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와 현대건축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image and the modern architecture / 邢炯七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692.1 -13-18
형태사항
viii, 10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3234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건축계획전공, 2013.2. 지도교수: 조한, 김동훈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3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4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6

제2장 질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와 해체주의적 건축 개념 18

2.1. 이미지 개념 19

2.1.1. 이미지(image), 물질(matter), 운동(movement) 19

2.1.2. 운동-이미지(Movement-image) 23

2.1.3. 행동-이미지의 위기(The crisis of the action-image) 27

2.2. 시간 개념 27

2.2.1. 현재는 시간의 기초(foundation)로서 습관의 종합 27

2.2.2. 과거는 시간의 근거(ground)로서 기억의 종합 28

2.2.3. 미래는 생성과 창조로서의 '영원회귀'의 종합 29

2.3. 시간-이미지 개념 31

2.3.1. 순수 시청각적 상황(Pure Optical & Sound Situation) 33

2.3.2. 결정체-이미지(Crystal-Image) 39

2.3.3. 거짓의 역량(the Power of the False) 45

2.4. 해체주의적 건축 기본개념 50

2.4.1. 해체주의 기본 개념 51

2.4.2. 해체주의적 건축의 형태구성 52

2.5. 소결 54

제3장 시간-이미지와 해체주의적 건축 55

3.1. 순수 시청각적 상황과 렘 콜하스 건축 56

3.1.1. 렘 콜하스(Rem Koolhaas, 1944-) 건축 56

3.1.2. 순수 시청각적 상황과 쿤스탈 미술관(Kunstal Museum,1987-1992) 58

3.1.3. 소결 63

3.2. 결정체-이미지와 다니엘 리베스킨트 건축 64

3.2.1. 다니엘 리베스킨트(Daniel Libeskind, 1946-) 건축 64

3.2.2. 결정체-이미지와 유태인 박물관(Jewish Museum) 65

3.2.3. 소결 69

3.3. 거짓의 역능과 피터 아이젠만 건축 71

3.3.1.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 1932-) 건축 71

3.3.2. 거짓의 역능과 웩스너 센터(Wexner Center for the arts, 1898) 72

3.3.3. 소결 76

제4장 시간-이미지와 건축적 실험 77

4.1. 순수 시청각적 상황과 일탈적인 업무공간 78

4.1.1. 건축개념 78

4.1.2. 공간 계획 81

4.1.3. 최종 이미지 82

4.2. 결정체-이미지와 식별 불가능한 상업 문화시설 84

4.2.1. 건축개념 84

4.2.2. 공간계획 86

4.2.3. 건축상세 89

4.2.4. 최종 이미지 92

4.3. 거짓의 역능과 생성의 종묘제례 박물관 93

4.3.1. 건축개념 93

4.3.2. 공간계획 95

4.3.3. 최종 이미지 97

제5장 결론 100

2002년 졸업 전시회 패널 103

참고문헌 106

ABSTRACT 108

〈표 1〉 시간-이미지와 해체주의적 건축의 개념간의 상관성 비교 54

〈그림 1〉 이미지의 3가지 변주 24

〈그림 2〉 자극과 반응사이의 간극 24

〈그림 3〉 베르그송의 원뿔 28

〈그림 4〉 임마누엘 칸트 30

〈그림 5〉 칸트의 코기토(cogito) 30

〈그림 6〉 과거와 미래로 끊임없이 분할하는 아이온의 시간 31

〈그림 7〉 '움베르토 D'에서 젊은 하녀의 순수 시청각적 상황 34

〈그림 8〉 미치광이 피에로 36

〈그림 9〉 동경 이야기 36

〈그림 10〉 영화 '미치광이 삐에로' 시청각적 상황이 발생하는 이미지들 37

〈그림 11〉 영화 '동경이야기'에서 순수한 시지각적 상황이 발생하는 쇼트 38

〈그림 12〉 구분 가능하지만 식별불가능성 경계에서 결정체-이미지 40

〈그림 13〉 8과 1/2 41

〈그림 14〉 영화 '8과 1/2' 결정체-이미지를 발생시키는 이미지들 42

〈그림 15〉 정사 43

〈그림 16〉 영화 '정사'에서 결정체-이미지 발생하는 쇼트분석 44

〈그림 17〉 정오의 낯선 물체 47

〈그림 18〉 영화 '정오의 낯선 물체' 거짓의 역능을 발생시키는 이미지들 47

〈그림 19〉 지난해 마리엥바드에서 49

〈그림 20〉 지난해 마르엥바드에서 쇼트분석 49

〈그림 21〉 자크 데리다 50

〈그림 22〉 렘 콜하스 56

〈그림 23〉 시애틀 도서관, 2004 56

〈그림 24〉 라빌레뜨 계획안, 1982 57

〈그림 25〉 쿤스탈 미술관 58

〈그림 26〉 주 진입구 기둥들 58

〈그림 27〉 내부 관통 경사로 59

〈그림 28〉 경사로와 주진입구 59

〈그림 29〉 주진입구 쪽 입구 59

〈그림 30〉 진입 홀, 강당, 복도 60

〈그림 31〉 강당 상세 60

〈그림 32〉 기울어진 판 60

〈그림 33〉 통로 공간 61

〈그림 34〉 천정 구조 61

〈그림 35〉 발코니 공간들 61

〈그림 36〉 보행통로 62

〈그림 37〉 다니엘 리베스킨트 64

〈그림 38〉 마이크로메가스, 1978 64

〈그림 39〉 현대산업개발, 2005 64

〈그림 40〉 유대인 박물관, 1989 65

〈그림 41〉 동선도 65

〈그림 42〉 지하 진입구 상하부 이미지 65

〈그림 43〉 구분 가능하지만 식별 불가능한 현재와 과거는 경계 65

〈그림 44〉 비워진 실내 공간들 66

〈그림 45〉 채워진 보이드 공간과 금속 조각들 67

〈그림 46〉 과거와 미래로 끊임없이 분할하는 현재 68

〈그림 47〉 고난의 길의 내 외부 69

〈그림 48〉 현재와 과거가 상호 교환하는 공간 장치 69

〈그림 49〉 피터 아이젠만 71

〈그림 50〉 유태인 기념공원, 베를린, 2005 71

〈그림 51〉 웩스너 센터 72

〈그림 52〉 과거 철거 전 모습 72

〈그림 53〉 철거되는 모습 72

〈그림 54〉 팰림세스트 73

〈그림 55〉 기초석 흔적 73

〈그림 56〉 복원된 기초석 73

〈그림 57〉 복원된 입면 조감도 74

〈그림 58〉 복원된 입면 상세 74

〈그림 59〉 프레임 조감도 75

〈그림 60〉 프레임에 의한 내 외부 상세 75

〈그림 61〉 웹 3.0 과 창의적인 업무공간 79

〈그림 62〉 대지 주변 동선의 속도와 프로그램 분석 80

〈그림 63〉 홍대 앞 계획대지 80

〈그림 64〉 일탈적인 움직임에 의한 뇌의 활성화 80

〈그림 65〉 창의적인 움직임과 공원과의 관계 81

〈그림 66〉 램프와 계단의 다양성에 의한 일탈적 움직임 생성 82

〈그림 67〉 내부 개념도 82

〈그림 68〉 전체 개념도 83

〈그림 69〉 서교 365 평면, 입면 84

〈그림 70〉 시간의 이접, 건축 재료의 이접, 다양한 사람들의 이접, 서교365 85

〈그림 71〉 프란시스 베이컨의 자화상 85

〈그림 72〉 Matamophosis, 한성필, 2011 85

〈그림 73〉 Event Space 86

〈그림 74〉 프로그램 다이어그램 87

〈그림 75〉 프로그램 분석 87

〈그림 76〉 모형 스터디 88

〈그림 77〉 길(path)의 입체화 88

〈그림 78〉 프로그램에 따라 확장 가능성 88

〈그림 79〉 유리 패턴 분석 89

〈그림 80〉 길의 스케일에서 확장된 위상학적인 변화 90

〈그림 81〉 평면도와 프로그램 90

〈그림 82〉 멀리온 간격 분석 91

〈그림 83〉 유리 굴곡율 분석 91

〈그림 84〉 유리 왜곡율 분석 91

〈그림 85〉 조감도 92

〈그림 86〉 결정체-이미지를 생성하는 중정 공간의 상세입면 92

〈그림 87〉 종묘현황 93

〈그림 88〉 종묘의 건축적 요소의 분석 94

〈그림 89〉 종묘의 길 분석 94

〈그림 90〉 종묘공간과 건축계획 95

〈그림 91〉 초기 스캐치와 단면 95

〈그림 92〉 자기 유사성을 가지며 분기하는 길 96

〈그림 93〉 길의 강도에 따라 길의 형태 변화 96

〈그림 94〉 동선의 다양한 형태 97

〈그림 95〉 과거와 현재는 길이라는 형식으로 연결 98

〈그림 96〉 모형 단계별 변화 99

〈그림 97〉 지붕층 평면, 단면, 상세 이미지 99

〈그림 98〉 전시 패넬 1 103

〈그림 99〉 전시 패넬 2 104

〈그림100〉 전시 패넬 3 105

초록보기 더보기

 오늘날 건축이론은 총체적인 하나의 개념으로 정의하기 힘들며 타 분야와 공명하면서 끊임없이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논문은 들뢰즈의 현대영화와 현대건축의 상호관계성을 탐색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한다. 특히, 이 연구는 질 들뢰즈의 영화적 사유의 정점인 세 종류의 시간-이미지, 즉 순수 시청각적 상황, 결정체이미지, 그리고 거짓의 역량을 이해하고 이 개념들을 해체주의적인 건축에 적용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 개념을 실재 건축계획에 확인한다.

첫 번째, 순수 시청각적 상황의 시간-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장 뤽 고다르 감독의 '미치광이 피에로'와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동경 이야기'를 분석하며, 이 개념을 건축 공간에서 확인한다. 이러한 시간-이미지의 건축적 사례로 렘 콜하스의 로테르담 쿤스탈 뮤지엄을 찾을 수 있다. 이 박물관의 내부공간은 기울어진 경사판들의 관계들에 의해서 구성되며 끊임없이 방황, 배회하게 만드는 다양한 변형된 경로들로 구성 된다. 결과적으로 이 박물관은 애매하고 느슨하고 그리고 예상치 않은 공간들 때문에 순수 시청각적 이미지를 생성함을 알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 개념을 창의적인 업무 공간에 적용하여 순수 시청각적 공간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두 번째, 결정체이미지의 시간이미지는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8과 1/2'과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정사'를 분석하여 건축 공간에서 이를 확인한다. 이러한 결정체이미지의 적용사례로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을 분석한다. 이 박물관의 내부 공간은 거친 콘크리트, 차가운 공기, 바닥에서의 금속재 조각들을 통해서 과거로부터의 고통스러운 기억과 현재의 공간이 서로 교감하며 결정체-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 결과를 기반으로 홍대 앞에 결정체-이미지를 적용한 문화상업시설을 계획 한다.

마지막으로, 거짓의 역량의 시간-이미지를 위해서,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의 '정오의 낯선 물체'와 알랭 레네 감독의 '지난해 마리엥바트에서'를 분석하고 이것을 건축공간에서 찾는다. 이러한 시간-이미지의 예는 피터 아이젠만의 오하이오대학 웩스터 예술센터에서 적용되어 질 수 있다. 이 장소는 과거의 오래된 유적의 복원에서 출발하여 아이젠만의 거짓된 논리에 의해 새롭게 구축된 진실과 거짓이 설명 불가능한 지점을 형성하며 새로운 시간-이미지를 사유하게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종묘박물관계획에 이 개념을 적용한다.

간단히 말하면, 이 논문은 들뢰즈 영화의 시간-이미지 개념을 통해 건축공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 가능하다. 즉 이것은 들뢰즈의 영화적 사유와 해체주의 건축은 서로 공명 하며 상호 관계성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두 분야는 전복을 통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했던 이전의 아방가르드적인 예술형식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선상에 위치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