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정신지체학교 학생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분석 = Analysis of communication tools for communication function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 전선홍 인기도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371.90472 -13-6
형태사항
iv, 7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2264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2013.2. 지도교수: 전병운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연구 문제 10

3. 용어의 정의 11

1) 의사소통 기능 11

2) 의사소통 수단 11

II. 이론적 배경 12

1. 의사소통 기능의 정의 및 발달 특성 12

1) 의사소통 기능의 정의 12

2) 의사소통 기능의 발달 특성 13

2. 의사소통 기능 분석 체계 14

3. 정신지체 학생의 의사소통 발달 특성 15

4.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발달 특성 17

1) 의사소통 의도 및 규칙 17

2) 의사소통 기능 19

5. 선행 연구 고찰 20

III. 연구 방법 23

1. 연구 대상 23

2. 연구 절차 24

1) 평가자 선정 24

2) 예비조사 25

3) 본 조사 25

4) 자료 분석 26

3. 신뢰도 26

4. 자료처리 27

IV. 결과 28

1. 정신지체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 수준 28

2. 학년 군별 집단 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30

1) 요구(request) 30

2) 반응(response) 31

3) 객관적 표현(comments) 33

4) 주관적 표현(statements) 34

5) 대화내용 수신표현(Acknowledge) 36

6) 대화내용 구성요소(Organization Device) 37

7) 발전된 표현(Advanced Speech Act) 39

3. 정신지체와 자폐성장애의 집단 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비교 40

1) 요구(request) 40

2) 반응(response) 42

3) 객관적 표현(comments) 43

4) 주관적 표현(statements) 45

5) 대화내용 수신표현(Acknowledge) 47

6) 대화내용 구성요소(Organization Device) 48

7) 발전된 표현(Advanced Speech Act) 49

4. 사회 연령별 집단 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비교 50

1) 요구(request) 50

2) 반응(response) 51

3) 객관적 표현(comments) 53

4) 주관적 표현(statements) 55

5) 대화내용 수신표현(Acknowledge) 56

6) 대화내용 구성요소(Organization Device) 57

7) 발전된 표현(Advanced Speech Act) 59

V. 논의 및 결론 60

1. 논의 60

2. 결론 64

참고문헌 65

ABSTRACT 68

부록 70

〈부록-1〉 의사소통기능의 정의와 평가 예시 및 수단(홍경훈 & 김영태, 2001) 71

〈부록-2〉 의사소통 하위 기능별 사용 가능한 수단에 대한 평가 기준 예 75

〈부록-3〉 의사소통 기능 관찰 평가지 76

〈표 III-1〉 연구 대상 학생의 특성 24

〈표 IV-1〉 정신지체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 수준 28

〈표 IV-2〉 학년 군에 따른 의사소통 수준의 사후 검증 결과 29

〈표 IV-3〉 '요구'의 하위 기능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0

〈표 IV-4〉 '명료화 질문'에 대한 학년 군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1

〈표 IV-5〉 '반응'의 하위 기능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2

〈표 IV-6〉 '순응'에 대한 학년 군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2

〈표 IV-7〉 '객관적 표현'의 하위 기능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3

〈표 IV-8〉 '사건·상태'에 대한 학년 군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4

〈표 IV-9〉 '주관적 표현'의 하위 기능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5

〈표 IV-10〉 '내적보고'에 대한 학년 군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5

〈표 IV-11〉 '대화내용 수신표현'의 하위 기능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6

〈표 IV-12〉 '대화내용 구성요소'의 하위 기능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7

〈표 IV-13〉 '의례적 인사' 대한 학년 군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8

〈표 IV-14〉 '화자 선택' 대한 학년 군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8

〈표 IV-15〉 '발전된 표현'에 대한 학년 군별 의사소통 수단 차이 39

〈표 IV-16〉 '요구' 범주의 장애 영역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40

〈표 IV-17〉 '반응' 범주의 장애 영역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42

〈표 IV-18〉 '객관적 표현' 범주의 장애 영역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44

〈표 IV-19〉 '주관적 표현' 범주의 집단 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45

〈표 IV-20〉 '대화내용 수신표현' 범주의 장애 영역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47

〈표 IV-21〉 '대화내용 구성요소' 범주의 장애 영역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48

〈표 IV-22〉 '발전된 표현' 범주의 장애 영역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49

〈표 IV-23〉 '요구' 범주의 사회 연령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50

〈표 IV-24〉 '반응' 범주의 사회 연령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52

〈표 IV-25〉 '객관적 표현' 범주의 사회 연령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54

〈표 IV-26〉 '주관적 표현' 범주의 사회 연령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55

〈표 IV-27〉 '주관적 표현' 범주의 사회 연령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57

〈표 IV-28〉 '대화내용 구성요소' 범주의 사회 연령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58

〈표 IV-29〉 '발전된 표현'범주의 사회 연령별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의사소통 수단 차이 59

초록보기 더보기

This study analyzed the communication tools for communication function of 267 children who attend the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e example questions for each communication func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analysis system by Kyung Hun Hong and Young Tae Kim (2001), who modified the table for conversational acts by Dore. The communication tools were classified into 'unable-to-communicate', 'gesture/sound', and 'words' and the class teachers were asked to monitor how the participating students communicate in everyday life in school, evaluate their communication tools they use, and write their actual reactions.

In order to find out mentally retarded students' communication tools for communication function, group composition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unable-to-communicate', 'gesture/sound', and 'words'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s. A χ²-testwasperformedatasignificancelevelof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6.7% of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used 'words' as their communication tools. Among those 'words' used by the students, 'single-word sentence' was 18.4%, ' three-word sentence' was 15%, and 'two-word sentence' was 9.7%. 25.1% of the students used 'gesture/sound' and 8.2% of them were 'unable to communicate'.

Second, for the communication tools for subcategory communication function among those graders in the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for 'request of clarification', 'adaptation', 'objective expression for events or status', 'subjective expression for internal report', and 'ceremonial greetings' and 'selecting perspectives in telling a story'.

Third, with regard to the communication tools for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mentally retarded students and the students with autism disord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every communication function.

Fourth,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tools for communication function among the groups of different social ages,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or every communication functio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