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근대 산업시설 재생을 통한 예술센터 공간연구 = (A)study for the center of arts through the preservation of a modern industrial heritage : 당인리 화력발전소 5호기 활용한 실내공간 계획 / 최진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729 -13-15
형태사항
xiii, 8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288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전공, 2013.2. 지도교수: 김정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8

1.1. 연구배경 및 목적 18

1.2. 연구범위 및 방법 19

제2장 산업시설 재생활용 이론적 고찰 21

2.1. 산업시설과 산업유산에 대한이해 21

2.1.1. 산업시설 개념 및 배경 21

2.1.2. 산업시설 건축의 변화과정 22

2.1.3. 산업유산 개념 및 배경 24

2.1.4. 세계유산 분류 및 산업유산 범위 25

2.1.5. 산업유산 가치분석 27

2.1.6. 산업유산 재활용의 필요성 및 효과 29

2.1.7. 한국의 산업유산 재생의 문제점 31

2.2. 산업유산의 재활용으로서 예술 문화 공간 고찰 32

2.2.1. 예술 공간 형성배경 32

2.2.2. 예술문화 공간의 개념 및 정의 32

2.2.3.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예술문화 공간의 의미 34

제3장 산업시설 재생사례 및 디자인 분석 36

3.1. 산업시설 재생 사례 37

3.1.1. 국내사례 37

3.1.2. 국외사례 43

3.2. 산업유산의 디자인유형과 특성 분석 53

3.2.1. 새로운 결합 53

3.2.2. 신구의 대비 54

3.2.3. 보존적 융화 55

3.2.4. 감산적 치환 56

3.3. 소결 58

제4장 디자인 계획안 59

4.1. 디자인 개요 59

4.1.1. 개획개요 60

4.1.2. 대상지 선정 61

4.2. 디자인 전개 65

4.2.1. MASS CONCEPT 65

4.2.2. SPACE PROGRAM 66

4.2.3. DESIGN CONCEPT 69

4.3. 디자인 계획안 72

4.3.1. 1F DESIGN PLAN 72

4.3.2. 2F DESIGN PLAN 84

4.3.3. 3F DESIGN PLAN 89

4.3.4. 전시패널 92

제5장 결론 93

참고문헌 96

ABSTRACT 99

[표 2-1] 근대문화유산의 개념과 범위 25

[표 2-2] 예술 문화공간의 국가별 정의 34

[표 3-1] 인천 아트 플렛폼 사례분석 38

[표 3-2] 문래 예술단지 사례분석 40

[표 3-3] 금천 예술공장 사례분석 42

[표 3-4] 중국 따산즈 798 사례분석 44

[표 3-5] 독일 졸페라인 사례분석 46

[표 3-6] 영국 테이트 모던 사례분석 48

[표 3-7] 영국 발틱 미술관 사례분석 50

[표 3-8] 프랑스 라 프리쉬 라 벨드메 사례분석 52

[표 4-1] 프로젝트 개요 59

[표 4-2] 대상지 현황 60

[표 4-3] 사이트 주변 현황 61

[그림 1-1] 산업시설 재활용과 복합예술 공간의 관계 19

[그림 1-2] 연구방법 20

[그림 2-1] 산업시설 건축의 변화과정 23

[그림 2-2] 산업유산의 역사성 및 시간성 비교 도표 26

[그림 2-3] 등록문화재 현황 27

[그림 2-4] 산업유산의 시간적 흐름 29

[그림 2-5] 산업유산 재활용의 필요성 및 효과 30

[그림 2-6] 예술문화 공간의 개념 33

[그림 3-1] 인천 아트 플렛폼 내·외부 전경 38

[그림 3-2] 문래 예술단지 내·외부 전경 40

[그림 3-3] 금천 예술공장 내·외부 전경 42

[그림 3-4] 중국 따산즈 798 전경 44

[그림 3-5] 독일 졸페라인 내·외부 46

[그림 3-6] 영국 테이트 모던 내부 전경 48

[그림 3-7] 영국 발틱 미술관 내·외부 전경 50

[그림 3-8] 프랑스 프리쉬아벨드메 내·외부 전경 52

[그림 3-9] 결합 개념도 53

[그림 3-10] 발틱미술관 54

[그림 3-11] 따산즈 798 54

[그림 3-12] 대비 개념도 54

[그림 3-13] 프라하. 춤추는 빌딩 55

[그림 3-14] Zollverein ruhr museum 55

[그림 3-15] 융화 개념도 56

[그림 3-16] 오르세 미술관 56

[그림 3-17] 독일. 뒤스부르크 56

[그림 3-18] 치환 개념도 57

[그림 3-19] 선유도 공원 57

[그림 3-20] Zollverein ruhr museum 57

[그림 3-21] 산업시설 재활용과 복합예술 공간의 관계 58

[그림 3-22] 기업과 문화공간과 예술가의 구조 58

[그림 4-1] 위치 및 환경 분석 60

[그림 4-2] 당안리 발전소 전경 60

[그림 4-3] 배치도 및 현황 61

[그림 4-4] 1F 현황 평면도 62

[그림 4-5] 2F 현황 평면도 63

[그림 4-6] 3F 현황 평면도 63

[그림 4-7] 현황 단면도 64

[그림 4-8] 현황 입면도 64

[그림 4-9] MASS CONCEPT 65

[그림 4-10] MASS CONCEPT STEP 65

[그림 4-11] 물리적 프로그램 66

[그림 4-12] 행태적 프로그램 66

[그림 4-13] 수직적 공간 프로그램 67

[그림 4-14] 수평적 공간 프로그램 67

[그림 4-15] 공간 프로그램 67

[그림 4-16] 1F 평면도 68

[그림 4-17] 2F 평면도 68

[그림 4-18] CONCEPT 개념도 69

[그림 4-19] 융합 디자인 과정 69

[그림 4-20] 결합 디자인 과정 70

[그림 4-21] 대비 디자인 과정 71

[그림 4-22] 1F 평면도 72

[그림 4-23] 1F 천정도 72

[그림 4-24] 1F ISOMETRIC (행사 시) 73

[그림 4-25] 1F ISOMETRIC_2(전시 시) 73

[그림 4-26] KEY MAP 74

[그림 4-27] KEY PLAN 74

[그림 4-28] 로비 참고이미지 74

[그림 4-29] ELEVATION"A" 75

[그림 4-30] ELEVATION"B" 75

[그림 4-31] ELEVATION"C" 76

[그림 4-32] ELEVATION"D" 76

[그림 4-33] KEY MAP 77

[그림 4-34] LOBBY PERSPECTIVE 77

[그림 4-35] KEY MAP 78

[그림 4-36] KEY PLAN 78

[그림 4-37] 갤러리 참고이미지 78

[그림 4-38] KEY MAP 79

[그림 4-39] KEY PLAN 79

[그림 4-40] 카페 참고이미지 79

[그림 4-41] KEY MAP 80

[그림 4-42] CAFE PERSPECTIVE 80

[그림 4-43] KEY MAP 81

[그림 4-44] KEY PLAN 81

[그림 4-45] 다목적홀 참고이미지 81

[그림 4-46] ELEVATION”A” 82

[그림 4-47] ELEVATION”B” 82

[그림 4-48] 다목적 컨벤션홀 PERSPECTIVE_1 82

[그림 4-49] 다목적 컨벤션홀 PERSPECTIVE_DAY CUT 83

[그림 4-50] 다목적 컨벤션홀 PERSPECTIVE_NIGHT CUT 83

[그림 4-51] 2F 평면도 84

[그림 4-52] 2F 천정도 84

[그림 4-53] 2F ISOMETRIC 85

[그림 4-54] KEY MAP 86

[그림 4-55] KEY PLAN 86

[그림 4-56] 전시장 참고이미지 86

[그림 4-57] ELEVATION”A” 87

[그림 4-58] ELEVATION”B” 87

[그림 4-59] KEY MAP 88

[그림 4-60] 전시장 PERSPECTIVE 88

[그림 4-61] 3F 평면도 89

[그림 4-62] 3F 천정도 89

[그림 4-63] 3F ISOMETRIC 90

[그림 4-64] KEY MAP 91

[그림 4-65] KEY PLAN 91

[그림 4-66] 체험/교육실 참고이미지 91

[그림 4-67] 3F ELEVATION 92

[그림 4-68] 전시패널_1 92

[그림 4-69] 전시패널_2 92

초록보기 더보기

 20세기 후반 한국은 급진적인 경제 발전을 이루면서 모든 일들이 빠르게 진행되고 동시에 사라지는 일들이 반복되어 왔다. 건축 분야에서도 근대화를 거치면서 많은 산업 건축물들이 산업발달과 함께 구축되어 인류의 발전에 오랜 시간 조력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능위주 시설물들로 사회구조 변화에 의해 점차 그 용도나 기능들이 상실되거나 노후화 되고 있다.

당인리 화력발전소 또한 그 범주에 있는 시설로 아직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도심 중심부에 위치하여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인지하여 역사적 산업시설 유물로 생각하지 않고 개발 논리에 의해 사라져 갈 위기에 놓여져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처리를 위한 다양한 해법의 대안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중의 하나가 건축 문화재로 인정받아 복원 재생하고, 역사적 가치를 보존, 나아가 인간 중심의 유산으로 태어나게끔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보존할 가치가 있는 건축물에 대해서는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 보존과 절충을 통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물리적인 재구축을 이용한 성능 개선을 이뤄, 문화 기능을 가진 새로운 건물로 탄생하고자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설정하였다.

제2장에서는 산업시설 재생 활용의 이론적 고찰 하였다

산업시설의 개념과 산업유산의 배경을 살펴보고 활용 가치를 여러 관점으로 파악하여 예술문화 공간 활용의 의미로 가능성을 찾아 가치와 효과를 살펴 연구하여 본다.

제3장에서는 국내·외 산업시설 재생 사례 벤치마킹하고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돌출하고 원래 설계자의 디자인 의도 및 요소별 모티브를 찾아 프로젝트 계획에 적용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2장에서 분석한 결과로 공간의 목적 및 프로그램 구성하여 운영방안을 모색하였고 3장에 돌출한 디자인 요소를 디자인 계획에 적용하여 반영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와 계획에 의해 다음의 결론을 내린다.

본 계획은 과거의 건축물을 통해 역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고 소통하는 매개체로 활용하는 방안으로 제시한다.

흉물로 보일 수 있는 산업시설물의 철골 구조와 잔재들을 파괴하지 않고, 그 가능성을 찾아 미래에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소로 다시 변화 시킨다면, 역사와 함께 과거의 화려했던 지역 사회의 이야기, 그리고 쇠락의 길을 걸었던 지나간 시대의 이야기들을 읽을 수 있게 된다.

이야기를 가진 랜드마크로 재탄생하여 예술인들과 지역사회 와 함께하는 문화예술센터로써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도심의 생명력을 불어넣어줄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하여 본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