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전략물자 수출통제제도의 변화와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plan of the export control system of strategic items / 최재희 인기도
발행사항
음성군 : 극동대학교 글로벌대학원, 2012.8
청구기호
TM 382 -12-573
형태사항
iv, 11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3911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극동대학교 글로벌대학원, 국제통상학과, 2012.8. 지도교수: 이상옥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第1章 서론 8

第1節 연구목적 8

第2節 연구의 방법과 이론적 고찰 10

1. 연구의 범위 10

2. 연구의 방법 11

3. 이론적 고찰 12

第2章 전략물자 수출통제제도의 변화와 국제동향 14

第1節 비확산 수출통제체제의 구축 15

1. 생·화학무기금지협정과 호주그룹 17

2. 핵확산방지와 핵공급그룹 19

3. 미사일기술통제체제 22

第2節 비확산 규범의 국제법상의 문제점과 정당성 24

1. 비확산규범의 법적 구속력 24

2. 비확산규범의 역외적용 25

3. 확산방지구상의 문제점과 정당성 27

第3節 수출통제제도의 국제동향과 정상회의 선언 28

1. 국제연합 28

2. UN안보리 결의 29

3. 국제 정상회의 선언 30

第4節 주요국의 수출통제제도 30

1. 미국의 수출통제제도 30

2. 일본의 수출통제제도 34

3. 중국의 수출통제제도 38

4. EU의 수출통제제도 50

5. 한국의 수출통제제도 51

第3章 전략물자 수출통제제도의 적법성과 대북제재의 정당성 54

第1節 국가안보를 위한 전략물자수출통제의 적법성 54

1. 전략물자와 전략물자 수출통제의 관계 54

2. 국가안보를 위한 전략물자 수출통제의 법적 근거 54

3. 국가안보와 전략물자 통제간의 쟁점분석 55

第2節 미국 수출관리규정(EAR)의 역외적용 문제 58

1. 국제법상의 국가관할권 규칙 58

2. 남북경협에 대한 미국 EAR 역외적용의 법적 근거 및 적법성 판단 60

第3節 제3국을 통한 전략물자의 수출통제 문제 65

1. 전략물자 중개행위 및 제3국 중개 66

2. 전략물자 중개행위 규제의 법적근거 66

第4節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저촉 문제 67

1. UN 결의의 주요내용 67

2. UN 결의 준수의 법적 근거 72

第5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의 정당성 73

1. 한국의 확산방지구상 참여 73

2. 국제사회의 대북 금융제재 75

3. 대북한 확산방지구상에 대한 한계 77

第4章 전략물자 수출통제제도의 과제와 한국의 운용방안 81

第1節 국내외 협력기반 시스템 강화 81

1. 산업계, 관계부처와 협력 81

2. 국제적 책임성 제고 83

第2節 전략물자 수출통제제도의 대외적 운용방안 85

1. 한·미 전략물자 관리기구(KUSGO)의 구축 85

2. 남북 경제협력강화약정(CEPA)의 추진 87

第3節 한국의 수출통제제도의 운용방안 94

1. 온라인시스템의 판정도구 94

2. 전략물자 관련 기업에 대한 관리 95

3. 전략물자 수출허가기관의 분산상태의 효율적 운영 95

4. 통제품목의 수준, 수입자 세분화에 의한 관리체계 도입 96

第5章 結論 97

Abstract 99

參考文獻 102

약어표 115

〈표 3-1〉 국제비확산체제 현황 17

〈표 3-2〉 일본 수출통제제도의 법적 구조 37

〈표 3-3〉 중국의 통제품목 리스트 40

〈표 3-4〉 화학물질 통제리스트 41

〈표 3-5〉 군수품 수출통제리스트 구성 43

〈표 4-1〉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내용 비교 70

〈표 5-1〉 대북 반출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물품과 설비 86

〈표 5-2〉 CEPA로 인한 내륙시장에서 홍콩상품의 관세혜택 91

〈표 5-3〉 미국의 주요품목별 관세율 93

초록보기 더보기

 Export control was first triggered by international export control system at US led COCOM in 1949.

Numerous international efforts such as NPT in 1969, ZC in 1970, NSG in 1978, AG in 1985, MTCR in 1987, Wassenaar Arrangement(WA) establishment in 1995 with 1990's the fall of the Berlin Wall, have been made since.

The concept of export control has been changed from weaponry and parts export control to preventing or blocking weaponry, respective goods and relevant technology from the hand of troubled regions and non-state actors as terrorist groups; and the new concept is described as Nonproliferation Control.

Extent of control items is not only limited to conventional weaponry, but also includes weapons of mass destruction(WMD) and even dual use items which can be used for production, development, usage or storage.

Control items include all items defined by NSG, MTCR, AG, WA, and CMC-Opec.

UNSCR all members states to comply with export control for the non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refore, Korea has such a task to implement export control in order to maintain high trade rgowth.

To control the transfer of sensitive items to communist countries, COCOM has been established and Korea in ili ally adopted this primitive export control system through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oreign Trade Act in 1987. Over the years, COCOM has been changed into multilateral export control regimes which aim to prevent the transfer to the end-users of concern Who will divert the transferred items to WMD purpose.

Under this circumstances, government and industries need to check at least the following export control elements: and-user/end-user control, border control, enforcement and guidelines. However, each country deal with these elements in different ways.

In studying each country's implementation stance, Korea export control system has been dealt with bt two separate sections by the condition of implementation system. From 1987 to 2003 is stage I when Korea's suffered from week implementation and from 2003 to 2010 in stage when Korea bult web-based system, yestrade.

In stage II, implementation system has been great improved in comparison to the prior stage.

Even after the improvement made by adoption of the Web-base management system, there are still many features that could be enhanced: end-user review, border control, post-shipment management system, unilateral control of items significant to national security, Penalty for domestic use of WMD.

Industries must keep in mind that non-compliance could lead to the visible loss trade opportunity.

The 9.11 terror had a strong influence on international society. Effort to prevent WMD proliferation has now become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international security.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for non-proliferation law and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based on problem and limitation identification along with analysis of nonproliferation law and implementation examples by type. Furthermore for the purpose of national and global security, export control system on strategic items which are considered to be a key issue in South and North Korea relationship needs to be effectively managed. Recently, North Korea's missile and nuclear tests have been criticized globally; and the global society including respective countries as China and South Korea is striving to urge export control in line with the UN resolutio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