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1) 연구의 범위 15
2) 연구의 과정과 방법 16
II. 선행연구 고찰 20
1. 신도시 계획의 변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20
1) 도시개발 정책과 제도 변천 20
2) 신도시계획 변천 21
3) 신도시 평가 23
2. 지속가능한 개발 관련 연구 24
1) 공간 단위별 지속가능성 지표 24
2) 지속가능한 신도시개발 26
3. 관련 연구 종합 31
III. 이론 연구와 중점지표의 도출 33
1. 도시개발 패러다임 관련 이론과 정책 33
1) 도시개발 패러다임 33
2) 도시발전 이론과 도시개발 관련 정책 37
3) 해외 신도시 변화 과정 44
2. 지속가능한 개발 이론 59
1)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59
2) 지속가능한 개발 지표 60
3. 지속가능성 중점지표의 도출 64
1) 지속가능성 중점 지표의 도출 64
2) 도출된 중점지표의 이론적 배경 66
IV. 지속가능한 개발 측면의 수도권 신도시계획의 변천 84
1. 사례대상지 84
1) 사례 신도시 개요 84
2) 사례 신도시의 개발배경과 계획목표 86
2. 환경적 지속가능성 측면 95
1) 환경생태 95
2) 개발밀도 103
3) 사례 신도시계획의 환경적 지속성 변화 109
3. 사회적 지속가능성 측면 113
1) 주민참여 113
2) 사회적 혼합 122
3) 사례 신도시계획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변화 132
4.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 136
1) 자족성 관련 제도 변화 136
2) 사례 신도시계획의 자족성 변화 140
5. 사례신도시계획의 지속가능성 변화 종합 148
1) 경제사회 발전과 지속가능성의 관계 149
2) 지속가능한 도시개발과 제도의 역할 153
V. 결론 158
인용문헌 165
Abstract 177
부록 181
부록 1. 사례 신도시 토지이용계획도 181
부록 2. 사회적 혼합을 위한 주택건설기준(국토해양부, 2010) 184
부록 3. 위례신도시 공동주택 규모별 배치도 185
표 1-1. 사례연구 신도시 개요 16
표 2-1. 공간단위별 지속가능성 지표 연구 사례 25
표 2-2. 환경적 지속가능성 분야 연구 사례 27
표 3-1. 사회환경변화와 패러다임 변화 대응 34
표 3-2. 뉴먼과 켄워씨의 역사도시 유형의 특성 39
표 3-3. 도시발전단계와 패러다임 변화 41
표 3-4. 정치·경제·사회변화와 관련 정책 대응 43
표 3-5. 영국 신도시의 시기별 구분 및 주요특징 47
표 3-6. 일본 신도시의 특성 변화 52
표 3-7. 포디즘으로부터 후기포디즘으로 변화 54
표 3-8. 영국, 미국, 일본의 신도시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계획특징 비교 56
표 3-9. 세계 각국의 신도시 개발 변천과정 58
표 3-10. 신도시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지표 62
표 3-11.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 63
표 3-12. 도출된 주요 지표와 내용 65
표 3-13. 우리나라 신도시 밀도 현황 71
표 3-14. 해외 신도시 개발밀도 73
표 3-15. 도시개발 주민참여의 장단점 74
표 3-16. 사회적 혼합을 위한 임대단지 독립형과 혼합형 비교 79
표 3-17. 해외 신도시 자족시설용지 비율 83
표 4-1. 분당, 판교, 위례신도시 사업개요 85
표 4-2. 사례신도시 개발배경과 계획 목표 94
표 4-3. 사업지구 규모별 공원녹지 기준 96
표 4-4. 녹지축 설정 기준 97
표 4-5. 사례신도시 계획의 환경생태 변화 103
표 4-6. 신도시 적정밀도 계획기준(2004) 104
표 4-7. 사례신도시의 인구밀도 변화 108
표 4-8. 사례신도시계획의 개발밀도 변화 109
표 4-9. 신도시개발 사업단계별 주민참여 제도 115
표 4-10. 사례 신도시계획의 주민참여 변화 122
표 4-11 공동주택용지의 주택규모별 배분기준 변화(수도권 지역) 124
표 4-12. 분당신도시 주택건설계획 126
표 4-13. 분당신도시 공동주택(아파트+복합용도) 유형별 형태 및 평형기준 127
표 4-14. 판교신도시 주택건설계획 128
표 4-15. 위례신도시 주택 유형별 공급계획 129
표 4-16. 위례신도시 아파트 평형별 배분계획 130
표 4-17. 사례 신도시계획의 사회적 혼합 변화 132
표 4-18.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과밀억제권역의 행위제한 138
표 4-19.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자족시설용지 비율(2005) 139
표 4-20.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상 자족기능용지의 설치규모의 변천(2005 이전) 140
표 4-21. 판교 벤처단지 규모의 건설교통부 및 경기도 안 비교 143
표 4-22. 사례 신도시계획의 자족성 변화 146
표 4-23. 사례 신도시의 시대적 배경과 개발계획 149
표 4-24. 사례 신도시계획의 시대변화와 지속가능성 연계 152
표 4-25. 신도시계획 지속가능성 관련 정책·제도의 변화 종합 156
표 4-26. 시대변화에 따른 관련 정책·제도와 계획 내용의 변화 종합 157
표 5-1. 시대변화에 따른 제도화 수준과 제도 실현성에 대한 결론 종합 161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5) 지속가능한 신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지표연구. 한국지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제43집 (2005. 9) : 1-30 | 미소장 |
2 | 건설교통부 외 (2004) 해외신도시 사례연구. | 미소장 |
3 | 건설교통부 (2004)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 | 미소장 |
4 | 경제정의실천연합 도시개혁센터 (1999)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보성각 | 미소장 |
5 | 영국의 도시계획 변천과정과 새로운 동향 | 소장 |
6 | 英國도시 및 지역계획의 변천과정과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7 | 국토개발연구원 (1996) 도시개발의 경험과 과제. | 미소장 |
8 | 국토해양부 (2010) 신도시개발편람. | 미소장 |
9 | 신도시개발과정에서의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 소장 |
10 | 압축형 신도시 개발관점의 수도권 1기 신도시 계획특성 | 소장 |
11 | (2011) 국책사업 사회갈등 해소에 대한 독일사례 검토. 국토연구원 2011-12 | 미소장 |
12 | 우리나라 도시계획법의 변천과정 | 소장 |
13 | (2007) 환경생태계획에 관한 소고: 송파거여신도시에의 적용을중심으로. 환경계획제도화 토론회(2007.1) 발표자료 | 미소장 |
14 | (2008) 지속가능한 환경생태계획론-이론과 실제. 드림미디어 | 미소장 |
15 | Evaluation of Second New-Town by the Sustainable New-Town Planning Criteria ![]() |
미소장 |
16 | (2004) 사회적 학습과정으로서 협력적 계획 모형의 연구 | 미소장 |
17 | (2002) 에너지 절약적 국토공간 구조분석연구-인구분산에 의한 수송에너지 절감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 미소장 |
18 | 都市計劃의 歷史的 變遷에 관한 硏究;美國을 中心으로 | 소장 |
19 | 韓國과 英國의 新都市開發實態의 比較와 向後 發展方案 考察 | 소장 |
20 | 택지개발사업에서 주민과의 갈등관리방안 연구 | 소장 |
21 | 근대 이후 환경설계 패러다임의 변화에 관한 시론적 연구 : 도시설계 개념의 형성 및 변천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 소장 |
22 | A Study on the Sustainable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the U. K. | 소장 |
23 |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분당신도시계획 평가연구 | 소장 |
24 | 도시개발 및 환경 정책에 따른 토지이용계획의 변화 분석 연구 : 한국토지공사의 택지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소장 |
25 | (1993) 근린주거지의 사회계층적 혼합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Case Studies of Rental Housing for Social Integration | 소장 |
27 | 수도권신도시의 자족기반 실태분석과 강화방안 | 소장 |
28 | (2009) 2기신도시 중간평가와 개선방안. 도시정보(2009.11).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미소장 |
29 | (1996) 도시계힉과정에서 시민참여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 미소장 |
30 | (1997)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 미소장 |
31 | (1992) 우리나라 신도시개발의 경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도시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2 |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외부효과와 국민임대주택단지의 사회적 혼합에 대한 선호도 연구 | 소장 |
33 | (2005)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도시설계 제6권 제3호 통권 제20호 (2005. 9) : pp.5-18 | 미소장 |
34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4) 신도시중간종합평가. | 미소장 |
35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2) 도시개발론. 보성각 | 미소장 |
36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5) 지속가능한 신도시개발을 위한 계획기준설정에관한 연 구 | 미소장 |
37 | 대한주택공사 (1995) 신도시전망(2). | 미소장 |
38 | (1995) 수도권신도시의 자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9 | (2004) 주거지역 개발밀도 설정방안에관한 연구 : 공동주택단지의 주거환경기준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 미소장 |
40 | (2011) 건축·도시·조경의 지식 지형. 나무도시. : 122-149. | 미소장 |
41 | 新都市計劃에 있어서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Ⅱ | 소장 |
42 | 뉴어바니즘 도시설계의 가능성과 한계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43 | 宅地開發制度의 變遷過程과 住居團地計劃에의 影響 | 소장 |
44 | (2004) 수도권 규제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 미소장 |
45 | 보처트의 대도시 변천론 ![]() |
미소장 |
46 | 新都市의 持續可能한 土地利用 指標設定 및 評價 | 소장 |
47 | 일본 신도시 개발의 역사적 변천 및 현황 | 소장 |
48 | (2000) 택지개발제도의 변천과 도시개발법제의 영향에 관한 고찰. 토지연구 제11권제2호 | 미소장 |
49 | The Development of Planning Model for a Sustainable Housing Estate | 소장 |
50 | 新都市 都市施設의 供給特性에 關한 硏究 : 首都圈 5個新都市 住民의 滿足度를 中心으로 | 소장 |
51 | (1997) 택지개발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 국토개발연구원 | 미소장 |
52 | 삼성경제연구소(1997) 수도권신도시 개발전략과 모형 | 미소장 |
53 | 계획철학과 신도시계획 | 소장 |
54 | 신도시의 경제적 자족성 확보를 위한 자족용지 배분기준 산출 및 적용방안 연구 | 소장 |
55 | (2003) 신도시의 자족기능확보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한국토지공법학회 | 미소장 |
56 | 성남시 (1999) 성남분당지구 도시설계변경(안) | 미소장 |
57 | 협력적 계획이론에 준거한 도시재정비촉진지구 지정 및 계획 수립과정의 평가연구 | 소장 |
58 | 일본 주거단지개발의 변천과 오늘날의 상황 | 소장 |
59 | Social Relations of Urban Design in the Development Process | 소장 |
60 | (2006) 한국의 도시개발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방향 및 전망. 토지와기술. 제19권 제3호 통권 제70호 : 86-97 | 미소장 |
61 | (1998) 신도시 개발정책 개선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 미소장 |
62 | (1994) 도시설계과정에서 참여자의 역할이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3 | 신시가지의 적정개발밀도 및 용도별 면적배분 기준 ![]() |
미소장 |
64 | 自足的 新都市의 適正規模에 관한 硏究 | 소장 |
65 |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적정 도시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 소장 |
66 | 신도시계획 : 패러다임의 변천 ![]() |
미소장 |
67 | 日本의 土地區劃整理事業의 歷史的 變遷(Ⅳ) ![]() |
미소장 |
68 | (2006) 영국의 진보된 신도시개발정책 : 지속가능한 공동체로 본 한국의 신도시개발과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의 시사점. 주택도시 제87호 | 미소장 |
69 | Evalu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of Housing Estates by Sustainability Indicators - In Case of Apartment Estat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 소장 |
70 |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Site-scale Development Projects | 소장 |
71 | 수도권 신도시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 |
미소장 |
72 | 자족도시로서의 밀톤 킨즈 | 소장 |
73 | 先進外國의 住宅政策 變遷 ![]() |
미소장 |
74 | (2010) 한국도시개발 패러다임 변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0 춘계학술발표대회 기조연설문 | 미소장 |
75 | 공영 택지개발사업에서의 주민참여에 관한 고찰 | 소장 |
76 | 지속가능한 도시의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이론적 연구 ![]() |
미소장 |
77 | 외국의 지속가능한 도시 및 지역개발 정책사례 | 소장 |
78 | The Effects of Urban Planning Consensus Building Process Through Collaborative Planning on the Promoting Social Capital | 소장 |
79 | (2003) 아파트단지의 녹지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서울대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0 | A Study on Planning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Human Settlements | 소장 |
81 | 住居團地計劃의 環境的 持續性 評價를 위한 評價基準 設定方案硏究 | 소장 |
82 | Articles : A Study on Concept and Assessment of Health and Eco Related Planning Elements Applicable to Public Land Development Districts ![]() |
미소장 |
83 | (1997) 도시지속성지표 구축을 위한 개념적 연구. 환경영향평가1997년 제6권 제1호 : 33-45 | 미소장 |
84 | 생태도시 측면에서의 도시계획 패러다임 진화 ![]() |
미소장 |
85 | (2006) 도시패러다임 변화의 의의. 토지와 기술. 제19권 제3호 통권 제70호 : 2-12 | 미소장 |
86 | (1999) 환경친화적인 도시공간구조와 도시교통문제의 관계분석: 광주대도시권을 사례로 교통정책연구6(1) : 46-73 | 미소장 |
87 | 지속가능한 개발과 도시계획법 개정 | 소장 |
88 | (2000b) 교통발생저감을 위한 도시공간구조연구. 국토계획 35(6)(통권111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미소장 |
89 | (2003) 지속가능한 국토개발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국토연구원 | 미소장 |
90 | 스마트성장을 위한 도시개발 방향 : 스마트성장 패러다임과 국토발전 | 소장 |
91 | Resolution of Interest Conflict on Urban Development through Resident-Participation ![]() |
미소장 |
92 | (2001) 택지개발사업의 유형 특성 분석. 부동산학연구 7(2) : 125-142 | 미소장 |
93 |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개발을 위한 시민참여 방안 | 소장 |
94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lanning Indicator of the Korean Style Eco-cityt | 소장 |
95 | 한국 신도시 개발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소장 |
96 | Regional Attractions of Bundang New Town in Shopping Medical Service, and Leisure Trips | 소장 |
97 | (A)study on the city form according to the new urban planning paradigm at 21st century : focusing on the entry works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 Korea ![]() |
미소장 |
98 | 신도시의 자족성 기능에 대한 구상과 현실 | 소장 |
99 | The Variation of Industrial Location Demand by Changing Policy of Seoul Metropolitan Area | 소장 |
100 | (1997) 공동주거의 역사적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01 | 현대건축의 경계해체적 경향에 관한 연구 | 소장 |
102 | (2011) 동경권 신도시의 지속가능성 연구 : 자족성 및 소셜믹스를 중심으로. LHI Journal 2(1) : 19-33 | 미소장 |
103 | 지속가능한 도시조성을 위한 신-전통주의계획이론 분석 연구 : 우리나라 도시개발기법의 실태와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소장 |
104 | (1994) 1960-1970년대 한국 아파트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5 |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신도시계획 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 : 수도권 2기 신도시 평가를 중심으로 | 소장 |
106 | 수도권 5개 신도시 자족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 소장 |
107 | 정경준 (2006) 뒤틀린 ‘한국형 신도시’ 개발사. 동아일보 칼럼(2006.10.31) | 미소장 |
108 |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 거버넌스 체제에서 합의형성에 관한 연구 :녹색서울시민위원회를 사례로 | 소장 |
109 | (2001) 사회적 혼합이 전제된 공동주택의 평형혼합 방법에 관한 연구.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0 | 지속가능성의 다원적 특성과 계획적 적용 논의 | 소장 |
111 | 신도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수도권 1기 신도시의 평가를 토대로 | 소장 |
112 | (신도시개발 경험의 평가와 교훈) 외국의 신도시개발 사례와 교훈 ![]() |
미소장 |
113 | A Study on Ecological-Economic Model Development for Sustainability Evaluation 2 ![]() |
미소장 |
114 | (1995) 광복후 한국토지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1945-1995. 국토연구23호(1995.6) : 127-145 | 미소장 |
115 | 수도권 신도시 건설의 신중론 | 소장 |
116 | 중앙공무원교육원 (2007) 판교신도시 분양 및 개발추진 사례 | 미소장 |
117 | 대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도시형태와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118 |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New Town Development in Metropolitan Area, Korea ![]() |
미소장 |
119 | Other Articles : A Study on Enhancing the Level of the Self-containment of New town in the Capital Region, Korea -The case study of Ilsan from the viewpoint of ESSD- | 소장 |
120 | (2009) 보금자리 주택의 사회적 혼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 미소장 |
121 | 주거단지 계획 이론의 변천과 계획요소의 특성 연구 : 국내 주거단지를 중심으로 | 소장 |
122 | 수도권 신도시 및 준농림지역 아파트 재건축 가능성 ![]() |
미소장 |
123 | (1999) 수도권 신도시 상업용지 공급규모에 관한 연구 : 분당신도시사례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34(3) | 미소장 |
124 | (2002)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체계의 연계방안 연구.국토연구원 | 미소장 |
125 | 수도권 신도시의 자족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안산과 분당을 중심으로 | 소장 |
126 | (2009)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사업추진을 위한 계획시스템 개선방안. 환경정책연구 8(3) : 27-51 | 미소장 |
127 | (2006)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 | 미소장 |
128 | (1999)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론. 보성각 | 미소장 |
129 | 한국경제학회 (2001) 21세기 수도권 성장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 미소장 |
130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7) 최근 외국의 도시개발전략. | 미소장 |
131 | 한국토지개발공사 (1988) 공동체의식형성을 위한 주거단지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32 | 한국토지개발공사 (1992) 분당신도시개발지(1989-1991). | 미소장 |
133 | 한국토지공법학회 (2003) 신도시의 자족기능 확보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 미소장 |
134 | 한국토지공사 (1997) 분당신도시개발사. | 미소장 |
135 | 한국토지공사 (2001) 도시개발사업의 지속가능한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36 | 한국토지공사 (2002) 판교신도시 개발백서(1단계). | 미소장 |
137 | 한국토지공사(2004)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38 | 한국토지공사 (2006)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 설정. | 미소장 |
139 | 한국토지공사 (2008) 판교신도시 개발백서(2단계). | 미소장 |
140 | 한국토지공사 (2008) 위례신도시 개발백서(1단계). | 미소장 |
141 | 한국토지공사 (2009) 2기 신도시건설의 중간평가. | 미소장 |
142 | 首都圈 新都市 住民의 公共施設에 대한 居住後滿足度 分析 | 소장 |
143 | (1982) 신도시개발의 전개모형에 관한 연구: 반월과 과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13 | 미소장 |
144 | 주거단지 계획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소장 |
145 | 수도권 신도시 경제기반 평가 | 소장 |
146 | (2002) 신도시 자족성확보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7 | 환경부, 한국토지공사 (2004) 단지조성사업의 환경성검토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48 | 환경부 (2010) 사전환경성검토 업무매뉴얼 | 미소장 |
149 | 19세기 歐美의 環境設計史 槪觀 | 소장 |
150 | (2005) 미래지향적 주거단지 조성을 위한 토지공사의 역할. 토지와 기술. 18(2) 통권 제65호 (2005.7) : 118-138 | 미소장 |
151 | Air Corridor Planning Strategy based on the Wind Field and Air Corridor Simulation - A Case Study of Pan-Gyo New Town Development Area - | 소장 |
152 | 택지개발사업의 지속성 확보방안 | 소장 |
153 | (1971) Eight Rungs on the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in E. S. Cahn & B. A. Passett, Citizen Participation: Effecting Community Change, NY: Praeger. | 미소장 |
154 | (1976) New Communities USA. Washington, D.C. : Lexington Books. | 미소장 |
155 | (2000) Are We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PA Journal vol.66, No1 | 미소장 |
156 | American Metropolitan Evolution ![]() |
미소장 |
157 | (2001) Suburban alchemy: 1960s newtowns & the transformation of the American dream. Columbus: Ohio Express | 미소장 |
158 | (1996) Green Cities, Growing Cities, Just Cities? APA Journal(1996 summer) | 미소장 |
159 | (1991) Managing Runcorn's Landscape. Landscape Design(Feb) : 27-28 | 미소장 |
160 | Jobs-Housing Balancing and Regional Mobility ![]() |
미소장 |
161 | Planned Communities, Self-containment and Commuting: A Cross-national Perspective ![]() |
미소장 |
162 | City of Boston (1999) Boston's Indicators of Progress, Change and Sustainability (a draft for review) | 미소장 |
163 | City of Los Angeles (1993) Land Use/Transportation Policy. Council File No.93-0478 | 미소장 |
164 | Department of Housing and Development (1997) Citizen Participation for Urban Management Module 1-3 August. USA Washington D.C. | 미소장 |
165 | (1991) Developing Successful New Communities. The Urban Land Institute | 미소장 |
166 | (1999) The deliberative practitioner. Cambridge, MA: MIT Press. | 미소장 |
167 | Planning Lessons from Three U.S. New Towns of the 1960s and 1970s: Irvine, Columbia, and The Woodlands ![]() |
미소장 |
168 | (1976) New Town Planning: Principles and Practice(John Wiley & Sons) | 미소장 |
169 | (1997) Assessing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in Practice.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미소장 |
170 | Consensus-building across Difficult Divisions: New approaches to collaborative strategy making ![]() |
미소장 |
171 | A study of commuting patterns of new town residents in Hong Kong ![]() |
미소장 |
172 | (1976, 김학준 역) 정치참여의 논리와 실제. 일조각 : 4 | 미소장 |
173 | (1999) Information in Communicative Planning. APA Journal. 64(4 ) | 미소장 |
174 | (1994) The New Urbanism: Toward an Architecture of Community(McGraw-Hill, Inc) | 미소장 |
175 | (1998) Indicators and Information Syste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ustainability Institute | 미소장 |
176 | (1984) Managing Urban America. California : Brooks & Cole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177 | Suburban Clusters ![]() |
미소장 |
178 | (1989) Cities and Automobile Dependence. An International Source Book. | 미소장 |
179 | Gasoline Consumption and Cities ![]() |
미소장 |
180 | The Self-Contained New Town: Employment and Population ![]() |
미소장 |
181 | Energy-utilization diagrams for two types of LNG power-generation systems ![]() |
미소장 |
182 | Clarence Stein's Variations on the Garden City Theme by Ebenezer Howard ![]() |
미소장 |
183 | (1997) Barometer of Sustainability. IUCN | 미소장 |
184 | Citizens and the Administrative State: From Participation to Power ![]() |
미소장 |
185 | (2004) Intergrating Affordable Housing Within Market-rate Developments : the Design Dimens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Vol.31 : 195-212 | 미소장 |
186 | U.S. DOE (1999) website http://www.sustainable.doe.gov | 미소장 |
187 | Democratic Participation ![]() |
미소장 |
188 |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87) Our Common Future(The Brundtland Report).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89 | (1994) Case Study Research : Design and Methods. California : SAG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