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글 가로짜기 전환에 대한 사적 연구 / 구자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D 745.4 -13-24
형태사항
19, 21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2907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시각디자인전공, 2013.2. 지도교수: 안상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한글요약

목차

1. 시작 글 17

연구 배경 및 목적 18

연구 방법 20

문헌연구 20

조형 분석 20

역사 연구 20

연구 범위 21

용어 정의 22

쓰기방향 22

가로쓰기 22

가로짜기 22

타이포그라피 22

논문 구성 23

2. 글자, 쓰기방향, 그리고 타이포그라피 25

2.1. 글자의 쓰기방향 27

2.1.1. 세계글자의 쓰기방향 27

2.1.2. 한중일 글자의 쓰기방향 35

2.2. 한글의 형태적 특징 43

2.2.1. 모아쓰기 구조 43

2.2.2. 글자꼴 비례 44

2.2.3. 기둥과 보 49

2.2.4. 글줄 흐름선 51

2.2.5. 점선형인식 글자 53

2.3. 글자와 타이포그라피 56

3.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의 원형 61

3.1. 서구 선교사의 조선어 학습서 62

3.1.1. 근대식 활자 62

3.1.2. 띄어쓰기, 장체, 가운데 정렬 70

3.1.3. 문장부호 76

3.2. 조선어학회의 간행물 79

3.2.1. 가로 풀어짜기 79

3.2.2. 쓰기방향 이론과 글자꼴 연구 85

3.2.3. 대·소문자, 흘림체 93

3.3. 근대식 교과서 104

3.3.1. 아라비아식 기수법 104

3.3.2. 단락, 들여짜기, 강조, 도움말 112

3.3.3. 교과서 글자꼴 120

3.4. 한글 타자기 개발 과정 123

3.4.1. 두벌식, 세벌식, 네벌식 한글 123

3.4.2. 탈네모 글자꼴 131

3.5. 출판·신문의 편집 디자인 136

3.5.1. 모던 편집디자인 136

3.5.2. 신문의 가로짜기 레이아웃 144

3.5.3. 가로짜기용 글자꼴 156

4.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 163

4.1. 한글 가로짜기의 등장: 태동기 1868~1895 165

4.1.1. 서구인을 위한 한글 가로짜기 165

4.1.2. 네비우스 선교정책과 근대식 교육 169

4.1.3. 미국인 기독교 선교사의 영향 171

4.2. 기능주의와 한글 가로짜기: 탄생기 1895~1945 173

4.2.1. 조선인을 위한 한글 가로짜기 173

4.2.2. 일제강점기의 한글 운동 179

4.2.3. 조선어학회의 영향 184

4.3. 가로짜기와 세로짜기의 대립: 성장기 1945~1988 189

4.3.1. 미군정 교과서와 한글세대 189

4.3.2. 대한민국 정부 한글전용법안의 단계별 시행 192

4.3.3. 한글 글자꼴 연구 모임과 디자이너 200

4.3.4. 조선어학회, 타자기 개발자, 한글세대, 디자이너의 영향 202

4.4. 한글 가로짜기의 정착과 발전: 성숙기 1988~1999 205

4.4.1. 한겨레에서 조선일보까지 205

4.4.2. 문화적 규범으로서의 한글 가로짜기 209

4.5.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 요약 210

5. 끝맺음 글 217

참고문헌 224

Abstract 230

(표 01) 세계글자의 쓰기방향 변화 30

(표 02) 슈퇴클의 타이포그라피 형상 차원 분류 58

(표 03) 서구 선교사의 조선어 학습서에서 나타난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원형 78

(표 04) 국어학자와 조선어학회 문헌에서 나타난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원형 103

(표 05) 근대식 교과서에서 나타난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원형 122

(표 06) 한글 타자기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원형 135

(표 07) 출판·신문 편집디자인에서 나타난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원형 160

(표 08) 세로짜기, 과도기, 가로짜기 글자꼴 157

(표 09) 한글 가로짜기 태동기 연표 164

(표 10) 한글 가로짜기 태동기 관계도 170

(표 11) 한글 가로짜기 탄생기 연표 172

(표 12) 한글 가로짜기 탄생기 관계도 185

(표 13) 한글 가로짜기 성장기 연표 188

(표 14) 한글 가로짜기 성숙기 관계도 203

(표 15) 한글 가로짜기 성숙기 연표 204

(표 16) 한글 가로짜기 성숙기 관계도 209

(표 17)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 연표 210

(표 18) 한글 가로짜기 시대 구분과 타이포그라피 변화 213

(표 19)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 관계도 215

(그림 01) 다양한 쓰기방향 26

(그림 02) 아스팔타(Aspalta)왕의 석관 (B.C.593~598) 26

(그림 03) 크레타(Creta)섬의 고대 그리스 글자 우경법 (B.C. 5C) 28

(그림 04) 몽고제국 일한국 아르군칸(Arghun Khan)의 편지 (1290) 28

(그림 05) 갑골문자 (B.C. 1800) 33

(그림 06) 푸칠로 (1874) 《시작노한사전》 34

(그림 07) 모리슨 (1815) 《중국어사전(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 36

(그림 08) 한글의 낱글자 42

(그림 09) 한글의 6가지 구조 42

(그림 10) 집현전 (1446) 《훈민정음》 45

(그림 11) 시대에 따라 변화한 한글의 형태와 비례 46

(그림 12) 한글 홀자의 전개도 48

(그림 13) 세로짜기와 가로짜기의 글줄 흐름선 50

(그림 14) 세로짜기와 가로짜기의 속공간 조정 50

(그림 15) 세로선과 가로선 52

(그림 16) 글자의 인식 방법 52

(그림 17) 글자의 판독 요소 54

(그림 18) 페롱 (1868) 《불한사전(Dictionnaire Francais-Coreen)》 63

(그림 19) 리델 (1880) 《한불자전(Dictionnaire Coreen-Francais)》 66

(그림 20) 리델 (1881) 《한어문전(Grammaire Coreene)》 67

(그림 21) 미상 (1891) 《나한소사전(lation-co-reanum ad usum studiosaejuventutis coreanae)》 68

(그림 22) 게일 (1897) 《한영자뎐(Korean-Englsih Dictionary)》 69

(그림 23) 로스 (1877) 《조선어 초보(Corean Primer)》 72

(그림 24) 로스(1882) 《조선어 회화(Korean Speech with Grammar and Vocabulary》 73

(그림 25) 미상 (1518) 《여씨향약언해》 74

(그림 26) 스코트 (1887) 《언문말서적(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75

(그림 27) 언더우드 (1890) 《한영문법(An Introduction to Korean Spoken Language)》 77

(그림 28) 서재필 (1896) 《독립신문》 80

(그림 29) 주시경 (1909) 《국문연구》 82

(그림 30) 조선어강습원 졸업증서 (1913) 82

(그림 31) 주시경 (1914) 《말의소리》 부록 84

(그림 32) 대한인졍교보 편집부 (1914) 《대한인졍교보》 10호 84

(그림 33) 조선어학회 (1932) 《한글》 1호 90

(그림 34) 조선어학회 (1932) 《한글》 2호 91

(그림 35) 조선어학회 (1932) 《한글》 5호. 92

(그림 36) 김두봉 (1922) 97

(그림 37) 리필수 (1923) 97

(그림 38) 김석곤 (1931) 98

(그림 39) 최현배 (1926) 99

(그림 40) 최현배 (1963) 99

(그림 41) 김세종 (1958) 100

(그림 42) 도덩보 (1959) 101

(그림 43) 이현복 (1980) 101

(그림 44) 장봉선 (1989) 102

(그림 45) 《정선산학》 1907 106

(그림 46) 《신정교과 산학통근》 1908 107

(그림 47) 《중학교·사범학교 사학과 신식 산술교과서》 1908 108

(그림 48) 《토지측량술》 1908 109

(그림 49) 《중정 산학통론》 1909 110

(그림 50) 《보통교과 산술서》 1909 111

(그림 51) 조선어학회 (1945) 《한글 첫 걸음》 군정청 학무국 배포 114

(그림 52) 조선어학회 (1945) 《초등 국어 교본》 군정청 학무국 배포 115

(그림 53) 대한교과서 (1954) 《중학국어2-1》 116

(그림 54) 대한교과서 (1958) 《중학국어2-1》 117

(그림 55) 대한교과서 (1962) 《중학국어2-1》 118

(그림 56) 대한교과서 (1962) 《중학국어2-1》 119

(그림 57) 《중학국어2-1》 1962 121

(그림 58) 《중학국어2-1》 1964 121

(그림 59) 《중학국어2-1》 1969 121

(그림 60) 《중학국어2-1》 1971 121

(그림 61) 이원익 (1914) 이원익식 타자기로 찍은 글 124

(그림 62) 좌: 인민군 전투명령 제2호. 1950.6.22, 우: 국군 작전명령 제64호. 1950.7.23 128

(그림 63) 한국전쟁 정전협정문 1953.7.23 128

(그림 64)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글자 (1947) 130

(그림 65) 김동훈 다섯벌식 타자기 글자 (1952) 130

(그림 66) 네벌식 표준타자기 글자 (1968) 130

(그림 67) 여러벌식 텔리타이프 글자 (1962) 130

(그림 68) 한재준이 다듬은 세벌식 글자 133

(그림 69) 공병우 세벌식 글자와 공한체 비교 134

(그림 70) 옥원중화연체, 산돌명조체, 공한체 부리 모양 비교 134

(그림 71) 이상철 (1976) 《뿌리깊은나무》 138

(그림 72) 안상수 (1981) 《마당》 140

(그림 73) 1989년 가로짜기로 재편집된 최현배의《우리말본》 142

(그림 74) 《조선일보》 기사식 광고. 1937 145

(그림 75) 1930년대~50년대 신문 광고 146

(그림 76) 《호남신문》 1947 148

(그림 77) 《한겨레》 창간호. 1988. 5. 15 152

(그림 78) 《중앙일보》 1999 154

(그림 79) 신문명조 변천 157

(그림 80) 로스, 《예수성교전서》1887 168

(그림 81) 이준영, 정현, 이기영, 이명선, 강진희 (1895) 《국한회어》 176

(그림 82) 지석영 (1909) 《언문》 177

(그림 83) 주시경, 김두봉, 권덕규, 이규영 (1910) 《말모이》 178

(그림 84) 조선어학회 (1932) 《한글》 1호 첫장 181

(그림 85) 최현배 (1922) 「우리말과 글에 대하야 -우리글 가로쓰기」 《동아일보》 1922. 8. 29~9. 22 186

(그림 86) 김석곤 (1932) 「한글가로쓰기」 《동아일보》 1932. 6. 14~7. 20 187

초록보기 더보기

한글(1443)은 한자 문화권 안에서 자연스레 세로쓰기로 창제되었다. 500여 년간 세로방향으로 쓰이던 한글은 개화기를 지나면서 빠르게 가로짜기를 수용하게 되었다. 1970년대를 지나면서 전면 가로짜기는 대부분의 문서에 확산되었다.

세계 글자는 글자가 초기에 진화하는 과정이나 새로운 종족에게 전달되어 개량된 경우에 종종 쓰기방향이 바뀌는 사례가 있었다. 대부분의 글자는 신체 구조에 따라 쓰고 읽기에 편리한 좌횡서 또는 우횡서로 정착하게 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쓰기방향이 바뀌거나 추가된 경우는 한자와 가나 그리고 한글이 유일하다. 세로쓰기였던 한중일의 글자가 가로쓰기를 빠르게 수용할 수 있었던 이유는 쓰기방향에 유연한 정방형 글자꼴 비례 덕분이다. 그 중 한글은 최근까지 세로짜기를 고수했던 한자나, 현재에도 세로짜기를 혼용하고 있는 가나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가로짜기로 전환되었다.

한글의 쓰기방향은 보기 드물게 흥미로운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글자의 쓰기방향 변화는 글자를 다루는 타이포그라퍼에게 있어서 중요한 사건이다. 쓰기방향은 타이포그라피의 기본 요소로써, 쓰기방향의 변화는 단순한 글자 나열 방향의 전환이 아닌, 글자와 여백의 완전한 재배열을 요구한다. 글자비례, 글자균형, 글자형태, 기준선, 글자사이, 글줄사이, 글줄길이, 단 너비, 단 사이, 문단정렬 등 무수한 타이포그라피 요소들이 새로이 주어진 쓰기방향에 맞춰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앞으로 한글 타이포그라피가 나아갈 방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한글이 가로쓰기로 전환된 구체적인 원인과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를 논구하였다. 첫째, 글자, 쓰기방향 그리고 타이포그라피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원형을 추적하였다. 셋째, 한글 가로짜기의 전환 과정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한글 가로짜기의 사적 연구를 통해 한글의 쓰기방향 변화 원인과 과정, 그리고 결과'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한글 가로짜기가 내포하는 시대적 의미를 되짚어보고, 앞으로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가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1장 '시작 글'에서는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범위를 설명하고 용어를 정의하였다. 2장에서는 글자, 쓰기방향, 타이포그라피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계글자, 동아시아 글자, 한글 순으로 범위를 좁혀가며 글자에서 나타나는 쓰기방향을 비교해보았다. 한글의 모아쓰기 구조, 글자꼴 비례, 기둥과 보, 글줄 흐름선, 점선형인식글자 등의 형태적 특징을 통해 한글에서 나타나는 쓰기방향을 탐구하였다. 또한 글자와 타이포그라피의 관계에 대해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원형이 나타난 문헌의 수집하여 제작 경위를 추적하고 그 성격과 특징을 밝혔다. '서구 선교사의 조선어 학습서', '조선어학회의 간행물', '근대식 교과서', '한글 타자기 개발 과정', '출판·신문 편집디자인'에서 나타난 타이포그라피 변화를 조형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수집 자료를 시대 순으로 배열하여 연표를 제작하고, 각 시대에 한글 가로짜기 흐름을 주도했던 집단의 관계도를 구성하여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준으로 네 시대로 구분하고 각 시대에 나타난 역사적 사건과 사상의 변화를 맥락화하였다. 5장 '끝맺음 글'에서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한글이 가로짜기로 전환된 원인과 과정, 그리고 결과에 대해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및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그 결과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을 다음과 같은 네 시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서구 선교사들에 의해 한글 가로짜기가 사용된 시기를 '태동기(1868~1895)', 한글 학자들에 의해 한글 가로짜기가 사용되고, 한글 가로짜기 이론과 시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주도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를 '탄생기(1895~1945)', 해방 후 가로짜기 교과서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한글 가로짜기 타자기가 개발 및 보급된 시기를 '성장기(1945~1988)', 보수 매체인 신문디자인이 가로짜기로 전환된 시기를 '성숙기(1988~1999)'로 구분하였다. 태동기의 시작은 첫 한글 가로짜기가 사용된 《불한자전》으로부터, 탄생기의 시작은 한국인에 의해 첫 한글 가로짜기가 사용된 《국한회어》로부터, 성장기의 시작을 국가에 의한 첫 가로짜기 표준화 《미군정 교과서》로부터, 성숙기의 시작을 가로짜기를 사용한 첫 종합일간지 《한겨레》으로부터 가로짜기를 사용한 마지막 종합일간지 《조선일보》의 전환까지로 구분하였다.

탄생기에는 개화사상에 의한 기능주의의 일환으로, 가로짜기의 유용성이 한글 가로짜기의 주장 이유였다. 성장기에 이르러서는 이와 더불어 한글 전용과 한자 혼용의 대립의 결과로써 한글은 가로짜기로 정착하게 되었다. 세로짜기를 '한자 혼용, 일제의 잔재' 등으로 연관 지어 거부하였고, 이러한 대립의 결과 가로짜기가 우위를 선점하자 세로짜기는 상대적으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 외에도 가로짜기 기계의 보급화와 디자이너들의 체계적인 편집 디자인 결과물이 더해져서 성숙기에는 한글 가로짜기로 완전한 정착을 하기에 이르렀다.

타이포그라피 변화의 경우, 초기의 한글 가로짜기에서는 서구 타이포그라피를 수용하거나 답습하려는 움직임이 보였다. 띄어쓰기, 문장부호, 오블리크체, 장체, 흘림체, 대소문자, 풀어짜기 등이 시도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한글의 특성에 적합한 자주적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연구가 시작되었다. 기존의 글자꼴을 가로짜기에 적합하도록 여러 차례에 걸쳐 수정·보완이 이루어졌다. 태동기, 탄생기, 성장기의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변화는 마이크로 타이포그라피에 국한되었던 것에 반해 성숙기에 이르러서는 마이크로 타이포그라피와 메크로 타이포그라피의 포괄적인 변화를 보인다. 사진식자, 디지털 환경에서의 세밀한 글자 공간 조절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아트디렉터들에 의해 잡지와 신문이 일본식 편집디자인의 틀을 벗어난 그리드 시스템을 차용하며 사용하여 새로운 스타일을 선보이기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처럼 연구자는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원형 추적을 통해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 연표와 관계도를 정리할 수 있었다. 한글 가로짜기가 내포하는 시대적 상징성을 되짚어보고,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전무했던 상황에서 한글 가로짜기 전환 과정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여 앞으로의 한글 가로짜기 타이포그라피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