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의약품 급여결정을 위한 가중치 계량 연구 = Application of weight elicitation methods for drug reimbursement decision making / 조현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615.37 -13-3
형태사항
71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2568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사회약학전공, 2013.2. 지도교수: 이의경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제1장 서론 11

제2장 이론적 논의 13

제1절 현행 의약품의 국민건강보험 급여 평가 13

제2절 다기준 의사결정론 15

1. 다속성 가치 이론(Multi-Attribute Value Theory, MAVT)((Keeny and Raiffa 1976), (Poyhonen and Hamalainen 2001)에서 재인용) 15

2. 계층분석적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16

3. 스윙 기법(Swing method) ((von Winterfeldt and Edwards 1986), (Poyhonen and Hamalainen 2001)에서 재인용) 18

4. EVIDEM (Evidence and Value: Impact on DEcision Making) framework 18

5. 선행연구의 검토 23

제3장 연구 설계 27

제1절 연구 목적 27

제2절 연구 방법 27

1. 연구 단계 27

2. 평가 기준 및 가중치 도출 기법 선정 27

3. 설문조사지의 설계 30

4. 자료의 수집 및 분석 32

제4장 분석 결과 33

제1절 조사대상의 특성 33

제2절 가중치 도출 기법에 따른 분석결과 34

1. 계층분석적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34

2. 스윙기법(Swing method) 39

3. 가중치 도출 기법들의 종합결과 43

4. 가중치 도출 기법별 가중치의 서열 간의 비교 53

5.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가중치의 비교 57

제5장 결론 및 고찰 61

참고문헌 63

부록 65

Abstract 78

〈표 2-1〉 EVIDEM framework 보편적 평가기준 21

〈표 2-2〉 EVIDEM framework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평가기준 22

〈표 3-1〉 EVIDEM 평가기준 대비 제외 및 추가된 평가기준 28

〈표 3-2〉 스윙기법 설문 예시 31

〈표 4-1〉 조사대상의 특성 33

〈표 4-2〉 계층분석적기법으로 도출된 상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35

〈표 4-3〉 계층분석적기법으로 도출된 하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37

〈표 4-4〉 스윙기법으로 도출된 상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39

〈표 4-5〉 스윙기법으로 도출된 하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41

〈표 4-6〉 두 가중치 도출 기법의 상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비교 44

〈표 4-7〉 하위 평가기준의 기법별 상위 및 하위 3위 평가기준 46

〈표 4-8〉 두 가중치 도출 기법의 하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비교 47

〈표 4-9〉 기법 내에서 일관성을 보이지 않은 응답자 49

〈표 4-10〉 두 기법 간 가중치 순위가 일치한 응답자 49

〈표 4-11〉 기타 상위 평가기준과 경제성의 가중치 비 50

〈표 4-12〉 기타 하위 평가기준과 비용효과성의 가중치 비 52

〈표 4-13〉 가중치 도출 기법별 가중치의 서열 간의 상관관계 53

〈표 4-14〉 가중치 비의 기법별, 평가기준 개수별 비교 54

〈표 4-15〉 연관 개념들의 가중치 값의 비교(스윙기법) 56

〈표 4-16〉 학력에 따른 가중치의 차 58

〈표 4-17〉 약업계 경력 유무에 따른 가중치의 차 59

〈표 4-18〉 급여 관련 분야 경험 유무에 따른 가중치의 차 60

〈그림 2-1〉 EVIDEM framework 20

〈그림 3-1〉 의약품의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 여부 의사결정 계층구조 29

〈그림 3-2〉 계층분석적기법 설문 예시 30

〈그림 4-1〉 계층분석적기법으로 도출된 상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36

〈그림 4-2〉 계층분석적기법으로 도출된 하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38

〈그림 4-3〉 스윙기법으로 도출된 상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40

〈그림 4-4〉 스윙기법으로 도출된 하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42

〈그림 4-5〉 두 가중치 도출 기법의 상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비교 45

〈그림 4-6〉 두 가중치 도출 기법의 하위 평가기준들의 가중치 비교 48

〈그림 4-7〉 연관 개념들의 가중치 값의 비교(스윙기법) 56

초록보기 더보기

 최근 의약품의 보험 급여 결정에 다양한 가치들을 체계적으로 고려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다수의 계량화된 요소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기준 의사결정분석이 기존 비용효과성 분석의 새로운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다기준 의사결정분석은 의사결정 문제에 고려되는 속성들에 대한 가중치 도출 과정과 대안들에 대한 점수 부여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33명의 약학과 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약품의 건강보험 급여 결정에서 고려되는 평가기준의 가중치를 계층분석적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과 스윙기법(Swing method)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평가기준들의 상대적 중요도, 즉 가중치를 도출하여 의사결정자의 선호가치를 측정하고, 두 가중치 도출 기법 간의 수렴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평가기준은 선행 문헌의 검토를 거쳐 선정하였으며 상위와 하위기준의 두 계층으로 분류하였다. 상위기준은 질병의 영향, 중재의 도입 맥락, 중재의 건강관련 성과, 건강 편익의 유형, 경제성, 근거의 질로 선정하였으며, 하위기준은 질환의 중증도, 대상 환자 수, 국내·외 진료지침, 비교대안의 제한점, 제외국의 등재상황, 효능 및 효과의 개선, 안전성 및 내약성의 개선, 환자보고성과의 개선, 공공 건강에 대한 영향, 환자 개인에 대한 영향, 건강보험재정 영향, 비용효과성, 기타 비용에 대한 영향, 근거의 일관성, 근거의 타당성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기준 중 계층분석적기법과 스윙기법에서 모두 중재의 건강관련성과가 가장 가중치가 높았으며, 근거의 질이 가장 가중치가 낮았다. 하위 기준 중 가중치가 가장 높았던 평가기준은 질환의 중증도(계층분석적기법), 효능 및 효과의 개선(스윙기법)이었으며, 가중치가 가장 낮았던 평가기준은 제외국의 등재상황(계층분석적기법), 근거의 일관성(스윙기법)이었다. 비용효과성을 기준으로 평가기준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고자 두 기법으로 도출된 가중치의 평균을 구하여 비교하였을 때, 질환의 중증도가 1.96배, 효능 및 효과의 개선이 1.90배, 안전성 및 내약성의 개선이 1.48배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중치 도출 기법의 수렴 타당성은 서열 상관관계와 가중치의 비로 평가하였다. 두 기법의 가중치 서열 간의 상관관계는 상위기준에서 0.7879, 하위기준에서 0.5623으로 상위기준의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모두 p=0.0000). 1위와 최하위 가중치의 비를 보았을 때, 상위기준에서 10.463(계층분석적기법) 및 2.459(스윙기법), 하위기준에서 66.223(계층분석적기법), 6.137(스윙기법)으로 계층분석적기법이 스윙기법보다, 그리고 평가기준의 수가 늘어날수록 가중치의 편차가 컸다.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학력, 약업계 경력 여부와 급여 관련 분야 경험 여부에 따른 가중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거의 질과 그 하위기준인 근거의 일관성과 타당성에 대하여 석사 이상 군, 약업계 경력이 있는 군, 급여 관련 분야 경험이 있는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가중치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 급여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포괄적인 기준들의 상대적 중 요도를 가중치 도출 기법별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구 및 직접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