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유아 성폭력 예방 교육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효과 = (The)effects of preventative education activities on a four year old children's awareness of sexual abuse / 이드보라 인기도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372.21 -13-95
형태사항
iii, 11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250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2013.2. 지도교수: 오은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2. 연구문제 11

3. 용어 정의 11

4. 연구의 제한점 12

II. 이론적 배경 13

1. 유아 성폭력 13

1) 유아 성폭력의 정의 13

2) 유아 성폭력 유형 14

2. 유아 성폭력의 특징 20

1) 성폭력 피해 유아의 특징 20

3.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 23

1) 유아 성폭력 예방 교육의 필요성 23

2)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의 목표 및 내용 25

3)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의 방법 29

III. 연구방법 32

1. 연구대상 32

2. 연구도구 33

1) 유아 성폭력 인식 검사도구 33

2) 검사결과의 채점 35

3. 연구절차 37

1) 연구 설계 37

2) 예비 연구 38

3) 검사자 훈련 38

4) 사전 검사 39

5)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 활동 선정 39

6) 사후 검사 45

4. 자료분석 45

IV. 연구 결과 46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46

2. 집단 내 사전 및 사후검사 평균 비교 결과 47

1) 통제집단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평균 비교 결과 47

2)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평균 비교 결과 48

3. 사후검사 집단 간 독립 t-검정 결과 48

4. 집단 내 성별에 따른 인식의 변화 49

V. 논의 및 결론 53

1. 논의 53

2.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59

ABSTRACT 63

부록 66

〈부록 1〉 유아 성폭력 예방 교육 내용 67

〈부록 2〉 유아 성폭력 예방 교육 활동 69

〈부록 3〉 유아 성폭력 인식 검사 도구 94

〈부록 4〉 유아 성폭력 지각 검사 결과의 채점구조 및 유아의 예상반응 108

〈표 1〉 유아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와의 관계 17

〈표 2〉 유아 성폭력 피해와 관련한 정신과적 진단 양상 21

〈표 3〉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 내용 27

〈표 4〉 유아 성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29

〈표 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월령 32

〈표 6〉 교사의 일반적 배경 32

〈표 7〉 유아 성폭력 인식 검사의 구조 35

〈표 8〉 유아 성폭력 지각 검사 결과의 채점구조 및 유아의 예상반응 36

〈표 9〉 연구 절차와 일정 37

〈표 10〉 연구 설계 38

〈표 11〉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 활동 40

〈표 12〉 실험집단의 활동안 예시 43

〈표 1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독립표본 t 검정 46

〈표 14〉 통제집단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대응표본 t-검정 결과 47

〈표 15〉 실험집단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대응표본 t-검정 결과 48

〈표 16〉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후검사 독립표본 t-검정 결과 49

〈표 17〉 실험집단 내 성별에 따른 '몸의 소중함 인식'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평균 비교 50

〈표 18〉 실험집단 내 성별에 따른 '부적절 행동인식'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평균 비교 51

〈표 19〉 실험집단 내 성별에 따른 '상황인식'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평균 비교 51

〈표 20〉 실험집단 내 성별에 따른 '대처인식’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평균 비교 51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raise and activate people's conscious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abuse in kindergarten to avoid sexual abuse, and to acquire the ways of avoiding sexual abuse and dealing with its situations.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reventative educational activities of sexual abuse on four-year old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value of the body, their own and others'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s, the situations of inducing sexual abuse, and the ways of dealing with sexual abuse situations.

For th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1. Does the preventive education activities of sexual abuse in kindergarten affect four year children's perceptions of sexual abuse?

1) Does the preventive education activities of sexual abuse affect their perceptions of the value of the body?

2) Does the preventive education activities of sexual abuse affect their perceptions of their own and others'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s?

3) Does the preventive education activities of sexual abuse affect their perceptions of the situations of inducing sexual abuse?

4) Does the preventive education activities of sexual abuse affect their perceptions of the ways of dealing with sexual abuse situations?

2. Does the effect of preventive education activities of sexual abuse differ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0 four-year old children at P kindergarten in Yousung-gu, Daejeon. 20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the preventive education activities of sexual abuse while the rest 20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activities in regular curriculum.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lasted from August 13, 2012 to September 14, 2012 for five weeks.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preventive education activities of sexual abuse on children was adapted, considering their ages, characteristics of their communities, interests and motivation features, based on "Sex Education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2006). In addition, after engaging in various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such as sharing stories, watching movies, new songs, plays for children, and small group discussion, they were given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abuse through games, reading books, and role plays in their free activity time while the control group just involved in the activities related to life topics.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children's perceptions of sexual abuse, the research tool that was used in Soyoung Choi's(2010) study was adapted. The revised research tool consisted of four parts such as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body, their own and others'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s, the situations of inducing sexual abuse, and the ways of dealing with sexual abuse situa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means of the PASW Statistics 18 (SPSS 18.0) for the Windows Operating System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 group's perceptions of sexual abus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abuse. For all the four categories,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 group's perceptions of sexual abus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effect in the experiment group on the effect of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abuse. Finally, the study impli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abuse to the four year children is necessary in kindergarte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