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대형마트의 에너지성능개선 요소 적용에 따른 에너지저감율 분석 = Energy saving rate analysis by performance improvement factors in hypermarket / 이 훈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M 696 -13-36
형태사항
ix, 88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34051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환경및설비전공, 2013.2. 지도교수: 김회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3

1.1.1. 연구의 배경 13

1.1.2. 연구의 목적 14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5

II. 예비적 고찰 17

2.1. IPMVP(International Performance of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Protocol) 17

2.1.1. IPMVP 개요 17

2.1.2. 에너지절약설치의 평가 및 방법 17

2.1.3. M&V 계획 수립 절차 19

2.2. AshraeGuideline 14-2002 20

2.3.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 조사 21

2.4.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관리제 23

III. 현장조사를 통한 판매시설의 에너지저감요소기술 선정 26

3.1. 대상건물의 선정 26

3.2. 대상건물의 현장조사 27

3.2.1. 건축물 개요 27

3.2.2. 에너지 사용량 35

3.2.3. 실내 온도 측정 38

3.3. 대형마트의 에너지저감요소 선정 44

3.3.1. 건축부문의 에너지 저감 요소 45

3.3.2. 설비부문의 에너지 저감 요소 49

IV. Simulation 분석을 통한 에너지 저감요소 분석 50

4.1. 시뮬레이션 개요 50

4.1.1. 대상건물의 모델링 50

4.1.2. 시뮬레이션 모델의 보정 방안 57

4.1.3. 시뮬레이션의 보정 및 결과 60

4.2. 부문별 에너지저감율 분석 및 평가 65

4.2.1. 건축부문(계획)의 요소별 에너지저감율 65

4.2.2. 건축부문(성능)의 요소별 저감율 66

4.2.3. 설비부문의 요소별 저감율 70

4.3. 부문별 에너지저감율 비교 75

V. 결론 77

참고문헌 79

부록 81

〈부록 1〉 에너지절약 설계에 관한 기준 81

〈부록 2〉 외벽,외벽,최상층 지붕,최하층 바닥의 연관류율 86

〈부록 3〉 용도별 창호기준 91

〈부록 4〉 표준기상데이터 및 AMY 기상 데이터 93

〈부록 5〉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전력사용량 96

〈부록 6〉 건물 유형에 의한 분류 및 설정치 97

Abstract 98

〈표 1.1〉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 14

〈표 2.1〉 M&V Option 18

〈표 2.2〉 건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권장사항 22

〈표 2.3〉 관리업체 지정기준 23

〈표 2.4〉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관리제 추진 체계 24

〈표 2.5〉 2012년 부문별 관리업체 배출허용량 24

〈표 2.6〉 관리 업체 목표설정 및 관리 25

〈표 3.1〉 대형종합소매업의 건물연면적규모별 사업체수 26

〈표 3.2〉 대형종합소매업의 건물연면적규모별 사업체수 27

〈표 3.3〉 건축물 개요 27

〈표 3.4〉 대상 건물의 건축 평면도(지상 1층) 29

〈표 3.5〉 대상 건물의 건축 평면도(지상 5층) 30

〈표 3.6〉 대상건물의 공조계통도 31

〈표 3.7〉 냉·난방 열원 운영 스케줄 32

〈표 3.8〉 조명 운영스케줄 32

〈표 3.9〉 공조기 운영스케줄 33

〈표 3.10〉 엘리베이터 개요 34

〈표 3.11〉 무빙워크 개요 34

〈표 3.12〉 2011년도 월별 전력에너지 사용량 표 35

〈표 3.13〉 2011년도 월별 가스사용량 표 36

〈표 3.14〉 월별 총 에너지 사용량 37

〈표 3.15〉 대상건물의 실내온도 측정 결과표(지상 1층) 40

〈표 3.16〉 대상건물의 실내온도 측정 결과표(지상 5층) 43

〈표 3.17〉 선정된 에너지저감요소 및 비교표 44

〈표 3.18〉 단열재의 등급 구분 46

〈표 3.19〉 중부지역의 단열재 기준 두께 47

〈표 3.20〉 유리의 물성치 48

〈표 4.1〉 대상건물 모델링 51

〈표 4.2〉 표준기상데이터(월평균) 51

〈표 4.3〉 외벽의 구성 52

〈표 4.4〉 최상층 지붕의 구성 52

〈표 4.5〉 최하층 바닥의 구성 53

〈표 4.6〉 창호의 구성 53

〈표 4.7〉 대상건물 HVAC 성능 54

〈표 4.8〉 시설용도별 발열기준 55

〈표 4.9〉 재실인원, 조명 및 기기부하의 기준 56

〈표 4.10〉 실제 에너지사용량과 예측된 에너지소요량의 오차율 58

〈표 4.11〉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예측된 에너지 사용량의 비교표 61

〈표 4.12〉 대상건물의 예측된 냉·난방부하 표 62

〈표 4.13〉 예측된 부문별 에너지 사용량 및 비율 64

〈표 4.14〉 건물 향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65

〈표 4.15〉 건물 외벽 변경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66

〈표 4.16〉 건물 최상층 지붕 변경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67

〈표 4.17〉 건물 최하층 바닥 변경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68

〈표 4.18〉 건물 창호 변경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69

〈표 4.19〉 폐열회수 시스템 적용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70

〈표 4.20〉 LED 조명 교체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71

〈표 4.21〉 LED 조명 교체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72

〈표 4.22〉 VAV 시스템 적용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73

〈표 4.23〉 VAV 시스템 적용에 따른 부문별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표 74

〈표 4.24〉 에너지 성능개선 요소별 에너지저감량 및 저감율 76

[그림 1.1] 건물부문 에너지 소비 현황 및 전망 13

[그림 1.2] 연구 흐름도 16

[그림 2.1] M&V 계획 수립 절차 19

[그림 3.1] 2011년도 월별 전력에너지 사용량 그래프 35

[그림 3.2] 2011년도 월별 가스사용량 그래프 36

[그림 3.3] 대상건물 총 에너지 사용량 37

[그림 3.4] 대상건물의 실내온도 측정포인트(지상 1층) 38

[그림 3.5] 대상건물의 실내온도 측정 결과 그래프(지상 1층) 39

[그림 3.6] 대상건물의 실내온도 측정포인트(지상 5층) 41

[그림 3.7] 대상건물의 실내온도 측정 결과 그래프(지상 5층) 42

[그림 4.1] 시뮬레이션을 통한 에너지 사용량 예측 57

[그림 4.2] 시뮬레이션 보정 방안 59

[그림 4.3] 실제 에너지 사용량과 예측된 에너지 사용량의 비교 그래프 60

[그림 4.4] 대상건물의 예측된 냉·난방부하 그래프 62

[그림 4.5] 예측된 부문별 사용 에너지량 비율 63

[그림 4.6] 건물 향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65

[그림 4.7] 건물 외벽 변경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66

[그림 4.8] 건물 최상층 지붕 변경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67

[그림 4.9] 건물 최하층 바닥 변경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68

[그림 4.10] 건물 창호 변경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69

[그림 4.11] 페열회수 시스템 적용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70

[그림 4.12] LED 조명 교체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71

[그림 4.13] 흡수식냉온수기 성능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72

[그림 4.14] VAV 시스템 적용에 따른 에너지저감량 그래프 73

[그림 4.15] VAV 시스템 적용에 따른 부문별 에너지사용량 74

초록보기 더보기

 현재 국내 에너지 소비량의 약 22.3%를 건물 분야에서 차지하고 있다. 선진국형 산업구조로 변할수록 그 비율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 현재 약 4,500만TOE에서 2030년에 약 6,800만TOE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사용량 저감을 위해 온실가스에너지목표관리제를 시행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2020년까지 예상배출량(BAU)대비 30%를 줄이겠다는 목표로 25개의 각 부문별 업종별로 감축률을 산정하였다. 전체 부문에서 건축부문 중 상업시설에서의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커서 2020년까지 27%의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2년부터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온실가스배출과 에너지 사용이 제일 많은 35개 의무 관리업체를 선정하였는데, 판매시설이 8곳이 선정되어 판매시설에 대한 에너지 소비저감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판매시설 중에서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부하저감 방안 및 설비 시스템을 분석하여 에너지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에너지성능개선요소를 제시하였다. 대형마트의 에너지사용량 및 연면적을 조사하여 대상건물을 선정하고,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보정된 시뮬레이션 모델을 완성하였다. 국내 관련기준 및 논문 등의 조사를 통해 대형마트에 적합한 에너지성능개선 요소를 건축, 설비 부문으로 각각 선정하고 보정된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에너지 성능개선요소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였다. 이를 요소별, 부문별로 에너지저감율을 분석하여 대형마트에 적합한 에너지 성능개선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축부문의 에너지 저감요소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향을 남향으로 변경 시 0.8%의 에너지사용량이 저감되었다. 또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단열재 두께를 만족하는 외벽, 최상층지붕, 최하층 지붕의 적용 시 대상건물의 총 에너지사용량은, 외벽의 경우는 0.6%, 지붕의 경우는 1.2% 감소하였으며, 바닥의 경우는 0.1% 증가하였다. 추가적인 단열성능 증가 시 외벽이나 최하층 바닥의 경우 에너지소비 저감율은 매우 낮았고, 지붕의 경우는 최대 2.3% 저감 되었다.

(2) 설비부문의 에너지 저감요소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건물의 CAV 공조시스템을 VAV로 변경 시 30.3%의 에너지사용량이 저감되고, 형광등을 LED조명 교체 및 조명발열배기시스템 적용 시 8.2%, 폐열회수 시스템의 적용 시 4.9%, 흡수식 냉온수기의 성적계수를 30% 향상 시 2.4%의 에너지저감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대형마트에 부문별 에너지성능개선 요소를 적용하고 이를 통한 에너지저감율 분석을 통해 각 부문별 에너지 저감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형마트에서 건축 부문 보다 설비 부문의 에너지저감요소 기술 도입이 에너지저감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적용 가능한 대형마트의 에너지 성능개선 방안으로 대형마트 에너지저감을 위한 개보수 시 참고가 가능하고 대형마트의 에너지성능개선 요소 도출을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