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0

2. 연구방법 11

II. 본론 12

1. 이론적 배경 12

(1) 음악산업의 정의와 특성 12

(2) 음악산업의 역사 16

2. 한국의 대중음악 산업 18

(1) 음악산업의 변화 및 특징 18

(2) 디지털 음악산업 성장의 요인 26

(3) 디지털 음악 시장의 규모 및 전망 38

3.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현실 40

(1) 아이돌위주의 대중음악 40

(2) 한류열풍의 중심, K-POP 43

(3) 대중매체의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 열풍 45

4. 음악산업의 주요 쟁점 50

(1) 불법음원 단속의 한계 50

(2) 한국의 음원수익 분배문제 55

(3)스톱 덤핑 뮤직(Stop dumping music) 66

III. 결론 69

참고문헌 72

Abstract 74

표목차

〈표 1〉 2011년 주요 국가별 음악시장 규모 및 분야별 비중 22

〈표 2〉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수 국제비교 (2011.7.) 30

〈표 3〉 디지털 음악 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2005~2015) 38

〈표 4〉 전세계 모바일 음원 매출액 추이 및 전망(2007~2012) 39

〈표 5〉 슈퍼스타K2 방영 당시 멜론 음원 차트 47

〈표 6〉 2011년 불법복제 음악물 시장규모 52

〈표 7〉 온라인 음악 콘텐츠 수익분배 기준 56

〈표 8〉 온라인 음악 콘텐츠 수익분배율 구성 57

〈표 9〉 음악 포털사이트 서비스 및 가격 비교 60

〈표 10〉 2013년 현행규정과 개정신청안, 승인안 비교 62

〈표 11〉 국내와 해외의 서비스 및 가격비교 (다운로드) 64

〈표 12〉 국내와 해외의 서비스 및 가격비교 (월정액 스트리밍) 65

그림목차

〈그림1〉 음악산업의 나라별 통계 13

〈그림2〉 한국 음악산업 규모 23

〈그림3〉 한국 디지털 음악산업 규모 추이 24

〈그림4〉 인터넷이용률 및 이용자수 변화 추이 28

〈그림5〉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현황 29

〈그림6〉 인터넷 이용목적(복수응답) - 만3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31

〈그림7〉 한국 이동전화 가입자 수 및 스마트폰 가입자 수 추이 32

〈그림8〉 다운로드 모바일앱 유형(복수응답) 33

〈그림9〉 주이용 모바일앱 유형 (복수응답) 34

〈그림10〉 최근 SNS 이용현황 - 만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36

〈그림11〉 디지털 음악 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2005~2015) 39

〈그림12〉 콘텐츠별 불법복제 이용경험 51

〈그림13〉 2010년, 2011년 불법복제물분야별시장규모(건수) 53

〈그림14〉 온라인 서비스 사업자 중심의 수익분배 구성 56

〈그림15〉 온라인 곡당 분배 가격 58

〈그림16〉 온라인 곡당 분배 비율 59

〈그림17〉 한국과 일본의 모바일 음원 수익 분배 원형 비교표 64

〈그림18〉 스톱 덤핑 뮤직 포스터 66

초록보기

 디지털 시대를 맞아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정보들의 난립과 공유를 통한 IT발전은 사회의 모든 면의 구조와 가치를 뒤흔들었으며, 이는 대중예술문화에도 영향을 끼쳤다.

음악의 디지털화로 인해 파일화 되어버린 음원들은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쉽게 공유되었고, 음악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으며, 많은 논란과 쟁점의 중심에 있다.

음악산업의 성장요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음악의 디지털화, IT기술의 발달로 인한 통신속도의 증가, 스마트폰의 보급, SNS의 확산을 들 수 있다. 이런 여러 가지 요인으로 성장해온 한국 대중 음악산업은 아이돌 위주의 대중음악산업과 K-POP의 전 세계적인 한류열풍, 그리고 국내에서 대중메체의 오디션과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열풍의 현실을 맞고 있다.

현재 음악산업의 주요 쟁점은 크게 불법음원 단속의 한계와 음원수익 분배에 대한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 음악시장의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유통시장이 확립되어 갈수록 안정적으로 저작물을 유통시키고 창조물에 대한 저작권을 어느 정도 보호하여 재창조와 배포를 안정적으로 유도함으로써 문화산업 발전을 촉진 시켜야 한다. 음악을 창작하는 저작권자, 유통업자,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음원사용료 재정비와 그에 따른 공정한 수익분배는 정부와 협회가 먼저 나서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일방적인 저작권법의 강화는 온라인 음악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며, 교육과 홍보를 통해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보강하고, 이용자는 음원 콘텐츠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인식으로 음악산업 발전에 동참해야 하며, 이러한 사회적인 인식과 이해는 향후 온라인 음악시장의 발전에 이바지 할 것이다.