62

〈표 4-8〉 2003년(중학교 2학년)의 집단 간 휴일여가활동 차이 65

〈표 4-9〉 2004년(중학교 3학년)의 집단 간 휴일여가활동 차이 65

〈표 4-10〉 2005년(고등학교 1학년)의 집단 간 휴일여가활동 차이 66

〈표 4-11〉 2006년(고등학교 2학년)의 집단 간 휴일여가활동 차이 66

〈표 4-12〉 2007년(고등학교 3학년)의 집단 간 휴일여가활동 차이 67

〈표 4-13〉 2008년(20세)의 집단 간 휴일여가활동 차이 67

〈표 4-14〉 집단 간 청소년의 평일여가시간 차이 70

〈표 4-15〉 경제자본 집단 간 청소년의 평일여가시간 차이 72

〈표 4-16〉 집단 간 청소년의 휴일여가시간 차이 74

〈표 4-17〉 경제자본 집단 간 청소년의 휴일여가시간 차이 76

〈표 4-18〉 집단 간 청소년의 여가만족 차이 78

〈표 4-19〉 문화자본 집단 간 청소년의 여가만족 차이 79

〈그림 3-1〉 연구모형 35

〈그림 4-1〉 청소년의 평일과 휴일 여가활동 유형 분포 55

〈그림 4-2〉 청소년의 평일과 휴일 여가시간 변화 추이 58

〈그림 4-3〉 2005년(고등학교 1학년)의 집단 간 평일여가활동 차이 63

〈그림 4-4〉 2007년(고등학교 3학년)의 집단 간 평일여가활동 차이 63

〈그림 4-5〉 연도별 집단 간 문화예술관람 비율 68

〈그림 4-6〉 연도별 집단 간 취미교양활동 비율 68

〈그림 4-7〉 집단 간 청소년의 평일여가시간 차이 71

〈그림 4-8〉 집단 간 청소년의 휴일여가시간 차이 75

초록보기 더보기

 청소년기의 여가활동은 청소년의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형성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의 정신적, 신체적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성인기의 긍정적인 여가습관 형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은 독립적인 삶의 주체로 성장하는 과도기적 존재로 여가활동을 선택하는데 여러 가지 제약을 겪게 되며, 이러한 제약을 얼마나 극복할 수 있느냐에 따라 개개인의 여가활동 선택에 차이가 발생한다.

Bourdieu(1979)는 여가와 같은 문화적 활동의 선택이 개인의 취향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계층에 기반을 둔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계층 간에는 여가활동에 '구별짓기' 현상이 나타나고 이는 사회적으로 재생산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청소년의 여가활동 또한 자신이 속해있는 지위집단에 의한 차이일 가능성이 크며, 청소년의 지위집단이란 곧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Bourdieu의 논의에 기초해 청소년 여가활동 차이의 원인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여가활동, 여가시간, 여가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청소년기의 다변화하는 특성을 반영해 중학교 2학년인 2003년부터 20세가 되는 2008년까지 6년 동안 반복·추적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원자료(raw data)를 사용해 종단분석(longitudinal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바탕으로 고소득/고학력 집단에서부터 고소득/저학력, 저소득/고학력, 저소득/저학력 집단까지 모두 4집단으로 구분하고, 지위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연도별 카이제곱(χ²)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등을 수행하였다.

부모의 지위집단 간 청소년의 여가활동, 여가시간, 여가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위집단에 따른 청소년 여가 활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평일과 휴일 여가활동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고소득/고학력 집단과 저소득/고학력 집단의 청소년들은 취미교양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소득/고학력, 고소득/저학력 집단은 문화예술관람과 스포츠·야외 활동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일과 휴일 여가시간 모두 5년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간은 저소득/저학력, 저소득/고학력, 고소득/저학력, 고소득/고학력 집단 순으로, 저소득/저학력 집단의 여가시간이 가장 많고 고소득/고학력 집단의 여가시간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위집단 간 여가만족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0% 유의수준에서 저소득/고학력 집단의 여가만족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고소득/고학력 집단의 여가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한국사회에서 청소년의 여가활동, 여가시간, 여가만족에는 지위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로 인한 청소년 여가의 불평등이 계층을 재생산시키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밝힌 집단 간 여가 활동의 차이는 2차 자료의 사용으로 인해 그 원인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 차이의 원인을 후속연구를 통해 직접 측정하여 영향을 분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청소년기의 지위집단 간 여가활동의 차이가 성인이 된 후에도 귀결될지에 관해서도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