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헤이리 예술마을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검토 : 갤러리, 아트샵, 카페공간을 중심으로 = (A)study of space collaboration for complex commercial building in Heyri Art Village : focus on gallery, art shop and cafe space / 신지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747 -13-40
형태사항
viii, 11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32596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2013.2. 지도교수: 신경주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I.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4

3. 용어 정리 14

콜래보레이션 14

II. 이론적 고찰 15

1. 헤이리 예술마을에 관한 고찰 15

1) 헤이리 예술마을의 이해 15

2) 헤이리 예술마을의 건물 목적별 단지 분류 19

3) 헤이리 예술마을의 복합상업건물 공간 현황 22

2. 공간 콜래보레이션에 관한 고찰 25

1) 편안함 관점에서 본 공간 콜래보레이션 27

2) 체험 관점에서 본 공간 콜래보레이션 30

3)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본 공간 콜래보레이션 32

3. 선행 연구 및 이론적 고찰 36

1) 공간 콜래보레이션 관련 선행 연구 36

2) 상업 공간 관련 선행 연구 및 이론 42

III. 연구 방법 59

1. 조사 대상 및 개요 59

1) 조사 대상 59

2) 조사 대상 분류 60

2. 체크리스트 개발 62

1) 체크리스트 항목 선정 62

2) 체크리스트 내용 62

3. 분석방법 및 분석틀 64

1) 분석방법 64

2) 분석 틀 65

IV. 헤이리 예술마을 복합상업건물 분석 결과 66

1. 복합상업건물 현황 분석 66

1) 갤러리 화이트 블록(Gallery White Block) 66

2) 북 하우스(Book House) 72

3) 93 뮤지엄(93 Museum) 77

4) 백순실 미술관(Baik Soon Shil museum) 82

5) 갤러리 더 차이(Gallery The Chai) 87

6) 갤러리 MOA(Gallery MOA) 91

7) 갤러리 이레(Gallery Jireh) 95

8) 써니 갤러리(Sunny Gallery) 99

9) 소금 항아리(Salt Jar) 103

10) 규원(Kyuwon) 107

11) 소결 111

2. 복합상업건물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113

1) 실내구성 요소 113

2) 체험요소 116

3) 지속가능 요소 119

V. 결론 및 제언 120

참고문헌 122

부록 127

Abstract 129

[표 2-1] 헤이리의 지형별 건물 유형 21

[표 2-2] 헤이리 예술마을의 복합상업건물 공간사용 현황 24

[표 2-3] 건축분야 콜래보레이션 선행연구 37

[표 2-4] 경영학 분야 콜래보레이션 선행연구 38

[표 2-5] 디자인 분야 콜래보레이션 선행연구 40

[표 2-6] 콜래보레이션 선행연구 총 정리 41

[표 2-7] 실내구성요소 선행연구 42

[표 2-8] 공간 콜래보레이션 분석요소 43

[표 2-9] 실내구성요소 세부항목 선행연구 43

[표 2-10] 상업공간의 선행연구 정리 결과 44

[표 2-11] 체험 요소 선행연구 45

[표 2-12] 공간 콜래보레이션 개념 정리 46

[표 2-13] 헤이리 예술마을 관련 선행연구 48

[표 2-14] 복합상업건물 관련 선행연구 49

[표 2-15] 공간의 분할 연결 개방 50

[표 2-16] 조명의 심리적 효과 51

[표 2-17] 조명조건에 의한 주관적 시각 인상 58

[표 3-1] 헤이리 예술마을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사용 현황 59

[표 3-2] 헤이리 조사대상 상업공간의 분류결과 61

[표 3-3] 공간 콜래보레이션의 방법 62

[표 3-4] 개발된 상업공간 콜래보레이션 공간용 체크리스트 63

[표 4-1] 갤러리 화이트 블록의 분석 현황 66

[표 4-2] 갤러리 화이트 블록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71

[표 4-3] 북 하우스의 분석 현황 72

[표 4-4] 북 하우스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76

[표 4-5] 93 뮤지엄의 분석 현황 77

[표 4-6] 93 뮤지엄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81

[표 4-7] 백순실 미술관의 분석 현황 82

[표 4-8] 백순실 미술관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86

[표 4-9] 갤러리 더 차이의 분석 현황 87

[표 4-10] 갤러리 더 차이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90

[표 4-11] 갤러리 MOA의 분석 현황 91

[표 4-12] 갤러리 MOA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94

[표 4-13] 갤러리 이레의 분석 현황 95

[표 4-14] 갤러리 이레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98

[표 4-15] 써니 갤러리의 분석 현황 99

[표 4-16] 써니 갤러리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102

[표 4-17] 소금 항아리의 분석 현황 103

[표 4-18] 소금 항아리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106

[표 4-19] 규원의 분석 현황 107

[표 4-20] 규원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가 결과 110

[표 4-21] 분석대상 10곳의 겹친 공간 112

[표 4-22] 분석대상 10곳의 공간별 실내구성요소 평균점수 115

[표 4-23] 분석대상 10곳의 체험요소 점수 118

[부록 1] 분석대상 10곳의 각 공간별 점수표 128

[부록 2] 분석대상 10곳의 공간별 실내구성요소 평균 점수표 128

[그림 2-1] 헤이리 예술마을 전경사진 16

[그림 2-2] 헤이리 지형도 20

[그림 2-3] 헤이리 지도 22

[그림 2-4] 히어 뮤직 커피하우스(Here Music Coffeehouse) 28

[그림 2-5] 지센의 외부와 내부 28

[그림 2-6] 국립 중앙 박물관의 디지털 북 카페 29

[그림 2-7] 볼룸앤구떼 전경 30

[그림 2-8] 한남동 꼼데 가르송 외부와 내부 31

[그림 2-9] SK텔레콤 카페형 매장인 T월드 카페 32

[그림 2-10] 플래그 쉽 스토어 라움 33

[그림 2-11] 맥도날드의 브랜드 패스 34

[그림 2-12] 꼬르소꼬모 실내 35

[그림 2-13] 지속가능 요소 개념 47

[그림 2-14] 상품 디스플레이 적정 범위 55

[그림 3-1] 헤이리 예술마을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사용 현황 60

[그림 3-2] 연구의 흐름도 64

[그림 4-1] 갤러리 화이트 블록의 갤러리 67

[그림 4-2] 갤러리 화이트 블록의 아트샵 68

[그림 4-3] 갤러리 화이트 블록의 카페 69

[그림 4-4] 북 하우스의 갤러리 73

[그림 4-5] 북 하우스의 아트샵 74

[그림 4-6] 북 하우스의 카페 75

[그림 4-7] 93 뮤지엄의 갤러리 78

[그림 4-8] 93뮤지엄의 아트샵 79

[그림 4-9] 93 뮤지엄의 카페 80

[그림 4-10] 백순실 미술관의 갤러리 83

[그림 4-11] 백순실 미술관의 아트샵 84

[그림 4-12] 백순실 미술관의 카페 85

[그림 4-13] 갤러리 더 차이의 갤러리, 아트샵, 카페 89

[그림 4-14] 갤러리MOA의 갤러리, 아트샵, 카페 93

[그림 4-15] 갤러리 이레의 갤러리 96

[그림 4-16] 갤러리 이레의 아트샵과 카페 97

[그림 4-17] 써니 갤러리의 갤러리, 아트샵, 카페 101

[그림 4-18] 소금 항아리의 갤러리 104

[그림 4-19] 소금 항아리의 아트샵과 카페 105

[그림 4-20] 규원의 갤러리 108

[그림 4-21] 규원의 아트샵과 카페 109

[그림 4-22] 분석대상 10곳의 각 공간별 점수 111

[그림 4-23] 분석대상들 10곳의 공간별 총 평균 113

[그림 4-24] 분석대상들 10곳의 공간별 실내구성요소 총 평균 116

[그림 4-25] 분석대상 10곳의 공간별 체험요소 총 평균 119

[그림 4-26] 분석대상 10곳의 공간별 지속가능요소 총 평균 119

초록보기 더보기

현대는 19세기 말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개인의 개성, 자율성, 다양성을 중시하게 되었다. 개인 생활패턴이 변화하고 있고 그들의 니즈(needs)들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다. 즉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을 하여 공동의 목표 결과물을 만들어 내었다. 콜래보레이션은 영어 단어이며 협력이라는 뜻이다. 협력은 다른 분야와 함께 진행하거나 같은 분야의 어느 무엇과도 진행할 수 있다. 상업 공간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간 콜래보레이션을 시도 하고 있다. 요즈음의 상업공간은 집에서와는 또 다른 편안함을 제공하여 집처럼 편안하면서도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새로운 경험을 체험하게 하여 특별한 공간으로 느끼게 하여 호감을 이끌어 낸다. 이러한 공간들은 안주하지 않고 변해가는 현대인들의 생활에 활력을 준다. 예로 카페는 언제, 어디서든 편안함을 느끼고 싶어 하는 21세기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 시켜주고 있다. 또한 새로운 경험을 체험하게 하여 특별한 공간으로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공간들은 진화를 하여 그 공간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을 한다. 콜래보레이션의 선행연구는 디자인, 경영학 분야에서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건축, 공간 분야에서는 콜래보레이션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었고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을 중심으로 콜래보레이션을 연구하였다. 콜래보레이션은 공간 콜래보레이션, 아트 콜래보레이션, 저가와 고가 콜래보레이션, 하이컨셉 콜래보레이션, 스타 콜래보레이션으로 분류 할 수 있고 그 중 공간 콜래보레이션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간 콜래보레이션은 실내디자인 분야에 맞게 내용을 재정리 하였고 선행연구와 각종 문헌 등을 통해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공간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파주의 헤이리 예술마을로 지역을 한정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02채의 건물 중 상업을 목적으로 하며 갤러리, 아트샵, 카페를 모두 운영하는 복합상업건물 10채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분석대상은 공간 콜래보레이션에 대해 정리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갤러리, 아트샵, 카페의 각 공간마다 공간 콜래보레이션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점수의 총 평균을 내어 분석대상을 비교하여 헤이리 예술마을의 복합상업건물을 평가하였다. 10곳의 분석대상 중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친 공간은 카페와 아트샵이다. 카페는 오감의 체험을 가장 많이 할 수 있었으므로 공간의 호감도가 가장 높아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아트샵은 편안함을 주기에 부족하여 공간 콜래보레이션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아트샵은 복합상업건물 안에서 공간의 역할이 충분치 못하였고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지 못했다. 10곳의 분석대상들은 2곳을 제외하고 모두 일반적인 경험으로 공간을 운영하고 있었다. 2곳은 체험교실을 운영하여 다양한 경험으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었으나 다양한 경험만으론 공간 콜래보레이션의 점수를 높이기에 부족하였다. 즉,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콜래보레이션은 공간의 편안함, 다양한 경험, 내구적인 실내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는 공간 목적에 맞는 정확한 조닝과 분할, 연결, 구성 등을 통해 가구, 조명, 색채도 각 공간에 걸 맞는 실내구성이 될 것이다. 목적에 맞는 실내구성은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사용을 유도 한다. 또한 다양한 경험은 상업공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내구적인 실내구성과 더불어 다양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복합상업건물에 현대인들의 발길을 끌게 하는 공간으로 거듭 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