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신 한류 문화로서 K-Pop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K-pop as new Korean wave / 윤정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302.234 -13-4
형태사항
iii, 12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3270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방송·영상·미디어전공, 2013.2. 지도교수: 류웅재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7

제2절 연구방법 15

제3절 논문구성 17

제2장 이론적 논의 18

제1절 전 지구화/글로컬리제이션/문화 혼종성 18

1. 전 지구화 18

2. 글로컬리제이션 21

3. 문화 혼종성 24

제2절 문화산업과 한류(韓流; Korean Wave) 26

1. 문화산업 26

2. 한류 30

제3절 정치경제학과 담론분석 34

제3장 한국대중가요의 역사적 맥락 41

제1절 대중음악의 검열과 규제 (1970년) 42

1. 청년문화의 태동 43

2. 통기타, 록 밴드와 금지곡 44

3. 가요계 규제와 대마초 파동 45

제2절 대중음악산업의 형성(1980년) 47

1. 민중문화 47

2. 한국경제성장 48

3. 발라드의 전성기 49

4. 음반 기획사 등장 50

제3절 대중음악의 세대변화(1990년) 51

1. 소비문화의 성장 52

2. 댄스 뮤직과 스타시스템 53

3. 신세대 헤게모니 54

4. 테크놀로지 발달 56

제4절 대중음악의 외형적 성장(2000년 이후) 57

1. 온라인 유통시스템 57

2. 거대 자본 투입-아이돌 시대 58

3. 음악 산업과 정책의 성장 60

제4장 K-Pop 산업의 현황 및 사례 62

제1절 국내 음악산업의 개요 및 동향 63

1. 국내 음악산업 현황 63

제2절 신 한류 분석 65

1. 신 한류 정의 및 현황 65

2. 한류지수 66

제3절 K-Pop의 개념 및 산업현황 67

1. K-Pop이란? 67

2. K-Pop 산업 분석 68

제4절 국내 음악산업 정책 75

1. 국내 음악산업 정책 및 법 제도 현황 75

2. 신 한류 및 K-Pop 관련 주요 정책 77

제5장 신 한류로서 K-Pop의 정치경제학 및 담론 분석 82

제1절 K-Pop '문화산업'의 모순 82

제2절 정부와 산업의 공모 그리고 긴장 90

제3절 Global(글로벌) vs. Local(로컬) 100

제6장 결론 및 제언 108

제1절 결론 및 논의 108

제2절 한계점 및 제언 114

참고문헌 116

ABSTRACT 123

〈표 1〉 한류의 발전단계 34

〈그림 1〉 K-Pop 한류지수 추이 67

〈그림 2〉 연예 매니지먼트 제작 시스템 70

〈그림 3〉 2012 국내 앨범 현황 73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신 한류 현상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K-Pop 현상에 대한 국가와 산업의 역할과 이해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K-Pop의 전신인 한국대중가요는 글로컬리제이션 문화로서 서구의 팝 스타일 음악을 한국 정서에 맞게 재탄생시킨 것으로서 보편성과 대중성을 지닌다. 특히 K-Pop의 중심이 되는 아이돌 음악은 거대 자본의 투자를 기본으로 하는 연예 기획사들이 쌓은 노하우에 의해 국내외로 영향력이 확산되었다. 최근 싸이(Psy)의 강남스타일이 빌보드차트 2위까지 오르고 국내 아이돌 음악이 가까운 이웃국가를 넘어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 더 넓은 곳에서 소비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K-Pop 산업의 육성을 위한 정부와 산업의 정책과 전략들이 세워졌다. 이에 신 한류와 K-Pop 발전을 위한 산업, 국가 문화의 역할과 이해관계에 대해 산업, 정부와 학계의 담론들을 분석하여 논의해 보았다.

연구결과 기업과 정부의 담론들은 한류의 경제적 이윤에 초점을 맞추어 K-Pop 산업에 관한 정책과 제반 전략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단기적인 성과에 치우쳐 신 한류의 지속가능성과 독창적 문화콘텐츠의 생산 및 교류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 또한 국내외에서 제기되고 있는 연예 기획사 문제점들에 대한 산업의 자각과 자정작용, 그리고 정부의 규제가 필요하다. 눈앞의 이익에 매달려 진정성을 가진 문화를 전달하고자하는 노력이 함께 하지 않는다면 반 한류나 혐 한류의 경험에서 목도했듯 머지않아 신 한류 콘텐츠도 외면 받을 개연성이 높다. 정부는 공공의 이익을 대변하고 건강한 문화교류를 형성한다는 측면으로 신 한류에 접근해야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