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응용광물학적 활용을 위한 주요 산지별 전기석의 특성 연구 / 엄결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D 551 -13-79
형태사항
xvii, 14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1514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부경대학교 대학원, 환경지질과학과, 2013.2. 지도교수: 박맹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6

제1장 서언 21

1.1. 연구배경 21

1.2. 연구 내용 및 목적 22

1.3. 전기석의 용도 23

제2장 전기석의 광물학적 특성 25

2.1. 전기석의 분류 25

2.2. 전기석의 물리학적 성질 28

2.2.1. 전기석의 결정학적 성질 28

2.2.2. 전기석의 분광학적 성질 31

2.3. 전기석의 화학적 성질 32

2.4. 전기석의 보석광물학적 성질 34

제3장 연구 재료 38

3.1. 전기석의 산출특성 38

3.1.1. 중국산 전기석(CT) 39

3.1.2. 브라질산 전기석(BT) 39

3.1.3. 한국산 전기석(DT) 40

3.2. 대조군 옥광물 40

제4장 연구 방법 43

4.1. 조직 및 광학적 분석 44

4.2. 결정학적 분석 44

4.3. 화학조성 분석 45

4.3.1. 주성분 및 부성분 원소 45

4.3.2. 미량 원소 45

4.4. pH - Eh(DO) 조절 기능 분석 46

4.5. 분광학적 분석 48

4.5.1. 푸리에 변환 라만분광(FT-IR) 분석 48

4.5.2. 원적외선 분광(IR) 분석 48

4.6. 핵자기 공명(NMR) 분석 50

4.7. 음이온 분석 51

4.8. 건강증진 용도의 임상학적 분석 52

4.8.1. 체온, 혈압 및 맥박의 측정 52

4.8.2. 전기석 비누의 피부 영향 측정 53

제5장 연구 결과 55

5.1. 광물의 구조와 광학적 특성 55

5.2. 결정학적 특성 62

5.3. 화학적 특성 66

5.3.1. 주성분원소 및 부성분 원소 66

5.3.2. 미량 원소 74

5.4. pH - Eh(DO) 조절 작용 79

5.5. 분광학적 특성 92

5.5.1.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특성 92

5.5.2. 원적외선 방사 특성 95

5.6. 핵자기 공명 분석(NMR)의 결과 97

5.7. 음이온의 발생 특성 103

5.8. 건강증진 용도를 위한 임상적 결과 109

5.8.1. 체온,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영향 109

5.8.2. 전기석 비누의 피부 영향 측정 결과 116

제6장 토의 119

6.1. 화학조성과 결정학적 특성 119

6.2. 화학조성과 분광학적 특성과의 상관성 120

6.3. 결정학적 특성과 분광학적 에너지와의 상관성 125

6.4. 분광학적 에너지와 핵자기 공명 결과와의 상관성 129

6.5. 음이온 함량과 분광학적 특성간의 관계 131

6.6. pH - Eh(DO) 조절 특성 135

6.7. 전기석과 옥광물의 방사 및 분광 에너지 비교 136

6.8. 전기석과 옥광물의 방사에너지 및 인체 반응 138

6.9. 전기석의 의료광물학적 활용성 140

제7장 결론 143

참고문헌 145

요약 155

학위과정 연구 159

Table 1. End-members of common tourmaline group. 27

Table 2. Dielectric constant of jewel tourmaline. 31

Table 3. Color formation of jewel tourmaline. 33

Table 4. End-member species of current tourmaline accepted by IMA. 36

Table 5. Additional hypothetical tourmaline species inferred from probable site occupancies that are not currently recognized by IMA. 37

Table 6. Specimen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d tourmalines (CT1, CT2, CT3, CT4, CT5, BT1, BT2 and DT1) and jades(CN, KN, RN, LS, NS and CA). 41

Table 7. Analytical condition of Ion chromatography. 52

Table 8. High-intensity reflections of the CT1, BT1, BT2 and DT1. 65

Table 9. The cell parameters of tourmaline from the different location. 65

Table 10. Electron microprobe analyses of tourmaline from China (CT1 CT2, CT3, CT4 and CT5), Brazil(BT1 and BT2), and Korea(DT1). 67

Table 11. CaO/CaO+Na₂O and MgO/FeO+MgO ratios of the studied tourmalines. 73

Table 12. Chemical concentrations(ppm) of trace elements in tourmaline, nephrite, serpentine and agate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ICP). 76

Table 13. DO variations of distilled water changed with reaction time for studied tourmaline(CT1, BT1, BT2 and DT1), nephrites(RN and CN), serpentine(NS and LS) powder. 80

Table 14. pH variations of distilled water changed with reaction time for studied tourmaline(CT1, BT1, BT2 and DT1), nephrites(RN and CN), serpentine(NS and LS) powder. 82

Table 15. pH variations of running water changed with reaction time for studied tourmaline(CT1, BT1, BT2 and DT1), serpentine(NS) powder. 84

Table 16. DO variation of distilled water after react with tourmaline and serpentine grains. 86

Table 17. pH variation of distilled water after react with tourmaline and serpentine grains. 88

Table 18. pH variations of water changed with reaction time for studied tourmaline, nephrite and serpentine powders. 90

Table 19. Infra-red emissivity of tourmaline, nephrite, serpentine, and agate. 96

Table 20. 17O-NMR spectra results of tourmaline, nephrite and serpentine reacted with distilled water.(이미지참조) 99

Table 21. 17O-NMR spectra results of CT1 tourmaline reacted with distilled water.(이미지참조) 102

Table 22. Anion concentration(ppm) react with tourmaline, nephrite and serpentine powder. 106

Table 23. Anion concentration(ppm) react with tourmaline and agate grains. 108

Table 24. The clinical results from tourmaline sauna study. 110

Table 25. The clinical results from serpentine sauna study. 113

Table 26. After application of the tourmaline soap for 6 monthes. 117

Figure 1. Tourmaline structure modules. 30

Figure 2. Photographs of tourmaline from China, Brazil and Korea. 42

Figure 3. Spectrum analysis of electromagnetic waves. 50

Figure 4. Microphotographs of tourmaline from China(CT1), Brazil(BT1 and BT2) and Korea (DT1). 58

Figure 5. Microphotographs of nephrite from China(CN) and North Korea(NS). 59

Figure 6. Microphotographs of serpentine from China(CN and LS), Russia(RN) and North Korea(NS). 60

Figure 7. Microphotographs serpentine(LS) and agate(CA). 61

Figure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studied CT1 and DT1 tourmalines. 63

Figure 9.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studied BT1 and BT2 tourmalines. 64

Figure 10. Major element combination of the studied specimens from the different locality. 68

Figure 11. Major element combination of the studied specimens from the different locality. 69

Figure 12. Major element combination of the studied specimens from the different locality. 70

Figure 13. Major element combination of the studied specimens from the different locality. 71

Figure 14. Major element combination of the studied specimens from the different locality. 72

Figure 15.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composition ratios of the studied tourmalines. 74

Figure 16. Concentrations(ppm) of Ni, Zr, Co and Ga in the tourmaline, nephrite, serpentine and agate. 77

Figure 17. Concentrations(ppm) of Cr, Zn and Cu in the tourmaline, nephrite, serpentine and agate. 77

Figure 18. DO variations of distilled water changed with reaction time for the studied tourmaline(CT1, BT1, BT2 and DT1), nephrite(RN and CN) and serpentine(LS and NS) powders. 81

Figure 19. pH variations of distilled water changed with reaction time for the studied tourmaline(CT1, BT1, BT2 and DT1), nephrite(RN and CN) and serpentine(LS and NS) powders. 83

Figure 20. pH variations of distilled water changed with reaction time for the studied tourmaline(CT1, BT1, BT2 and DT1), serpentine(NS) powders. 85

Figure 21. DO variation of distilled water after reacted with tourmaline and serpentine grains. 87

Figure 22. pH variation of distillted water after reacted with tourmaline and serpentine grains. 89

Figure 23. pH variations of water changed with reaction time for the studied tourmaline, nephrite and serpentine powders. 91

Figure 24. FT-Raman transmission spectra of the tourmaline(CT1). 93

Figure 25. FT-Raman transmission spectra of the tourmaline(BT1). 94

Figure 26. FT-Raman transmission spectra of the tourmaline(DT1). 94

Figure 27. Infra-red emissivity of tourmaline, nephrite and serpentine. 97

Figure 28. 17O-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 spectra for distilled water reacted with the different tourmalines(CT1, BT1, BT2 and DT1).(이미지참조) 100

Figure 29. 17O-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NMR) spectra for distilled water reacted with the different tourmalines(LS, RN, NS and CN).(이미지참조) 101

Figure 30. 17O-NMR spectra result of the tourmaline(CT1) reacted with distilled water.(이미지참조) 103

Figure 31. Histogram for the anion concentration(ppm) reacted with tourmaline, nephrite, and sepentine powders. 107

Figure 32. Histogram for the anion concentration(ppm) reacted with tourmaline and agate grains. 108

Figure 33. The clinical results group A from the tourmaline sauna study. 111

Figure 34. The clinical results group B from the tourmaline sauna study. 112

Figure 35. The clinical results group C from the tourmaline sauna study. 112

Figure 36. The clinical results group A from the serpentine sauna study. 114

Figure 37. The clinical results group B from the serpentine sauna study. 115

Figure 38. The clinical results group C from the serpentine sauna study. 115

Figure 39. Effectivity after application of the tourmaline soap for 6 monthes. 118

Figure 40. Relation between Fe, Al, Mg, Si and B contents and IR intensities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powders. 122

Figure 41. Relation between F-, Cl- and SO42- contents and IR intensities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powders.(이미지참조) 123

Figure 42. Relation between F-, Cl-, SO and SO42- and NO32- contents and IR intensities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grains.(이미지참조) 124

Figure 43. Relation between a and c parameter and IR intensities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s. 127

Figure 44. Relation between NMR values and a and c parameter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powders. 128

Figure 45. Relation between NMR contents and IR intensities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powders 130

Figure 46. Relations between F-, Cl-, SO42- and NO32-, contents and intensities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grains.(이미지참조) 132

Figure 47. Relations between F-, CI- and SO42-, contents respectively, and IR intensities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powders.(이미지참조) 133

Figure 48. Relation between F-, Cl-, NO32- and SO42- contents respectively, and IR intensities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grains.(이미지참조) 134

Figure 49. Relation between NMR, contents and emissivity of the studied the tourmaline powders. 137

초록보기 더보기

 전기석(Tourmaline)은 천연광물 중에서 영구적으로 전기적 성질을 갖는 규산염 광물로서, 그 전기성이 응용광물학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므로 전기석의 물리적, 화학적 및 분광학적 특성의 이해는 환경분야 뿐만아니라 보건 분야의 용도와 활용성을 높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중국산 흑색 전기석과 브라질산 흑색 전기석 및 핑크 전기석, 한국 대유광산의 흑색 전기석을 비롯하여, 대조 광물군으로 중국의 경옥, 연옥, 사문석 옥 및 마노옥, 한국의 연옥, 북한 사문석 옥, 러시아 연옥을 대상으로 전자현미경(SEM) 관찰, X-선 회절분석(XRD), X-선 형광(XRF)분석, 유도결합 플라스마 분광(ICP) 분석, 퓨리에 변환 라만 분광(FT-Raman) 분석, 원적외선(FIR) 분석, 핵자기 공명(NMR) 분석, 음이온(IC) 분석, 핵자기 공명 특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전기석과 옥 광물의 광물학적, 화학적, 분광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방사에너지의 분광학적 특성과 비교 검토하였다. 전기석이 지니는 계면 활성적 특성의 보건학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기석이 함유된 비누를 제작하여 피부의 상태를 달리하는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전기석은 편광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일반적으로 주상(柱狀)결정형 또는 세립상의 집합체 양상을 나타내며, 생성환경의 차이에 의한 수직방향의 조선이 발달이 관찰된다. 연구 대상 시료의 화학식, 단위포 계수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특징을 종합할 때, 한국산 시료는 철전기석에 속하며, 중국산과 브라질산 전기석은 마그네슘 전기석의 특성을 나타낸다.

화학조성에서 Y-사이트에 속하는 금속원소는 각각 높은 Fe과 Al함량을 갖는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 들 두 원소는 서로 상대적인 함량비를 나타낸다. Al함량이 높으면 Fe함량이 감소되며, Mg함량은 증가된다. K와 Ca 함량은 그 구성 비율이 상대적이며, 이러한 특성은 Na와 K 함량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나타낸다. Fe와 B 함량은 상대적인 함량비를 갖는 고용체를 형성한다. CaO/CaO+Na2O와 MgO/FeO+MgO의 함량비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산지별 전기석의 미량원소는 성분과 함량이 다양하며, 비교적 낮은 미량원소를 함유한다. 옥 광물의 경우, 러시아 연옥은 환경 중금속에 속하는 Cr, Cu, 및 Zn의 함량은 타 산지에 비해 매우 높다.

물과 전기석 및 옥 광물 간의 반응에서 pH-Eh 조절작용을 보여주며, pH와 DO는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한다. 전기석의 입자의 경우에는 첨가 함량이 많아질수록 pH가 높아지며, pH=8에서 안정된다. 전기석은 옥광물에 비해 낮은 DO를 형성하며, 그 변화폭이 크다. 전기석은 증류수의 DO를 광물 첨가에 따라 초기 6시간동안은 미약한 증가시키며, 1일 경과 후에는 급격히 감소(DO=9.6이하)된 후 2일 및 5일 까지는 완만한 증가를 보인다. 증류수에서는 1일 경과후 pH가 7.22-7.26범위로서 강한 증가를 나타내며, 이후 5일 경과 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한편 옥분말의 첨가에 의해서는 전기석에 비해 초기에 다소 낮은 pH(6.08-6.15)를 나타내며,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전기석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5일 경과후의 pH는 6.05-6.11로 유지되었다.

FT-IR분석에서 전기석 시료는 단파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투과율을 나타내며, 흡수스펙트럼의 강도가 비교적 났다. 전기석의 흡수 스펙트럼의 파장과 강도는 구성원소의 함량과 결정학적 특징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철의 함량증가는 방사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기석의 화학조성과 분광학적 특성중 원적외선 방사량과의 상관성은 입자 시료의 경우에는 Si와 Fe함량의 방사량은 높은 정(+)의 상관성을 갖으나, Al와 Mg함량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전기석의 음이온 함량과 원적외선 방사량과의 상관성은 입자시료인 경우에는 F-, Cl-, NO32-성분에서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결정학적으로 A축의 결정상수가 커짐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전기석과 옥 광물의 방사 및 분광 에너지 비교에서 옥 광물는 전기석보다 높은 에너지를 갖으며, 그중 연옥이 높은 에너지를 가짐을 나타냈다.

전기석 분말과 입자를 증류수에 넣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측정된 17O- NMR 분석결과, 전기석은 반치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옥광물 보다 큰 반치폭의 변화를 보여줌을 알 수 있다.

증류수와 전기석 분말 및 입자와의 반응을 통해 증류수는 알칼리화 되며, 음이온 중 입자시료와의 반응에서 F-, Cl- 및 SO42-가 상대적으로 높게 생성된다.

전기석의 온열지속반응에 의한 온열효과는 인체의 체온, 맥박 및 혈압에 영향을 준다. 전기석의 온열지속 반응의 경우 체온을 1.5℃내지 0.5℃정도 높아지고 또한 온열 효과가 지속되며, 맥박은 평균 12회, 혈압은 10mgHg 상승한다. 전기석과 옥광물 온열지속반응 비교 결과 옥광물 온열지속 반응의 더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석 비누는 피부에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알레르기와 아토피 등의 문제성 피부에 보통이상의 개선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산지별 전기석의 응용광물학적 연구결과는 전기석의 환경 및 의료 보건분야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의학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 같으나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1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원적외선 온열효과가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에 관한 연구 소장
2 1992, 원적외선 사우나와 게르마늄, 264p. 미소장
3 1996, 원적외선 방사 원료광물 및 암석 특성, 광물과 산업. v. 9, no. 2, 2-8. 미소장
4 1997, 천연광물과 암석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및 활용검토, 제3회 한일원적외선 심포지움 논문집, 7-23. 미소장
5 반응경로모델링에 의한 광물약의 체내 존재 형태 규명과 유효성분 탐색 : 신약물질 개발의 활용성 연구 소장
6 2001, 광물성 한약재로 이용되는 철산화 및 수산화 광물의 분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330-334. 미소장
7 1996, 광물학원론, 우성출판사, 512-575. 미소장
8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 네이버 미소장
9 1993, 보석 내포물, 춘광 도서출판사, 395-401. 미소장
10 Gem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 C. Jade 소장
11 Mechanism of Far-infrared how to affect the human body 소장
12 1991, 생리학, 고문사, 61-152. 미소장
13 1998, 한국 용골에 대한 생약품질 표준연구, 제53차 대한지질학회학술발표회 논문집, 42-42. 미소장
14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NMR Spectroscopy 네이버 미소장
15 1987, 응용지구 물리학, 우성문화사, 231-300. 미소장
16 춘천산 연옥의 조직 및 인성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17 假像體液에 대한 鑛物藥의 반응 특성 모델링 ; 胃液-朱砂 반응과 水銀着物의 농도 소장
18 1995, 국내외 원적외선 이용현황, 제1회 원적외선 가열.건조 심포지움 발표집, 35-37. 미소장
19 2000, 원적외선 기능수와 수돗물의 수질특성비교, 원적외선 기술향상 세미나, 5-26. 미소장
20 2006, 의료용으로 활용되는 산지별 옥의 광물학적 특성연구, 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106-108. 미소장
21 2006, 의료용으로 활용되는 산지별 옥의 광물학적 특성연구, 석사학위 논문, 64p. 미소장
22 2005, 약용광물학, 의성당, 649p. 미소장
23 약광물로서의 활용을 위한 활석에 대한 환경지화학적 연구 네이버 미소장
24 1997, 생체조직에 미치는 원적외선의 효과, 제3회 한일원적외선 심포지움 논문집, 81-89. 미소장
25 1995, 금속과 독성, 환경화학, 신광문화사, 525-562. 미소장
26 의료용으로 이용되는 천연광물(광물생약)의 분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 소장
27 2004, 원적외선의 특성과 효능, 349p. 미소장
28 1996, FT-IR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특성, 요업기술학회, Vol. 11, No. 1, 30-38. 미소장
29 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1995, 본초학, 大韓藥師會, 900p. 미소장
30 한국원적외선협회,2000, 평가 및 이용기술분야, 원적외선자료집, 231-300. 미소장
31 1613, 동의보감, 성문사, 142-817. 미소장
32 1993, 장계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4-9. 미소장
33 Refinement of the crystal structure of buergerite and the absolute orientation of tourmalines 네이버 미소장
34 1991, Halloysite-a critical assessment, Sciences Geologiques Memoires, 86, 89-98. 미소장
35 1980, Order-disorder in clay mineral structures: In crystal structures of clay minerals and their x-ray identification, Mineralogical... 미소장
36 1985, The tourmaline group,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New York, 300p. 미소장
37 1934, The structure of vermiculites and their collapse by dehydration, American Mineralogist, 19, 557-575. 미소장
38 1991, Remote Sensing Geology, Springer-verlag, Berlin, New-York, 1-34. 미소장
39 Amsterdam: Planning the waterfronts 네이버 미소장
40 Biological activities caused by far-infrared radiation. 네이버 미소장
41 Influence of tourmaline on pH value of water 네이버 미소장
42 1985, Tourmaline as a recorder of pegmatite evolution: Bob Ingersoll pegmatite, Black Hills, South Dakota, American Mineralogist, 71,... 미소장
43 Power spectral analysis of autonomic nervous activity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네이버 미소장
44 1989, Engineering application of solid state physics: Interface activity of water given rise to by tourmaline, Solid State Physics,... 미소장
45 Tourmaline group crystals reaction with water 네이버 미소장
46 Tourmaline and lithium niobate reaction with water 네이버 미소장
47 Difference of mechanochemical factors for Al2O3 powders upon dry and wet grinding 네이버 미소장
48 Study of Structural Disorder in Natural Tourmalines by Infrared Spectroscopy 네이버 미소장
49 Fe ordering in kaolinite; insights from 29 Si and 27 Al MAS NMR spectroscopy 네이버 미소장
50 The effect of water vapour atmospheres on the thermal transformation of kaolinite investigated by XRD, FTIR and solid state MAS NMR 네이버 미소장
51 1993, Effects of chemical and physical form on the bioavailability of arsenic in the environment, New orleans, 94p. 미소장
52 2007, 环境功能负离子涂料的制备及抗菌性能研究, 中山大学学报:自然科学版,46(B06): 171~172. 미소장
53 2007,天然矿物电气石产生空气负离子性能研究, 功能材料,(A09):3317~3319. 미소장
54 2007, 电气石矿物材料的特性, 功能材料, A09期. 미소장
55 2007, 电气石对硅藻土基多孔陶瓷结构和性能的影响, 功能材料, A06期. 미소장
56 2007, 电气石的化学成分与其晶格常数的关系, 同济大学学报,自然科学版, 35(10): 1425~1429. 미소장
57 2007, 电气石深加工与应用技术研究现状, 中国建材科技, (5): 41~45. 미소장
58 2007, 电气石的功能属性及应用. 中国非金属矿工业导刊,(5): 9 ~11. 미소장
59 姚志通,叶瑛等, 2007, 电气石在水产养殖水处理中的应用, 渔业现代化, (5): 18~19. 미소장
60 2007, 电气石对硝化菌生长和生物膜形成, 熟化的影响, 水产科学, 26(8): 461~464. 미소장
61 2007, 国内外电气石研究进展, 山东国土资源, 23(6):16-20. 미소장
62 2007, 电气石粉对油田采出废水处理效果实验研究, 岩石矿物学杂志, 26(4) : 375~380. 미소장
63 2007, 电气石的开发前景广阔, 山东陶瓷, 30(3):45~46. 미소장
64 2007, 藏南过铝花岗岩中电气石的矿物化学特征及成因意义, 现代地质, 21(2): 291~295. 미소장
65 2007, 电气石/树脂复合材料对柴油锅炉油耗及排污的响, 硅酸盐学报,(4): 23~27. 미소장
66 2007, 电气石在环境领域的最新应用研究:处理格素蓝BF~BR染料废水, 环境工程学报, 1(4): 65~69. 미소장
67 2007, 电气石的性质及应用展望, 矿业快报, (3): 14~20. 미소장
68 2007, 负离子塑料的制备与研究, 塑料制造, (3): 43~46. 미소장
69 2007, 电气石保健行业的瑰宝, 知识经济, (1): 26~27. 미소장
70 2006, 辽宁后仙峪硼矿床中电气石的矿物学特征及其, 成岩成矿意义, 中国地质, 33(6): 1386~1392. 미소장
71 2006, 电气石粉吸附Pb2+的实验研究, 江苏环境科技, 6: 87~91. 미소장
72 2006, 电气石微粉的研制及其在环境功能材料中的应用, 矿产综合利用, (6): 43~46. 미소장
73 2006, PET负离子纤维的制备及其性能研究, 合成纤维工业, 29(6): 12~14. 미소장
74 2006, 负离子铸铁搪瓷的研制, 璃与搪瓷, 34(6): 10~14. 미소장
75 2006, 负离子织物负离子发生能力的影响因素, 纺织学报, 27(12): 88~91. 미소장
76 2006, 聚酯负离子纤维的制备及其性能研究, 聚酯工业, 19(6): 14~17. 미소장
77 2006, 电气石粉体的机械力化学法表面有机化改性研究, 中国非金属矿工业导刊, (s): 33~35. 미소장
78 2006, 电气石远红外辐射对水表面张力的影响, 硅酸盐学报, 34(5): 580~584. 미소장
79 2006, 负离子远红外功能整理剂及其在纺织业中的应用, 印染助剂, 23(9): 25~27. 미소장
80 2006, 电气石性能与环保领域的产品开发应用, 广州化工, 34(4): 69~72. 미소장
81 2002, 极性晶体电气石颗粒的电极性观察, 人工晶体学报, (05): 17~20. 미소장
82 聚类方法在电气石颜色成因研究中的应用. 东华理工学院学报, 2006, 29(1): 38~42. 미소장
83 2006, 天然矿物功能晶体材料电气石的研究进展, 功能材料, (4): 28~30. 미소장
84 2006, 电气石的环境功能属性及应用研究动态, 中国非金属矿工业导刊, (1): 10~14. 미소장
85 2006, 负离子环保陶瓷的研究, 佛山陶瓷, 16(1): 4~7. 미소장
86 2006, 电气石在内墙涂料中的应用研究进展, 应用化工, 35(2): 81~83. 미소장
87 2006, 电气石粉体电磁屏蔽性能研究, 非金属矿,29(1): 5~7. 미소장
88 2001, 鲁西柳家电气石矿矿物学特征及成矿机理讨, 山东地质, 17(1): 35~39. 미소장
89 1996, 广西大厂电气石的成分与成因初探, 岩石矿物学杂志, l5(3): 280~287. 미소장
90 1993, 电气石对成岩成矿环境的示踪性及应用条, 地质论评,39(6): 497~507. 미소장
91 2005, 湿式强磁选提纯黑电气石的试验研究, 金属矿山,(5): 31~33. 미소장
92 2002, 钙镁电气石检测特征探析, 南阳师范学报, 1(2): 75~77. 미소장
93 2004, 电气石纳米材料在卫生保健纺织领域的应用, 印染,(7)15-17. 미소장
94 2004, 电气石族矿物学研究的新进展, 中国非金属工业导刊, (6): 21~24. 미소장
95 2001, 电气石的电场效应及其在环境领域中的应前景, 岩石矿物杂志, 20(4): 12~16. 미소장
96 1988, 哀牢山南段宝石矿产的初步认识, 云南区域地质, (6): 56~60. 미소장
97 2004, 我国电气石资源分布、地质特征及其开发利用, 前景分析, 矿产与地质, 18(5): 493~497. 미소장
98 1996, 新疆沙尔布拉克金矿床中的层状电气石特征及成因, 成都理工学院学报, l 23(1): 1~7. 미소장
99 1990, 新疆阿尔泰山宝石矿物的产出特征, 珠宝, (1): 13~67. 미소장
100 1995, 桂北地区矿床成矿系列和成矿历史演化轨迹, 南宁:广西科学技术出版杜, (3): 35~49. 미소장
101 1994, 广西某地绿碧玺的发现与鉴定, 广西地质, 7(1):37~40. 미소장
102 2002, Mg~Fe 电气石的热膨胀与相变, 矿物学报, 22(4): 383~386. 미소장
103 2002, 天然黑色电气石红外辐射特性研究, 同济大学学报:自然科学版, 30(2): 183~188. 미소장
104 2002, 天然黑色电气石热释电特性的研究, 宝石和宝石学杂志, (1): 34~38. 미소장
105 2003, 电气石的自发极化效应在环境与健康领域的应用, 中国非金属矿工业导刊, (1): 47~49. 미소장
106 2004, 国内外电气石开发研究现状及应用前景展望, 矿冶, 13(1): 97~100. 미소장
107 2004, 电气石的自发电极性在水质净化和改善领域的应用研究, 中国非金属矿工业导刊, (3): 39~42. 미소장
108 1980, 秦东稀有元素花岗伟晶岩中电气石及其红外光谱, 成都地质学院学报, (2): 8~45. 미소장
109 1988, 秦岭伟晶岩中电气石比磁化率的研究, 矿物岩石, 8(1): 16~21. 미소장
110 1993, 云南优质碧玺产区及其特征, 珠宝科技,5(1): 60~61. 미소장
111 2004, 超细电气石粉体的制备和负离子释性能研究, 矿冶, 13(4): 50~53. 미소장
112 2004, 电气石多功能环境健康, 新中国非金属工业导刊,10(5): 16~21. 미소장
113 2003, 电气石的加工应用现状及发展前景, 中国非金属矿工业导刊, (4): 18~21. 미소장
114 1990, 内蒙古别鲁乌图铜矿区电气石岩的发现及其意义, 地质论评, 36(5): 467~472. 미소장
115 2004, 内蒙古东部黑电气石释放负离子特性研究, 矿冶, 13(1) : 34~37. 미소장
116 2002, 电气石对水体pH值的影响, 中国环境科学, (6): 515~519. 미소장
117 2003, 电气石应用专属性研究, 非金属矿, 26(1): 34~36. 미소장
118 2007, 电气石的特性及其在健康与环保领域的新用途, 中国非金属矿工业导刊, (6): 17~19. 미소장
119 2001, 巴西的电气石和海蓝宝石矿床, Ccsar~Mendesjet宝石和宝石学杂志, (2): 3~36. 미소장
120 2008, 我国电气石矿产资源开发前景分析, 矿产与地质, 22(6):562~565. 미소장
121 2008, 我国电气石矿床类型及其地质特征, 矿产与地质,22(2): 174~178. 미소장
122 2000, 「Fe304于/粒子o廿彳戈选别己磁氖特性, 粉体扫粉末冶金, 49(2): 135-139. 미소장
123 1991, 粉体力表面特性, 七乡专岁夕又, 26(4): 3-18. 미소장
124 2001, X综窑使ijJ,日本结晶学会黏, 43(2): 137 -147.  미소장
125 2007, “保健凉席”真有保障作用吗?, 科学养, (8): 4~5.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